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2016년 개정판)

김원제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800원 -0% 0원
980원
31,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3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2016년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074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6-02-16

책 소개

<미디어 스포츠 사회학> 개정판. 미디어스포츠란 미디어를 통해 스포츠가 재현되고 전달되는 양식이다. 저자 김원제는 14개의 핵심 질문을 통해 미디어스포츠의 새로운 양식을 탐색하고, 미디어, 스포츠, 인간.사회의 관계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목차

개정판 서문
서문

1부 스포츠, 미디어 그리고 미디어스포츠에 대한 기본 질문

01 왜 스포츠인가?
여가 문화 시대의 도래
스포츠의 개념과 진화
스포츠 패러다임의 전환

02 미디어, 스포츠, 사회는 어떤 관계인가?
미디어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03 미디어스포츠란 무엇인가?
개념과 존재 방식
의미 변화
미디어와 스포츠의 상호 영향 관계
미디어스포츠에 대한 연구

2부 미디어스포츠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질문

04 미디어스포츠는 언제 형성되었나?
미디어와 스포츠의 만남
초기 미디어스포츠의 전개

05 미디어와 스포츠는 어떻게 공생하는가?
프로스포츠의 부흥과 상업화
미디어의 발전과 영상 스포츠의 부흥

06 미디어와 스포츠는 왜 갈등하는가?
독점 관계 형성
이익을 위한 갈등
미디어와 스포츠의 상호 진입
조정과 통합

07 한국의 미디어스포츠는 어떻게 발전했는가?
한국 미디어스포츠의 기원과 발전 과정
한국 미디어스포츠의 진화 과정
2002년 월드컵 이후 미디어스포츠 패러다임

3부 미디어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질문

08 왜 우리는 스포츠에 열광하는가?
미디어스포츠와 수용자
스포츠 팬덤 문화

09 미디어스포츠는 사회적 아비투스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미디어스포츠와 사회적 아비투스
‘붉은악마’의 경험과 집단 정체성

10 스포츠 저널리즘의 역할은 무엇인가?
스포츠 저널리즘의 현재와 미래
방송 중계와 보도

11 스포츠 영웅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스포츠 자본주의의 구축
이데올로기 전파 수단으로서 미디어스포츠
미디어가 만들어 낸 스포츠 영웅

12 왜 기업은 스포츠로 마케팅하는가?
스포츠 마케팅의 개념
스포츠 스폰서링 활동의 전개
스포츠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과 효과

13 디지털 시대에 스포츠 콘텐츠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디지털스포츠 양식의 출현
스마트미디어 환경과 스포츠 콘텐츠

14 미디어스포츠의 미래는 어떻게 달라질까?
수용자의 미래
미디어스포츠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원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주)유플러스연구소 연구소장(대표이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공공 분야 연구기획, 프로젝트 및 자문, 기업비즈니스 컨설팅을 주업으로 하며, 다양한 사회현상에 대한 기획저술을 꾸준히 하고 있다. 저서로 <힐링 문화 비즈니스>(2022, 한국출판학회 올해의 책 선정), <넥스트 노멀>(2020, 공저), <미디어콘텐츠 4.0>(2019, 공저), <시니어 비즈니스 블루오션>(2018, 공저), <위험사회를 넘어 안심사회의 조건>(2017, 한국연구재단 저술지원), <미디어스포츠 사회학>(2016 개정판), <미디어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2015, 공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2013,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구텐베르크의 귀환>(2012, 공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스마트 미디어 콘텐츠 인사이트>(2011, 공저), <콘텐츠 실크로드 미디어 오디세이>(2009, 문화부 우수교양도서), <퓨전테크 그리고 퓨전비즈>(2007, 문화부 우수교양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N스크린 환경의 부상으로 시청률이 분산되어 드라마 등 대다수 장르가 시청률을 담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스포츠는 여전히 킬러 콘텐츠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2014년 아시안컵 축구 결승전의 시청률은 34.9%, 순간 시청률 51.3%를 기록해 스포츠 콘텐츠의 가치가 여전함을 시사한다.
_ “개정판 서문” 중에서

정치적 허무주의와 대립이 격화되고 오직 자본만이 위용을 과시하는 이 시대에 우리에게 스포츠는,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새로운 에너지로 작용되어야 한다. 히딩크 감독이 체육 기자에게 지적했듯, ‘축구 방송은 창의적이어야 한다.’ 축구 중계는 하나의 작품이다. 맞는 얘기다. 모든 스포츠 저널리즘은 창의적인 작품이어야 한다. 스포츠 방송은 단순히 오락 기능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인포컬처테인먼트(inforculturetainment)’를 지향하는 방송이어야 하는 것이다.
_ “10 스포츠 저널리즘의 역할은 무엇인가?” 중에서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스포츠는 최적의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스포츠의 사회적·경제적 위상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스포츠 콘텐츠의 상품 경쟁력이 강화됨을 의미한다. 스포츠 시청이 TV를 통해서 ‘단지 멀리서 보는 것’에서 실제로 ‘현장에 있는 것같이 느끼는 것’으로 변하여, 디지털 신기술의 수혜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_ “13 디지털 시대에 스포츠 콘텐츠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40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