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074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6-02-16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서문
1부 스포츠, 미디어 그리고 미디어스포츠에 대한 기본 질문
01 왜 스포츠인가?
여가 문화 시대의 도래
스포츠의 개념과 진화
스포츠 패러다임의 전환
02 미디어, 스포츠, 사회는 어떤 관계인가?
미디어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03 미디어스포츠란 무엇인가?
개념과 존재 방식
의미 변화
미디어와 스포츠의 상호 영향 관계
미디어스포츠에 대한 연구
2부 미디어스포츠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질문
04 미디어스포츠는 언제 형성되었나?
미디어와 스포츠의 만남
초기 미디어스포츠의 전개
05 미디어와 스포츠는 어떻게 공생하는가?
프로스포츠의 부흥과 상업화
미디어의 발전과 영상 스포츠의 부흥
06 미디어와 스포츠는 왜 갈등하는가?
독점 관계 형성
이익을 위한 갈등
미디어와 스포츠의 상호 진입
조정과 통합
07 한국의 미디어스포츠는 어떻게 발전했는가?
한국 미디어스포츠의 기원과 발전 과정
한국 미디어스포츠의 진화 과정
2002년 월드컵 이후 미디어스포츠 패러다임
3부 미디어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질문
08 왜 우리는 스포츠에 열광하는가?
미디어스포츠와 수용자
스포츠 팬덤 문화
09 미디어스포츠는 사회적 아비투스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미디어스포츠와 사회적 아비투스
‘붉은악마’의 경험과 집단 정체성
10 스포츠 저널리즘의 역할은 무엇인가?
스포츠 저널리즘의 현재와 미래
방송 중계와 보도
11 스포츠 영웅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스포츠 자본주의의 구축
이데올로기 전파 수단으로서 미디어스포츠
미디어가 만들어 낸 스포츠 영웅
12 왜 기업은 스포츠로 마케팅하는가?
스포츠 마케팅의 개념
스포츠 스폰서링 활동의 전개
스포츠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과 효과
13 디지털 시대에 스포츠 콘텐츠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디지털스포츠 양식의 출현
스마트미디어 환경과 스포츠 콘텐츠
14 미디어스포츠의 미래는 어떻게 달라질까?
수용자의 미래
미디어스포츠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N스크린 환경의 부상으로 시청률이 분산되어 드라마 등 대다수 장르가 시청률을 담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스포츠는 여전히 킬러 콘텐츠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2014년 아시안컵 축구 결승전의 시청률은 34.9%, 순간 시청률 51.3%를 기록해 스포츠 콘텐츠의 가치가 여전함을 시사한다.
_ “개정판 서문” 중에서
정치적 허무주의와 대립이 격화되고 오직 자본만이 위용을 과시하는 이 시대에 우리에게 스포츠는,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새로운 에너지로 작용되어야 한다. 히딩크 감독이 체육 기자에게 지적했듯, ‘축구 방송은 창의적이어야 한다.’ 축구 중계는 하나의 작품이다. 맞는 얘기다. 모든 스포츠 저널리즘은 창의적인 작품이어야 한다. 스포츠 방송은 단순히 오락 기능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인포컬처테인먼트(inforculturetainment)’를 지향하는 방송이어야 하는 것이다.
_ “10 스포츠 저널리즘의 역할은 무엇인가?” 중에서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스포츠는 최적의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스포츠의 사회적·경제적 위상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스마트미디어 환경에서 스포츠 콘텐츠의 상품 경쟁력이 강화됨을 의미한다. 스포츠 시청이 TV를 통해서 ‘단지 멀리서 보는 것’에서 실제로 ‘현장에 있는 것같이 느끼는 것’으로 변하여, 디지털 신기술의 수혜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_ “13 디지털 시대에 스포츠 콘텐츠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