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디지털 디바이드](/img_thumb2/9791130447902.jpg)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디지털 디바이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7902
· 쪽수 : 138쪽
· 출판일 : 2016-11-08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7902
· 쪽수 : 138쪽
· 출판일 : 2016-11-08
책 소개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큰글씨책.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보안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정보통신기술과 서비스 환경의 도래로 디지털 디바이드 즉 정보격차가 다시 새로운 관심과 조명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정보를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을 고찰한다.
목차
01 역사
02 개념
03 원인
04 유형
05 이론
06 구조
07 효과
08 실태
09 대안
10 전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상당히 많은 계층과 사회에 영향을 미침에도 정보격차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기술하기 위한 노력은 부재했다. 정보통신기술과 서비스의 대중화로 정보격차는 완결된 현상이라는 오해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정보격차는 고정된 현상이 아니라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양상으로 변모하고 또한 정보격차 현상 내에서도 새로운 가치와 방향이 등장한다.
“왜 정보격차인가” 중에서
이와 함께 정보통신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성별 차이는 단순히 접근 차원보다는 오히려 성별에 따른 이용 양태의 차이에 따른 결과라는 주장도 있다. 즉, 성인 여성은 인터넷 의사소통 도구를 더 잘 사용하는 반면 성인 남성은 정보, 오락, 상업용, 온라인 게임용으로 더 잘 사용한다는 것이다.
“원인” 중에서
해외 연구들은 디지털 격차를 사회·경제·문화적 맥락과 연계해, 디지털 격차가 이미 존재하고 있던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심화 또는 개선시키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런 연구 경향은 디지털 영역에서 개인 간 존재하는 디지털 자본의 차이가 결국 오프라인 세상으로 그대로 옮겨 갈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디지털 격차가 기존의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심화시키고 사회계층 간 격차를 더욱 확대시킨다는 실증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효과”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