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30457635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5-07-06
책 소개
목차
님의 소재(所在)와 진정한 역사(歷史)?만해(萬海) 시의 중관론적(中觀論的) 역사의식과 유마적(維摩的) 이념
육사(陸史)의 시와 세계 인식
윤동주론
세계 내적 초월의 비전과 절제?김종길의 시 세계
시와 경험적 연대의 재건
전파론적 전제와 비교문학의 문제?한국 비교문학의 자기반성과 재정향을 위하여
해설
김흥규는
해설자 고인환은
책속에서
윤동주의 시가 항일적(抗日的)인 저항시이기에 가치 있는 것은 아니며, 빼어난 서정성(抒情性)이나 미적(美的) 특질을 가져서 가치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견해는 그릇된 것이거나, 적어도 부적절한 것이다. 윤동주 시의 가치는 그가 ‘시대의 고뇌와 개인적 번민을 통일된 육체’로 느끼고 표현했다는 점에서 온다. 그는 자신의 개인적 체험을 역사적 국면의 경험으로 확장함으로써 한 시대의 삶과 의식을 노래하였고 동시에 특정한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의 체험을 인간의 항구적 문제들에 연결함으로써 보편적인 공감에 도달하였다.
―<尹東柱論>
19세기 이전의 한국문학을 ‘비교문학적으로’ 다루면서 중국 문학으로부터 그 성립·발전의 근거를 찾아 결부시키거나, 20세기 이후의 문화사적 추이를 논하면서 그 원천이 된 서구 문학이 무엇이었는지, 얼마만큼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였으며, 그 결과 우리 문학이 어떻게 근대화 또는 현대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에 골몰했던 연구를 우리는 숱하게 볼 수 있다.
―<전파론적 전제와 비교문학의 문제?한국 비교문학의 자기 성찰과 재정향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