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동욱 평론선집

신동욱 평론선집

신동욱 (지은이), 김용희 (해설)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1,1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동욱 평론선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동욱 평론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30457666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15-07-06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평론선집. 1960년대 한국문학사에서 논쟁의 시대에 등단해 독보적 활동을 펼친 신동욱 평론가의 대표 평론 열두 편을 선별해 실었다. 당대 작품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전통문학의 계승 논의를 위해 노력했다.

목차

근대시와 시대정신
抒情詩에 있어서 時間의 問題
崇高美와 滑稽美
韓國에 있어서의 톨스토이 理解와 適用-1910년대를 중심하여
靑山別曲
<招魂>과 응답 없는 님
삶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사람들의 감정과 의지-이문구의 ≪長恨夢≫
삶의 투시로서의 이야기 문학-趙善作의 작품 세계
崔南善의 散文과 民族觀
김유정 소설 연구
김영랑의 시
고향의 말에 담긴 정신?김남곤 시인의 詩心

해설
신동욱은
해설자 김용희는

저자소개

신동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 충청남도 보령에서 태어났다. 1952년 홍성고등학교, 1956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과를 졸업했다. 1975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와 서울대학교 강사를 거쳐 계명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구마모토학원대 교수, 하버드대학교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1960년 3월에 <마법과 미의 영역>이, 5월에 <현대의 음성>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등단했다. 이후 <포오론>(1961), <현대의 서민>(1961), <미토스의 지평>(1965), <긍정하는 히로>(1965), <자유의 신화>(1965), <조지훈론>(1965), <염상섭고>(1969), <풍자소설고>(1971), <신소설과 서구 문화 수용>(1972), <근대시의 서구적 근원 연구>(1972) 등을 발표했다. 그가 추구한 비평 정신은 문학을 통해 가장 근원적이고 기본적인 인간다움을 실현하려는 휴머니즘이다. 인간주의의 문맥에서 바라볼 때 휴머니즘이 완성된 시대는 한 번도 없었다. 하지만 휴머니즘을 완성하려는 의지와 끊임없는 노력이야말로 인간다운 행위이며, 그러한 행위가 곧 문학의 사명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틀에서 민족의 지도적 언어 기능으로서 문학이 이바지해야 하는 민족주의의 입장과 시대를 공동으로 체험하는 참여의 자세에서 문학의 가치를 찾는다. 또한 한국문학의 기본 흐름을 양반문학과 평민문학의 2대 주류로 분석하면서 전자의 성격을 숭고미·우아미로, 후자의 성격을 골계미로 특징지었다. 특히 평민문학은 소박하고 기교가 없지만, 일정한 형식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미의 영역을 확대했으며, 시대를 반영하며 공동 체험을 나타낸 점에서 가치가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학사의 사실주의적 부분을 강조하고 염상섭·현진건·채만식·김유정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 현대문학론≫(박영사, 1972), ≪한국 현대 비평사≫(한국일보사, 1975), ≪문학의 해석≫(고려대출판부, 1976), ≪우리 시대의 작가와 모순의 미학≫(개문사, 1982), ≪우리의 삶과 문학≫(고려원, 1985), ≪삶의 투시로서의 문학≫(문학과지성사, 1988), ≪시상과 목소리≫(민음사, 1991), ≪한국 현대문학사≫(공저, 방송통신대출판부, 1991), ≪1930년대 한국 소설 연구≫(한샘출판사, 1994), ≪한국문학과 시대의식≫(푸른사상, 2014), ≪한국 현대문학사≫(공저, 집문당, 2014) 등이 있다. 1982년 연세대학술상과 조연현문학상, 1989년 월탄문학상, 1994년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용희 (해설)    정보 더보기
2009년 단편소설 〈꽃을 던지다〉를 〈작가세계〉 가을호에 발표하며 등단했다. 작품으로는 첫 장편소설 《란제리 소녀시대》(2009 문화예술위원회 우수문학도서 선정)를 비롯해 《화요일의 키스》, 《해랑》, 《나의 마지막 첫경험》, 창작집 《향나무베개를 베고 자는 잠》(문화예술위원회 우수문학도서 선정)이 있다. 하동국제문학상 대상, 불교문학상, 소나기마을문학상 등을 받았다. 현재 평택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抒情詩는 지극히 개인적인 수준에서 출발하여 時代를 證言하고 民族을 대변하고 있다는 공동 의식을 독자들에게 일깨운다.
―<抒情詩에 있어서 時間의 問題>

(≪九雲夢≫, ≪흥부전≫) 두 작품의 비교에서 나타난 대립적인 요소들은 우리 문학의 전반에 걸쳐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身分的 의미에서 崇高美로 대표되고 다른 하나는 사물의 客觀化를 중심으로 실제 생활의 공감을 바탕으로 한 滑稽美로 대표된다. 이 두 美學의 대립은 한국문학의 主流的인 전통에서 확인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짐작된다.
―<崇高美와 滑稽美>

김남곤 시인의 시적 음성에는 강인한 의지와 향토적인 소박한 어조가 고유한 미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
김소월 님의 절규하는 목소리는 짙은 애상미가 우러나고, 한용운 님의 시상에는 집요하고 강인한 저항적 엄숙미가 우세하다. 정지용 님의 시 세계는 사물의 인식에 순리와 어긋남을 지적으로 펼치는 감성미가 보인다. 이에 비하여 이상 님의 시 세계는 시대의 어긋남을 추상적으로 압축하여 지적인 엄정성을 표현한다. 그러나 김영랑 님의 어조에는 남도의 서정적 음색이 매우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독자로 하여금 그의 시어에 흡수당하게 하는 서정적 특성이 있어, 우아미와 비극미가 융합된 미의 세계를 확립하였다. 그런 뜻에서는 아마도 한국 최고의 상징성을 심화시킨 유일한 시인이라 보인다.
그러나 향토색을 가장 짙게 작품으로 성공시킨 예는 함경도의 산촌이나 농촌 생활상을 짙게 반영한 백석 시인의 향토적 풍미가 으뜸일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시적 천분이 매우 뛰어난 시인들의 시적 특성은 다양하고, 그만큼 한국 근대시들에는 놀라운 예술성이 나타나 있다. 윤동주 시인은 기독교의 신앙생활과 시적 천분이 융합되어, 놀라운 섬세성을 나타내고 자의식의 내면세계를 시화하여 시대의 왜곡됨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어, 독자들의 크고 넓은 공감을 자아내었다.
―<고향의 말에 담긴 정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