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30457666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15-07-06
책 소개
목차
근대시와 시대정신
抒情詩에 있어서 時間의 問題
崇高美와 滑稽美
韓國에 있어서의 톨스토이 理解와 適用-1910년대를 중심하여
靑山別曲
<招魂>과 응답 없는 님
삶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사람들의 감정과 의지-이문구의 ≪長恨夢≫
삶의 투시로서의 이야기 문학-趙善作의 작품 세계
崔南善의 散文과 民族觀
김유정 소설 연구
김영랑의 시
고향의 말에 담긴 정신?김남곤 시인의 詩心
해설
신동욱은
해설자 김용희는
책속에서
抒情詩는 지극히 개인적인 수준에서 출발하여 時代를 證言하고 民族을 대변하고 있다는 공동 의식을 독자들에게 일깨운다.
―<抒情詩에 있어서 時間의 問題>
(≪九雲夢≫, ≪흥부전≫) 두 작품의 비교에서 나타난 대립적인 요소들은 우리 문학의 전반에 걸쳐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身分的 의미에서 崇高美로 대표되고 다른 하나는 사물의 客觀化를 중심으로 실제 생활의 공감을 바탕으로 한 滑稽美로 대표된다. 이 두 美學의 대립은 한국문학의 主流的인 전통에서 확인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짐작된다.
―<崇高美와 滑稽美>
김남곤 시인의 시적 음성에는 강인한 의지와 향토적인 소박한 어조가 고유한 미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
김소월 님의 절규하는 목소리는 짙은 애상미가 우러나고, 한용운 님의 시상에는 집요하고 강인한 저항적 엄숙미가 우세하다. 정지용 님의 시 세계는 사물의 인식에 순리와 어긋남을 지적으로 펼치는 감성미가 보인다. 이에 비하여 이상 님의 시 세계는 시대의 어긋남을 추상적으로 압축하여 지적인 엄정성을 표현한다. 그러나 김영랑 님의 어조에는 남도의 서정적 음색이 매우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독자로 하여금 그의 시어에 흡수당하게 하는 서정적 특성이 있어, 우아미와 비극미가 융합된 미의 세계를 확립하였다. 그런 뜻에서는 아마도 한국 최고의 상징성을 심화시킨 유일한 시인이라 보인다.
그러나 향토색을 가장 짙게 작품으로 성공시킨 예는 함경도의 산촌이나 농촌 생활상을 짙게 반영한 백석 시인의 향토적 풍미가 으뜸일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시적 천분이 매우 뛰어난 시인들의 시적 특성은 다양하고, 그만큼 한국 근대시들에는 놀라운 예술성이 나타나 있다. 윤동주 시인은 기독교의 신앙생활과 시적 천분이 융합되어, 놀라운 섬세성을 나타내고 자의식의 내면세계를 시화하여 시대의 왜곡됨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어, 독자들의 크고 넓은 공감을 자아내었다.
―<고향의 말에 담긴 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