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뇌과학 > 뇌과학 일반
· ISBN : 9791130627564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12-10
책 소개
목차
서문 무의식에 숨은 신경 논리
뇌지도
1장 | 시각장애인은 꿈속에서 무엇을 보는가?
지각, 꿈, 외부세계의 창조
빈틈을 메우는 메커니즘 | 꿈의 재료 | 토끼굴 아래로 | 시각장애인에게 보이는 것 |
관자엽에는 루크 스카이워커가 산다 | 소리의 회랑 | 꿈 기계
2장 | 좀비도 차를 몰고 출퇴근할 수 있는가?
습관, 자기통제, 자동행동
우리 안의 좀비 | 보지 않는 상태에서 보이는 시야 | 십자형 미로 속의 생쥐 | 집중하지 않고 집중하기 | 가짜 미소 알아내기 | 우유 사오는 것을 잊어버린 이유는 무엇인가 | 왜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먹는 것일까? | 집행 기능의 고장 | 자동조종 상태에서의 살인 | 멀티태스킹을 위한 두 시스템
3장 | 상상만으로도 운동 실력이 좋아질 수 있는가?
운동 통제, 학습, 심상 시뮬레이션의 힘
심상 시뮬레이터 | 머릿속으로 연습하는 근육 운동 |
페틀렙 프로그램 | 뇌중풍에서 얻은 깨달음 | 환상사지통증은 어디를 긁어야 할까? |
거울신경 | 하품은 왜 전염되는가? | 공감, 포르노그래피, 자폐성 장애 | 직감
4장 |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기억할 수 있을까?
기억, 감정, 자기중심적인 뇌
엉성하게 얽혀 있는 스냅사진 | 라이벌팀 스포츠팬의 뇌 |
9/11 테러 당시 어디에 있었는지 기억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다운타운 사람과 미드타운 사람 | 모르는 것이 약이다 | “사실이라고 믿으면 거짓말이 아니다” | 말짓기증 뇌가 들려주는 동화
5장 | 왜 사람들은 외계인 납치설을 믿는가?
초자연적 경험담과 기이한 믿음이 생겨나는 이유
“나는 외계인에게 납치당했다!” … 211 | 수면마비 … 213 |
자기 그림자도 무서운 사람들 … 215 | 신과의 대화 … 217 | 걸어다니는 시체 … 222 |
아내와 피우는 바람? … 224 | 죽음의 경계선에서 보는 환상 … 226 |
전투기 조종사와 심장마비 환자 … 229 | 인질 환각 … 234 | ‘올드 해그’의 공격 … 237
6장 | 조현병 환자에게 환청이 들리는 이유는?
언어, 환각, 자아/비자아의 구분
마이크에서 나오는 속삭임 | “내가 방해하면 그도 말을 걸지 못해요…” |
“내가 말을 할 때마다 다른 누군가도 말을 해요…” | 인간과 전기 물고기의 닮은 점 |
시스템 고장 | 청각장애인도 머릿속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 | 자기감시장애
스스로 간지럼을 태우지 못하는 이유는? | 기시감
7장 | 최면 살인은 가능한가?
주의집중, 영향, 잠재의식 메시지의 힘
지금 당신은 잠이 쏟아집니다 | 칵테일파티 효과 | 스트루프 효과 극복하기 |
팝콘 드세요, 콜라 드세요 | 의식은 인지하지 못한 얼굴 | 뇌에 자리잡은 브랜드 네임 |
뇌의 변명 | “칼이 찔렀어요” | 하나의 뇌, 두 개의 시스템
8장 | 다중인격은 똑같은 안경을 공유하지 못한다?
인격, 트라우마, 자기방어
하나의 자아 찾기 | 분리된 뇌 | 나쁜 것은 보지 마라 | 조각조각 분열된 정신 | 내면의 최면술사 | 나 하나에 눈 하나 | 신경 논리
감사의 글 | 본문의 주 | 참고문헌 | 이미지 출처 |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질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질문이 조금 많은 편이다. 미니밴의 뒷자리에 앉아 부모에게 질문을 하고 그 대답을 듣자마자 부모가 울화통이 터지기 일보 직전까지 계속해서 “그런데 왜요?”라고 묻는 꼬마 아이의 성인 버전이라 할 수 있다. …… 이들 학문과 의학적인 신경학의 접점까지 공부하는 동안 나는 똑같은 엄밀함을 적용해 새로운 질문을 제기하려 노력했다. 결정을 내리는 작동방식은 무엇인가? 정신질환은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와 뇌 사이에 벌어지는 상호작용은 무엇이며, 뇌는 어떻게 해서 우리라는 사람을 만들어내는가?
<서문>
꿈이라는 것은 한 편의 영화와 비슷하다. 우리는 꿈속 모험을 자의적으로 선택할 수 없다. 대부분은 그렇다. 다만 자각몽(lucid dream)은 예외다. 자각몽을 꾸는 사람은 자신이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심지어는 자기 의지대로 꿈속 세상을 탐험하기도 한다.
자각몽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방금 전까지만 해도 렘수면에서는 이마앞엽겉질이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런데 꿈을 능동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1장 시각장애인은 꿈속에서 무엇을 보는가?>
타이거 우즈의 아버지는 아들이 메이저 대회를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때 훈련 스케줄에는 적혀 있지 않은 조금 색다른 방식의 일과에 대해서도 즐겨 말한다. “타이거는 메이저 대회를 앞두고 한 주 동안은 정신과 신체를 세심하게 조절했습니다. 골프장에서 라운딩을 연습하고 집으로 돌아오면 타이거는 눈을 꼭 감은 채 침대에 누워 있었죠. 아들은 머릿속에서 자신이 해야 할 샷을 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하더군요.”
<3장 상상만으로도 운동 실력이 좋아질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