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붓다와 함께 쓰는 시론

붓다와 함께 쓰는 시론

(근대시론을 넘어서기 위하여)

정효구 (지은이)
푸른사상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붓다와 함께 쓰는 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붓다와 함께 쓰는 시론 (근대시론을 넘어서기 위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9113080568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11-12

책 소개

푸른사상 학술총서 33권. 서양의 근대시론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고 형성된 우리 시학계의 근현대시론은 물론 서양의 근현대시론 자체를 극복할 시점이 왔다는 판단 아래 동양사상, 특히 불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새롭게 쓴 문제적이며 미래적인 시론서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시심불심(詩心佛心)
1. 시, 불성(佛性)에 대한 믿음으로 밀어(密語) 나누기
2. 시, 불성(佛性)의 만개를 꿈꾸는 주술(呪術)언어
3. 시, 불심(佛心)이 창조한 증도(證道)의 세계
4. 시, 보살심(菩薩心)이 피워낸 사랑의 세계
5. 시, 선지식(善知識)을 찾아가는 구법(求法)여행
6. 시, 도반(道伴)과 함께 가는 수행(修行)의 길
7. 시, 선심(禪心)이 창조한 격외(格外)의 언어
8. 시, 자유인이 발화한 방생(放生)의 언어
9. 시, 침묵에서 태어난 무설(無說)의 언어
10. 시, 선인(善因)을 심고 선연(善緣)을 가꾸는 길
11. 시, 상(相)으로써 상(相)을 넘어서는 길
12. 시, 언어로써 언어를 넘어서는 길
13. 시, 인간으로서 인간을 넘어서는 길
14. 시, 야단(野壇)의 법회, 법석의 법담(法談)

제2부 시경심경(詩經心經)
1. 시, 반야지혜(般若智慧)를 증장하는 길
2. 시, 바라밀을 행하는 길
3. 시, 시경(詩經)을 창조하는 길
4. 시, 관음(觀音)의 사랑, 관자재(觀自在)의 자유
5. 시, 일체고액(一切苦厄)을 넘어서려는 길
6. 시, 조견(照見)하는 관자(觀者) 혹은 견자(見者)의 길
7. 시, 공성(空性)이라는 모원(母源) 혹은 귀원(歸源)의 산물
8. 시, 불구부정(不垢不淨)의 마음, 평등심의 묘용
9. 시, ‘전도몽상(顚倒夢想)’으로부터 떠나는 길
10. 시, ‘무유공포(無有恐怖)’의 세계에 이르는 길
11. 시, ‘대명주(大明呪)’의 복음(福音) 혹은 원음(原音)
12. 시, 수기(受記) 혹은 기별(記別)의 물증
13. 시, ‘허접한 꽃들의 축제’에 동참하는 일
14. 시,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제3부 시상심상(詩想心想)
1. 문체, 마음의 물질화
2. 시어, 여실(如實)한 말들의 탄생
3. 리듬, 원음(圓音)을 그리워하는 율동
4. 비유, 주인을 나르는 수레바퀴
5. 상징, 효율적인 관상(觀象)
6. 상상력, 공성(空性)의 무한 창조력
7. 어조, 화신(化身)들의 목소리
8. 소재, 두두물물(頭頭物物)의 발견
9. 역설과 반어, 쌍차쌍조(雙遮雙照)의 드라마
10. 여백, 공터의 쓰임새
11. 이미지, 진실한 환영들
12. 정서, 공심(公心)으로 발효된 감정
13. 공감, 무아(無我)의 순간과 경험
14. 독자, 시담(詩談)의 도반들
15. 시집, 만행(卍行)의 보고서

제4부 시인평인(詩人平人)
1. 시와 성공
2. 시와 심호흡
3. 시와 우주심(宇宙心)
4. 시와 평인지기(平人之氣)
5. 시와 연금술
6. 시와 욕망
7. 시와 진아(眞我)
8. 시와 멋
9. 시와 자기 조직화
10. 시와 무의식의 소리
11. 시와 무위(無爲) 그리고 허(虛)
12. 시와 표현
13. 시와 언어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효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출생.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1981)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1983)와 박사학위(1989)를 받았다. 1985년 『한국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학평론 활동을 시작하였다. 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 시와시학상, 현대불교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존재의 전환을 위하여』(1987), 『시와 젊음』(1989), 『현대시와 기호학』(1989), 『광야의 시학』(1991), 『상상력의 모험 : 80년대 시인들』(1992),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1994), 『20세기 한국시의 정신과 방법』(1995), 『백석』(편저, 1996), 『20세기 한국시와 비평정신』(1997), 『몽상의 시학 : 90년대 시인들』(1998), 『한국 현대시와 자연 탐구』(1998), 『시 읽는 기쁨』(2001),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2002), 『시 읽는 기쁨 2』(2003), 『재미 한인문학 연구』(공저, 2003), 『정진규의 시와 시론 연구』(2005), 『시 읽는 기쁨 3』(2006), 『한국 현대시와 평인(平人)의 사상』(2007), 『마당 이야기』(2009), 『맑은 행복을 위한 345장의 불교적 명상』(2010), 『일심(一心)의 시학, 도심(道心)의 미학』(2011), 『한용운의 『님의 침묵』, 전편 다시 읽기』(2013), 『붓다와 함께 쓰는 시론』(2015), 『신월인천강지곡』(2016), 『님의 말씀』(2016), 『불교시학의 발견과 모색』(2018), 『다르마의 축복』(2018), 『바다에 관한 115장의 명상』(2019), 『파라미타의 행복』(2021), 『사막 수업 82장』(2022), 『영성 수행으로서의 시읽기와 시쓰기』(2024)가 있다.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