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30814773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9-11-15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제1부 매화꽃이 피었다
솔기 / 빈집 / 뒷목이 되다 / 매화꽃이 피었다 / 어머니의 서랍 / 고무나무 / 함 싸기 / 생짜배기 / 슬픔을 사는 사람들
제2부 출가
스며들다 / 헛제삿밥 / 출가 / 청양고추 / 발효 / 그릇을 빚다 / 뒤 / 편지 / 손을 읽다 / 바코드
제3부 보물찾기
밥 / 아버지의 구두 / 균형 / 벚꽃증후군 / 물갈이 / 이사 / 보물찾기 / 이매탈
제4부 아버지의 등
미역국 / 아버지의 등 / 뚜껑 / 주령구 / 처음이라서 서툴다 / 육개장을 먹는 시간 / 곰보빵
제5부 피베리 커피
골목길을 읽는다 / 꽃 손 / 사진 찍기 / 피베리 커피 / 고약한 발 / 그녀의 목소리 / 수건 / 이슬이가 떠났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내가 시댁 사람이 되기까지는 녹록하지 않았던 삶과 소태처럼 쓴 날들이 많았다. 시집와서 한동안은 식구들과 융화하지 못했다. 구르는 돌처럼 모서리를 세우고 각지게 산 날들도 있었다. 차남이면서 장남 노릇을 해야만 하는 남편의 짐은 턱없이 무거웠다. 그러다 보니 식구들 앞에서 떨그럭거리는 소리도 자주 냈다. 더러는 원망과 욕심으로 뭉쳐진 마음의 결을 다스리지 못해 오래도록 끙끙거리기도 했다.
스님은 10년 만에 친구를 만나 잠깐이지만 다시 여자로 돌아왔다. 공유했던 추억을 끄집어낼 때마다 스님의 얼굴에는 백일홍 꽃잎처럼 수줍게 물이 들었다. 가끔 행자 스님들 흉을 볼 때는 목젖이 보이도록 웃기도 했다. 추억이란 대체 무엇일까. 얼마나 대단한 위력을 가졌기에 속세와 절교하고 삭발한 그녀의 마음조차 쥐고 흔드는 걸까.
친구 스님은 다시 주전자를 들고 빈 찻잔에 차를 따랐다. 쭈르르, 찻물 따르는 소리에 쌉싸래한 차 향기가 코끝에 와 닿았다. 스님이 따라준 차 한 모금을 입에 물고 밖을 내다보니 댓돌 위에 놓여 있는 하얀 남자 고무신이 눈에 들어왔다. 순간 스님과 눈이 마주쳤다. 스님도 고무신을 바라보고 있었던 모양이다.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었다는 것이 민망했던지 스님은 “보기엔 투박해도 저 고무신이 참, 편해요.”라고 하며 수줍은 듯 얼굴이 발그스레해졌다. 스님의 짧은 한마디에 가슴 한편에서 뜨거운 무엇인가가 울컥하며 느꺼워졌다. 편안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만큼 절 생활이 익숙해졌다는 것일까. 스님은 한 남자와의 인연을 끊으려고 출가했고 나는 한 남자의 아내가 되려고 출가했지만, 어느새 우리는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었다.
가장 맛이 좋을 거라며 스님은 찻잔에 세 번째 우린 차를 따랐다. 쪼르르, 찻물 떨어지는 소리에 출가를 꿈꾸던 가을 햇볕이 슬그머니 달아난다.
그날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얼굴이 화끈거린다. 몇 살이라도 더 먹은 내가 참았어야 했다. 어머니를 보내는 일이 처음이라 서로 실수한 것에 대해 언니인 내가 관대하지 못했던 것 같다. 동생들도 방법이 달랐을 뿐이지 엄마를 사랑하는 마음은 누구보다도 컸을 것이라는 생각을 왜 못 했을까.
우리는 매일 처음과 만난다. 한 번도 살아본 적 없는 오늘과 마주하며 산다. 따지고 보면 이 세상에 처음 아닌 것은 없다. 처음은 설레게 다가오는 만큼 두렵기도 하다. 첫사랑도 연습 없이 처음 하는 사랑이라 익숙지 못하고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서툴러서 헤어지게 된다. 하지만 지나고 나면 꾸밈없던 그때가 얼마나 순수하고 아름다웠는지 알게 된다.
처음 겪은 사고로 충격이 큰 딸애만큼 첫 사고인 내 차에 상처도 심했다. 딸애는 무서워서 당분간 운전을 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나는 실수가 두려워 포기한다면 앞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테니 더 조심하며 운전을 해야 한다고 했다.
혼자 자라 새로운 것과 부딪히는 것을 두려워하는 딸애 나이 이제 겨우 스물다섯 살이다. 살아가면서 앞으로 딸애가 만나야 할 처음인 것들이 얼마나 많을까. 눈부시게 아름다운 사랑도 해야 하고 엄마도 되어야 한다. 또한, 언젠가는 처음으로 부모의 죽음을 맞이하기도 해야 할 것이다.
세상의 모든 시작은 처음이다. 소녀가 자라 여자가 되고 어머니가 되는 것처럼 처음부터 완성되는 인생은 없다. 삶이란 서툰 것이 쌓여 미립을 얻는 일이라고 딸애한테 이야기해주고 싶다. 서투르게 시작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의 삶이고.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내 모든 처음을 사랑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