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3082020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03-3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경계를 넘어 —예술과 사회, 장르, 생태
지역문학관 상설 전시실 조성 방안― 기형도문학관을 중심으로 | 박덕규
우리 그림책의 포스트모던 서사 전략— 박연철의 『피노키오는 왜 엄펑소니를 꿀꺽했을까?』를 중심으로 | 이은주
레비 브라이언트의 포스트휴먼 매체생태론과 동시대 예술의 생태적 실천 | 배혜정
기록하는 예술
알레고리와 아카이브— 동시대 예술의 연결법 | 홍지석
미주 한인 이주서사의 상징 활용 양상― 영화 <미나리>를 중심으로 | 최수웅
장소성 형성의 프로세스 연구― 『여학생일기』에 나타난 식민지 대구를 중심으로 | 강민희
기록으로서의 예술― 마을공동체 내 문화공간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연주
예술 융합 교육의 실제
뮤지엄 아카이브의 참여형 디지털 플랫폼과 교육적 기능― 테이트의 '아카이브와 액세스 프로젝트(2013-2017)' 사례를 중심으로 | 지가은
'유튜브 시대의 읽기 교수법'을 위한 담론― 융복합적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 임수경
심미적 경험 중심 보컬교육의 필요성과 수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 | 황은지
대중가요 작사교육이 여고생의 스트레스 뇌파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 김희선, 원희욱
▪저자 소개
▪수록글 출처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내 문학관의 상설전시실은 크게 보면 몇 개의 전시실로 구획된 경우와 단일 공간을 적절한 면적으로 공간 구분을 한 경우로 나뉜다. 단일 공간 전시실에 비해 복수 전시실은 해당 문인의 생애와 업적을 주제나 시기별로 나누어 관람할 수 있는 구성이 그만큼 쉽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문인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일별하는 공간을 1전시실에, 대표작을 중심으로 특정 업적을 감상하는 공간을 2전시실에 두는 것과 같은 예다. 기형도문학관은 단일 공간의 전시실을 꾸미지만 전체와 특징을 아울러 관람하게 구성했다. 이런 구성을 취하는 데에는 기형도의 생애와 문학이 지니는 특징이 관련된다.
미주 한인들의 창작 활동이 여러 분야로 확산되면서 이주서사의 범위도 확장되었다. 문학뿐만 아니라 연극, 무용, 영화, TV드라마 등의 영역에서 작품이 발표되며, 다른 민족 문화예술 소비자와의 접점이 넓어졌다. 이에 따라 특정 민족의 이야기로 국한되지 않고, 이주 경험을 가진 집단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서사를 지향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폐쇄적 공동체에서 벗어나, 다른 계층과의 교류를 추구하는 관계성이 강조된다. 특수성에 바탕을 둔 보편성의 확보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 해당하는 대표 사례로 정이삭(Lee Isaac Chung) 감독의 영화 <미나리(Minari)>(2020)를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1980년대 미국 중부의 농업 지역인 아칸소(Arkansas)로 이주한 한인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는데,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 주요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받았다. 캐릭터와 소재에서 한민족 이주서사를 선명하게 부각했음에도, 여러 지역 관객들의 동감을 도출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