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민족의 문화 DNA 천문

한민족의 문화 DNA 천문

김가원 (지은이)
부크크(bookk)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0원
19,000원 >
1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민족의 문화 DNA 천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민족의 문화 DNA 천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37220041
· 쪽수 : 353쪽
· 출판일 : 2020-10-08

목차

○ 우리 시대의 문화를 생각하며 1
? 역(易)에 바탕을 둔 우리의 미풍양속 그것은 과학이다. 10
○ 천체 운행의 질서와 우리 삶의 중심 18
? 동지(冬至)의 팥죽과 역(易)의 음양(陰陽) 22
○ 24절기와 주역의 64괘 24
○ 광화문의 의미체계와 민중의 촛불 열기 33
○ 정치 제도의 상징 역의 구궁도(九宮圖) 36
○ 정전법으로 구체화 된 하늘과 땅의 변화 39
○ 동양의 삼재(三才) 사상과 우리 삶의 질서 45
? 역(易)과 우리의 풍속 48
? 역의 양기운과 풍속도에 나타난 붉은 색의 상관관계 56
○ 흐르는 강물과 우리 조상들의 하늘 59
○ 태극기와 우리 사회의 정치 질서 63
○ 역의 만방진(卍方陳)과 천문 67
○ 역(易)의 역지사지(易地思之) 75
○ 불교 화엄경(華嚴經) 십지품(十地品)과 주역 구덕(九德) 삼진괘(三陳卦)의 공통점 89
○ 우리의 자부심 우리 조상들의 세계관 96
○ 윷놀이 판으로 들어온 천체의 음양 99
○ 의상의 개념을 통해 살핀 삶의 본질 102
○ 아이가 탄생했을 때의 민간 풍속 106
○ 문장(文章)과 수(?) 107
○ 악(樂)의 율려(律呂)와 역(易)의 음양(陰陽) 109
○ 율려(律呂)와 악(樂)의 이치 118
○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과 주역의 음양 121
○ 음악(音樂)을 대하는 현대인의 바람직한 자세 130
○ 정성(鄭聲)의 개념을 통한 우리 마음의 성찰 135
○ 천지자연의 이치를 반영한 월별(月別) 역(曆)의 명칭 141
○ 납일(臘日)과 제야(除夜-除夕) 147
○ 우리가 알아야 하는 옛날 풍속의 유래. 150
○ 동양의 삼재(三才) 사상과 우리 삶의 질서 155
○ 벽오동(碧梧桐)을 심은 뜻은 159
○ 노래방 문화와 가무(歌舞) 음악(音樂)의 본질(本質) 162
○ 옷을 입으면서 생겨나는 우리 마음의 변화는? 169
○ 경침의 유래와 거기에 숨겨진 교훈 173
○ 베개를 이용한 건강 관리법 178
? 건물의 명칭에 나타난 옛사람들의 세계관 180
○ 장례(葬禮) 절차에 나타난 옛사람들의 세계관 184
○ 7월 칠석의 까치와 역의 칠일(七日) 래복(來復) 193
○ 불교에 자리 잡은 칠성(七星) 신앙의 본질 197
○ 오행(五行)의 논리와 자연의 현상 200
○ 하늘의 운행 이치와 하느님 206
○ 일 년의 운행 도수를 나타내는 28개의 별자리와 주역 208
○ 천체의 운행 궤도와 자기 삶의 성찰 212
? 우리는 왜 점집을 찾는가? 221
○ 인류의 문화를 이끌어 온 주역 225
○ 인간의 음양(陰陽) 순화된 내면의 정서 233
○ 황조가(黃鳥歌)를 통해 살핀 우리 조상들의 음양(陰陽) 242
○ 주역의 괘사로 미루어 본 아름다움의 의미 245
○ 성 윤리와 혼례 247
○ 제비가 보여준 암수 간의 정리(情理) 251
○ 나무의 음양, 꽃의 음양 253
○ 조선의 문화유산에서 보게 되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 255
○ 낙낙와(樂樂窩)라는 명칭에 나타난 우리 조상들의 세계관 266
○ 오운(五運) 육기(六氣)로 본받는 삶의 지혜 269
○ 달력의 유래와 우리나라의 역(曆) 274
○ 천지 변화의 모태-(오운육기五運六氣-천원 기대론) 282
○ 하늘과 땅 상호 기운의 소통 284
○ 오운 육기를 활용한 현실에서의 응용 288
○ 오운육기(五運六氣)의 특성을 활용한 우리 몸의 관리 292
○ 신체의 구조에 적용하여 살핀 역의 음양 294
○ 음양(陰陽)의 이치를 활용한 우리 몸의 조절 298
○ 음양의 상호 관련성 302
○ 오운 육기로 세상을 살피는 눈 305
○ 간지(干支)의 원리 간지(干支)의 표상 1 306
○ 간지의 원리 간지의 표상 2 312
○ 절기를 중심으로 전해오는 풍속들을 통한 의미 고찰 315
○ 옛 시대의 호칭들에 의한 세계관의 고찰 321
○ 사물의 무게를 재는 단위, 권(權) 추(錘) 석(石)과 관련된 편지글의 명칭 324
○ 달이 뜨고 지는 현상과 관련된 옛사람의 안목 328
○ 매미에게 주목한 우리 조상들의 세계관 331
○ 절하는 풍속으로 반영된 세상의 이치 335
○ 제사의 의미를 돌아보며 340
○ 책을 마무리하며 불궤불물(不軌不物) 342

저자소개

김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찰나에 세상을 달리하는 이 땅 위의 우리들 모습이다. 무상한 삶 위에서 수천년 우리 민족의 정신을 지탱해온 역사의 흐름을 생각해 보면 개인의 이력이나 경력 따위를 열거하는 것은 너무나 의미가 미미하다. 실제 나 자신의 출신 고향도 거쳐온 학교도 되돌아 보면 아득한 기억뿐이다 그 언젠가는 살결도 뽀얀 했을 테지만 어느덧 노년이다 한때의 젊음과 열정 잠깐 있다가 이내 없어짐에 누가 나이며 무엇을 위한 나의 삶일것인가? 숨 돌리면 이내 오는 세상이요 여러 갈래 마음의 실마리에도 이끌리는 쪽은 붙이는 생각이 강한 쪽이니 오직 힘쓸 바는 티끌 경계를 벗어나 마음의 눈을 높이 뜰 일이다 하여 안으로는 나와 남을 다투지 않는 덕을 기르고 밖으로는 신령스럽고 묘한 내 마음의 성스러움을 자각하는 도 위에 서 있는 날들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나 자신에 대한 소개를 대신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내 안의 정신을 드러내기에는 미흡함이 있는 듯하여 내가 기술해온 저서를 소개하는 것으로 그 아쉬움을 달래기로 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