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3884068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3-1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 초고령사회가 준비하지 못한 웰다잉 이야기
2. 웰다잉 정책서비스의 진단과 다잉인플레이스 서비스
3. 웰다잉 전문가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한 새로운 서비스 산업
제1장 통계와 데이터로 보는 노인의 죽음
1. 세계 인구 통계와 전망
2. 세계 인구 사망통계와 원인 및 장소
3. 한국 고령자 인구 사망통계와 원인 및 장소
제2장 노인의 ‘좋은 죽음’, 웰다잉에 대한 이해
1. 좋은 죽음이란?
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 소개
3. 웰다잉 교육
제3장 생애말기돌봄
1. 요양원과 요양병원에서의 생애말기돌봄
2. 재택임종
제4장 연명의료결정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 생애말기 돌봄과 연명의료결정제도의 필요성
2. 연명의료결정제도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상담사, 연명의료계획서
4. 의료기관윤리위원회, 연명의료중단등결정
제5장 호스피스
1.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현황
2. 법적 근거
3. 호스피스 주요 서비스
4.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진료 및 서비스 지침서
5. 호스피스・완화의료팀
6. 호스피스・완화의료 개선 방안
제6장 상속 관련 제도
1. 초고령 사회에서 노인의 재산 상속
2. 상속의 기본원칙
3. 상속의 종류
4. 피상속인의 상속 준비 관련 제도
5. 상속인 보호를 위한 제도
6. 상속 관련 공익 서비스
제7장 유언의 법률적 특징과 방식
1. 유언의 기본 개념
2. 유언의 법적 요건
3. 유언 방식과 특징 및 장단점
4. 유언의 법적 효력 발생 과정
5. 해외 사례
6. 유언장 작성 교육과 지원
7. 유언 무료 상담 서비스와 공익단체 지원
제8장 장사(葬事) 문화와 제도의 변화
1. 장례(葬禮)와 장묘(葬墓) 문화
2.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이해
3. 장례지도사의 역할과 전망
4. 준비하는 죽음
5. 장사문화사업 현황 및 전망
제9장 공영장례와 유품정리
1. 공영장례
2. 고독 死는 무연고 死인가?
3. 특수청소로 불리는 유품정리
4. 상조사업
제10장 취약한 노인의 죽음준비를 위한 웰다잉 관련 제도와 정책에 대한 이해
1. 취약계층 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 자살, 연명치료에 대한 생각
2. 취약계층 노인의 삶 및 죽음 준비
3. 취약계층 노인의 의사결정 및 관련 제도
4. 취약계층을 위한 장례지원제도
5. 무연고 사망자의 유류품 처리 절차
제11장 웰다잉 산업과 디지털을 활용한 기술산업
1. 정주를 지원하는 기술
2. 요양시설에서의 삶을 지원하는 기술
3. 병원 시설의 스마트 기술
4. 임종 후를 돕는 기술
5. 웰다잉에 융합될 기술의 미래
제12장 웰다잉의 마지막 고민: 존엄사법(의사조력사망법)
1. 낯선 ‘죽음 이야기’, 존엄사
2. ‘의사 조력’의 범위
3.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 조건
4. 존엄사법 논의에서 우선되어야 하는 환자의 고민과 어려움
부록편
1. 사망진단서(한국, 일본, 미국)
2. 사전돌봄계획 작성을 위한 안내서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4.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동의서
5. 요양병원 임종실 입원 정액수가 신설 관련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