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41041731
· 쪽수 : 615쪽
· 출판일 : 2023-08-30
목차
제1장 비평의 개념과 분류
비평의 사전적 뜻과 어원|비평의 일반적 정의와 관점|특성에 따른 비평의 분류|비평에 대한 비평가들의 생각|비평의 역할: 왜 비평 하는가
제2장 한국음악비평사
동아시아의 고전비평문화|고려와 조선전기 음악비평|조선후기 음악비평|근대 한국음악비평: 음악의 3분화|국악비평사: 전통 vs 융합|클래식창작음악비평사: 한국음악의 정체성|대중음악비평사: 취향과 담론|한국음악비평사의 특징과 성격
제3장 역사주의 음악비평
역사주의 비평의 개념|<속악원보>의 진위 문제|종묘제례악 변질에 대한 학계의 해석|종묘제례악 왜곡 논쟁|종묘제례악 논쟁에 대한 비평계의 반응|역사주의 비평의 의의와 한계
제4장 민족주의 음악비평
민족주의의 개념|일본의 민족개념과 문화민족|한국의 민족주의: 국가민족주의와 민중민족주의|해방공간의 민족음악 담론|1980년대 민족음악론|국악비평과 민족주의|국악작곡·퓨전국악·국악관현악 논쟁|예술가, 그들의 목소리|민족주의 비평의 한계와 의의
제5장 사회문화 음악비평
사회문화비평의 개념|협의의 사회문화 음악비평|음악·공연·창작 없애기 기획|기능화성과 서구·자본 지배|자본주의 시장과 국악|광의의 사회문화 음악비평|사회문화비평의 의의와 한계: 비평과 성찰
제6장 형식주의 음악비평
러시아 형식주의와 영미 신비평|형식주의 음악비평의 양면성|형식주의 vs 반反형식주의|내재적 음악비평|형식주의 비평의 한계와 의의: 비평과 권력
제7장 탈구조주의 음악비평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푸코와 한국음악비평: 지식권력|라캉과 한국음악비평: 타자의 욕망|들뢰즈와 한국음악비평: 탈주와 탈영토화|탈구조주의 비평의 의의와 한계: 서구의 그림자
제8장 탈식민주의 음악비평
탈식민주의 비평의 개념|탈식민주의적 제자리 찾기|퓨전음악과 오리엔탈리즘|혼종성, 사이공간, 문화 번역|서발턴은 말할 수 없다/있다|서구를 내면화한 제3세계 지식인|탈식민주의 비평의 의의와 한계: 타자와 함께
제9장 여성주의 음악비평
여성주의 비평의 개념|전통음악의 남성중심성과 여성음악인|퓨전·대중음악의 젠더 지형|젠더 뉴트럴과 젠더 프리|여성주의 음악하기|미투운동과 음악비평|여성주의 비평의 기대와 전망
제10장 수용자 중심 음악비평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음악학의 수용미학|능동적 수용론과 하위문화론|음악하기의 수행성|국악비평의 수용론|수행성 음악비평|일상적 문화매개자로서 팬덤|선한 메시지의 연대, BTS와 ARMY|수용자 중심 비평의 한계와 가능성
제11장 횡단하는 음악비평
트랜스내셔널과 트랜스로컬|민족적/음악적 디아스포라|트랜스아시아와 한국의 음악학 구도|젠트리피케이션과 음악수행|트랜스모더니티와 플루리버스|비인간 존재와 함께 하는 세계시민주의|횡단하는 비평의 의의와 가능성
제12장 생태주의 음악비평
생태주의 비평과 생태학|세계시민적 생물지역주의|전지영의 생태비평|윤중강의 생태비평|생태적 삶의 성찰비평|생태지향적 음악하기|생태주의 비평의 의의와 전망
제13장 심리학적 음악비평
심리학적 비평 사조|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감정사회학적 비평담론|비평담론의 심리학적 분석|심리학적 음악비평 실제|신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심리학적 비평의 한계와 의의
제14장 취향과 조건, 그리고 메타비평
메타비평의 시대에 부재하는 메타비평|비평가 사이의 시선투쟁|한국음악비평의 메타비평|취향과 조건|비평이란 무엇인가|비평가, 그들의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