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평생학습용어사전](/img_thumb2/979114300168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91143001689
· 쪽수 : 883쪽
· 출판일 : 2025-06-28
책 소개
목차
발간사
I. 관점과 이론
경험학습
무형식학습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비형식교육
사회교육
상황학습
실천공동체
전생애발달 이론
전환학습
체화학습
평생교육
평생학습
학습사회
학습생태계
학습주의
형식교육
확장학습
II. 성인학습자와 학습자 다양성
교정교육
노년교육
노인학습자
문해교육
문해학습자
성인대학생
이주배경학습자
장애인평생교육
장애인학습자
중년학습자
청소년교육
퀴어페다고지
페미니스트페다고지
III. 학습 공간과 환경
공동체학습
과학관 평생학습
도서관 평생학습
디지털문해
문화예술교육
미술관 평생학습
박물관 평생학습
복지관 평생학습
주민자치교육
지역사회교육
집단학습
학교평생교육
학습공동체
학습네트워크
학습동아리
학습조직
IV. 학습설계와 촉진
경험학습 인정
교수설계자
원격교육
자기주도학습
평생교육 평가
평생교육 프로그램
하이브리드러닝
학습관리장치
학습여정
학습전이
학습플랫폼
V. 제도와 정책
국가직무능력표준
국제개발협력
나노디그리
대학평생교육
독학학위제
무크(MOOC)
세계성인교육회의
오이시디(OECD)
유네스코(UNESCO)
지속가능발전목표
평생교육법
평생교육사
평생교육이용권
평생교육 재정
평생학습 기관, 시설
평생학습 추진 체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권
학점은행제
평생학습관
VI. 경제적 맥락의 평생학습
경력개발
계속교육
기업교육
사회적경제
순환교육
인적자원개발
일터학습
전문직 계속교육
직업교육
직업기초능력
직업능력향상교육
직업훈련
진로교육
한국폴리텍대학
VII. 사회문화적 맥락의 평생학습
교육복지
대안교육
민주시민교육
민중교육
사회운동학습
사회적자본
세계시민교육
영성학습
인문교양교육
종교교육
환경교육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학습사회는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을 포함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학교뿐만 아니라 학습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사회 내의 모든 시설, 기관, 조직을 활용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원하거나 필요한 지식, 정보, 기능, 예술, 체육을 평생에 걸쳐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조직을 갖춘 학습 장려적 사회다. 또한 학습을 통해 개인은 물론 사회도 역량을 키우고 삶의 질을 높임으로써 인간다운 포용적 삶을 지향하는 학습 기반 사회다
실천공동체는 상황학습론을 배경으로 하여 제시된 구성주의적 학습 이론상의 개념이다. 상황학습론은 체화인지, 분산인지 등 상황인지 연구들을 기반으로 ‘상황 맥락적 경험은 어떻게 학습이라는 지위를 성취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의 일환으로 제시되었다. 실천공동체는 일상의 생활 세계에서 겪는 상황 맥락적 경험의 변화 과정과 이로부터 성취하는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근거로 정립되었다.
과학관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 학교 밖 과학학습 기관이자 평생과학교육의 장으로서, 과학관에서의 평생학습은 일종의 박물관교육이자 대중의 과학 이해 또는 과학 대중화(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 따라 과학관 평생학습은 최종적으로 시민과학(citizen science)을 기반으로 과학문화 확산을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