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POD] 큰글 동의보감 잡병편 9](/img_thumb2/979115504036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초한의학
· ISBN : 9791155040362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4-03-15
책 소개
목차
25. 학질?疾(하)
29. 꺼릴 것[禁忌法] / 11
30. 난치증과 불치증[難治不治證] / 12
31. 단방單方 / 12
32. 침뜸치료[鍼灸法] / 18
26. 온역瘟疫
1.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 23
2. 온역의 형태와 증상[瘟疫形證] / 25
3. 맥 보는 법[脈法] / 27
4.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 29
5. 대두온증大頭瘟證 / 40
6. 대두온을 치료하는 방법[大頭瘟治法] / 42
7. 방예하는 법[禳法] / 51
8. 온역예방법[?瘟疫豫防法] / 52
9. 전염되지 않게 하는 방법[不傳梁法] / 59
10. 장역?疫 / 61
11. 온역과 열병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瘟疫熱病不治證] / 64
12. 단방單方 / 65
13. 침치료[鍼法] / 73
27. 사수邪崇
1. 사수의 형태와 증상[邪?形證] / 77
2. 10주, 5시[十?五尸] / 79
3. 맥 보는 법[脈法] / 81
4. 사수와 시주를 치료하는 약[邪?尸?治藥] / 83
5.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 90
6. 방예하는 방법[禳法] / 91
7. 도인법導引法 / 92
8. 단방單方 / 93
9. 침뜸치료[鍼灸法] / 102
28. 옹저癰疽(상)
1.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 109
2.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 112
3.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 113
4. 옹저 때 붓고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 115
5. 옹저의 정도를 알아내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 117
6.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定癰疽死之部分] / 120
7. 옹저가 속과 겉에 생긴 것을 갈라야 한다[癰疽當分內外] / 122
8. 옹저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되었는지 살펴야 한다
[癰疽當分經絡] / 123
9. 옹저 때의 맥[癰疽脈] / 125
10. 난치증과 불치증[癰疽難治不治證] / 128
11. 옹저는 고름과 위치를 살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 130
12.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 132
13.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 133
14.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 136
15. 옹저를 치료하는 방법[治癰疽大法] / 138
16.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 149
17.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 158
18. 옹저의 오발증[癰疽五發證] / 163
19.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 174
20.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 180
21. 옹저 때 헌데가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 185
22. 옹저 때 궂은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 185
23. 옹저 때 탕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 190
24. 옹저에 약재를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 194
25. 참대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 204
26. 속이나 겉에 생긴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 205
27. 음교를 넣는 방법[點陰膠法] / 206
28. 폐옹肺癰 / 206
29. 심옹心癰 / 213
30. 간옹肝癰 / 216
31. 신옹腎癰 / 217
32. 위완옹胃脘癰 / 219
33.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 222
34. 맥 보는 법[脈法] / 224
35.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 228
36. 비옹臂癰 / 228
37. 둔옹臀癰 / 229
38. 현옹懸癰 / 230
39. 변옹便癰 / 232
40. 낭옹囊癰 / 237
41. 부골저附骨疽 / 238
42.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 240
43.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 242
44. 유주골저流注骨疽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