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55223444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23-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여는 글
친일가요와 군국가요 연구에 앞서
Ⅱ. 친일가요로 가는 길
1. 북선의 개발과 수탈
2. 만주국 수립과 북국정서
1) 국경을 넘는 감회
2) 도피처로서의 만주
3) 북국의 자연과 풍물
4) 만주의 도시
Ⅲ. 친일가요의 등장과 전개
1. 개척이민과 친일가요의 등장
2. 일본의 점령지역 확대와 친일가요의 확산
1) 중일전쟁 시기
(1) 북중국 가는 길
(2) 중국 아가씨
(3) 북경
(4) 산동
(5) 서주
(6) 황하
(7) 상해
(8) 소주
(9) 남경
(10) 강남
(11) 광동
(12) 해남도
2)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1) 베트남
(2) 싱가포르
(3) 필리핀
(4) 남양
3. 내선일체와 친일가요의 심화
4. 대동아공영권 건설
Ⅳ. 중일전쟁 시기의 군국가요
1. 군국가요의 등장
2. 가요 검열과 군국가요 음반의 판매 부진
Ⅴ.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의 군국가요
1. 침략전쟁의 미화와 찬양
1) 승전과 승전의 추억
2) 대동아공영권 건설
2. 조선 청년의 인력, 인명, 혼백 강제
1) 지원병과 징병
2) 한 목숨 천황에게 바치리
3) 야스쿠니의 귀신이 되어라
Ⅵ. C급 군국가요
C급 군국가요란 무엇인가
Ⅶ. 닫는 글
마치며
참고문헌과 자료
노래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군국’이 ‘친일’에 속하는 듯 보이지만, 군국가요의 수효는 친일가요의 그것에 비해 2배가 넘는다. 군국가요는 그 비중이 친일가요에 비해 훨씬 클 뿐만 아니라, 내용 또한 악성(惡性)이다. 친일가요와 군국가요를 구분해서 검토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멀리 가지 않더라도, 사랑노래와 인생노래를 비교해 보면 쉽게 수긍이 갈 것이다. 사랑은 분명히 인생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대중가요에서는 사랑을 주제와 소재로 삼은 노래가 인생을 다룬 노래보다 훨씬 많지 않은가. 연구가 활성화하지 않은 현실에서 친일가요와 군국가요를 동일시한 기존 연구자들 대부분이 ‘군국’이 ‘친일’의 일부, 요컨대 ‘군국’이 ‘친일’의 하위개념이라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용어의 피상적 의미에만 집착해서는 곤란하다.
1939년 3월 31일자 『만주신문』 7면의 기사에는 ‘혈서 군관지원, 반도의 젊은 훈도로부터’라는 제목 아래 상세한 내용이 실려 있었다. 피로 쓴 글씨는 ‘한 목숨 버려 충성하겠습니다. 박정희’였다. 동봉한 편지글의 내용은 지원 자격을 갖추지 못한 박정희가 특별히 응시할 기회를 달라고 간곡하게 부탁하는 전반부와 채용해 주면 멸사봉공하면서 견마지로를 다하겠다는 후반부로 이루어져 있었다. 소문으로만 전해지고 있던 박정희의 혈서 작성이 명백한 증거로 드러난 것이다.
이제 이들 노래를 객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풍토가 마련되어야 한다. 국치일을 기념하듯이, 국치기념일에 지상파 TV를 비롯한 언론매체에서 친일가요와 군국가요를 되돌아보아야 한다. 가요인 특집 프로그램에서 그들이 남긴 불후의 명곡과 함께 친일가요와 군국가요를 들을 수 있는 날이 온다면 우리 사회는 한 단계 성숙하는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