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축은 어떻게 완성되는가

건축은 어떻게 완성되는가

(10개 개념으로 완성되는 건축의 세계)

비톨트 립친스키 (지은이), 서경욱 (옮긴이)
미메시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축은 어떻게 완성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축은 어떻게 완성되는가 (10개 개념으로 완성되는 건축의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9115535089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6-07-15

책 소개

미국 건축 평론가 비톨트 립친스키가 우리의 건축 경험을 좀 더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건축 개념 10개를 정리했다. 그 개념은 가장 먼저 건축가가 의식하고 고민하는 것들이지만, 일반인들에게도 주변에 존재하는 건축물들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목차

머리말

1. 아이디어
2. 주변 상황
3. 대지
4. 평면
5. 구조
6. 외피
7. 디테일
8. 스타일
9. 과거
10. 취향

용어 설명 , 참고 문헌, 도판 저작권, 감사의 글,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비톨트 립친스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에딘버러에서 폴란드인 부모에게서 태어났고 런던에 자랐다. 영국과 캐나다의 예수회 학교를 거쳐 몬트리올의 맥길 대학교에서 건축을 배웠고 그 후 20년간 건축을 가르쳤다. 공인 건축사로 다수의 주택을 설계했으며 저비용 주택의 실험을 시도하면서 멕시코, 나이지리아, 인디아, 필리핀, 중국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뉴요커』, 『아틀랜틱』, 『슬레이트』, 「뉴욕 타임스」 등에 건축 관련 기고를 했으며『홈Home』,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The Most Beautiful House in the World』등의 저서가 있다. 2000년도에『먼 곳의 빈터A Clearing in the Distance』로 앤소니 제이 루카스 도서 상J. Anthony Lukas Book Prize을 받았으며, 2007년에는 빈센트 스컬리 건축 비평 상Vincent Scully Prize을 수상했다. 현재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도시학 명예 교수이며, 아내와 함께 필라델피아에 살고 있다.『건축은 어떻게 완성되는가』는 그의 18번째 책으로 미국, 폴란드, 타이완 등에서 출판되었다. www.witoldrybczynskicom
펼치기
서경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와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건축 형태학 이론으로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UCL)의 바틀렛 건축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 미국에서 건축 실무를 했으며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영국 노섬브리아 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 주거 문화와 형태학 이론에 관한 국내외 다수의 논문을 썼으며 2015년부터 영국 정부 지원 말레이시아 저소득층 주택 개발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있다. 공동 저서로 『루틀리지 아시아 가족 편람Routledge Handbook of Families in Asia』(Routledge, 2015)과 『건축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미메시스 2014)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문제는 페로의 이 파격적인 아이디어가 단순하다고 하기에는 그다지 단순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수직으로 서가를 쌓아 올리는 아이디어는 현대 건축에 이미 그 선례가 있었다. (…) 페로의 전면 유리 서가는 책을 태양광에 직접 노출시킨다는 이유로 도서관 사서들의 반발을 샀다. 이후 내부에 목재 가림막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였지만 그 대가로 페로의 가장 중요한 파르티였던 투명성이 상당히 훼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일부 책들이 기단부로 옮겨지고 대신 행정 사무실들이 타워로 위치하게 되었다. 완공된 건물에 대한 평은 확실하게 여러 가지로 갈렸다. 비록 지하의 연구 열람실이 조경이 된 열린 중정을 바라보게 설계되었지만 이러한 공용 공간들은 지하라는 느낌을 여전히 갖게 하였다. 토론토 시청사의 공무원들이 건물 구조상 두 군데로 나눠져야 했던 것처럼, 프랑스 도서관의 장서들은 네 군데로 나뉘어야 했다. 도서관 정보를 다루는 전문가 한 사람은 <건축가 한 사람의 디자인 때문에 모든 지식 체계를 다시 분류하기로 한 결정은 프랑스 교육과 지식 사회에 소동을 일으켰다>고 말했다.
-본문 <아이디어> 중에서


알토는 스타였다. 그는 건축 학교 졸업과 동시에 사무소를 개업했고 서른 살의 나이에 자신만의 색깔을 찾았다. 반면에 칸은 늦깎이 건축가로 겨우 쉰 살이 되어서야 건축가로서 만개하기 시작했다. 알토는 큰 노력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끊임없이 다양한 디자인을 만들어 냈고 칸은 천천히 고된 노력을 통해 창작을 하였다. 많은 알토의 디자인이 비슷한 주제를 변형시킨 것이라면 칸의 건물들은 각각 독특한 개성을 갖고 있었다. 칸이 알토와 공유하는 중요한 특징이 하나 있다. 칸도 알토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강력한 아이디어에 의존하는 건물을 거의 설계하지 않았다. 그의 마지막 프로젝트인 뉴헤이븐의 예일 대학교 브리티시 아트 센터는 평범한 4층짜리 박스형 건물로 천창으로 빛이 들어오는 두 개의 내부 중정을 가지고 있다. 칸은 이 건물을 2년 반 동안 설계하면서 여러 개의 대안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이 건물의 단순함은 사실상 오랜 고민의 결과물이다.
-본문 <아이디어> 중에서


퐁피두 센터와 홍콩 상하이 은행은 긴 기둥 간격 구조를 극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이 두 건물이 건축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예고하는 것일까?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다. 첫째, 많은 건축가들은 구조를 드러내는 데 관심이 없다. 둘째, 기둥과 트러스를 외관에 드러내는 것은 시공 및 유지에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엄청나게 긴 기둥 간격을 통해 최대의 가변성을 확보해야 하는 건물은 많지 않다. 긴 기둥 간격이 진정으로 필요한 건물은 공항 터미널이다. 이곳에는 티켓 판매소, 검역 지역, 쇼핑 등 기능의 조합이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는 대형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포스터, 로저스, 피아노는 영국, 스페인, 중국, 일본에 구조미를 뽐내는 터미널을 설계했다. 이들은 건물의 뼈대를 표현하는 단계를 넘어 노출시킴으로써 모더니즘의 꿈을 이루고 있다.
-본문 <구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