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5535168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유휴 공간에 문화예술의 생기를 불어넣은 공간
01 문화 공간과 소각로의 이유 있는 동거, 부천 아트벙커 B39
02 석유 탱크에서 다음 세대를 위한 문화 공원으로, 문화비축기지
03 숨어 있던 검은 공간, 화폭이 되다, 빛의 벙커
04 1960년대 담배 창고의 의미 있는 부활, 동부창고
05 영주시를 일으킨 근대 산업 시설의 새 얼굴, 148아트스퀘어
2 청소년의 문화적 소양을 넓히는 공간
01 예술가와 아이가 서로의 영감이 되어 주다, 서서울예술교육센터
02 경험과 상상의 학교, 달꽃창작소
03 아이들을 키우는 마을, 청소년인문학도서관 느루
04 꿈을 만나고 삶을 그리다, 청소년 삶디자인센터
05 카세트테이프 공장에서 꿈꾸는 예술 마당, 팔복예술공장
06 학교 안의 또 다른 학교,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3 마을을 닮은 공간
01 가장 높고 밝은 달동네를 무대로 만든다, 작당
02 소양강과 북한강을 이웃 삼은 주민 문화 공간, 문화파출소 춘천
03 제주 거로마을의 기억을 기록한다, 문화공간 양
04 성북구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 시어터, 미아리고개예술극장
책속에서
개인의 수준에 따라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가벼운 주제로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습니다. 창의적인 태도만 있다면 문화비축기지는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입니다. - 이광준 문화비축기지장
작품을 보며 감정이 생기고 몰입을 했다면 이는 우뇌로 감상한 거예요. 우뇌를 자극시키기 위해서는 작품 속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 브루노 모니에 컬처스페이스 대표
동부창고에는 처음 문화예술을 접해 보는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요. 그러기에 일하는 사람의 인상과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주민들이 동부창고를 이용할 때 조금이라도 불편함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박종명 청주시 문화산업진흥재단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