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55424971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6-07-10
책 소개
목차
Part 1. 뜨고 지는 업종? 다점포율에 물어봐!
‘58.4% vs 73%’ 프랜차이즈로 시작해야 하는 이유 /‘대박’보다 중요한 건 ‘생존’
점주가 만족하는 브랜드를 찾아라 / 다점포율로 보는 창업 트렌드
창업비용 아끼고 입지 선점 수익 극대화 노린다 / ‘슈퍼 개미’ 다점포 점주의 세계
치킨 〈 편의점 〈 디저트 〈 패스트푸드 / 내 돈으로 할 만한 프랜차이즈
Part 2. 핵심 콕! 귀에 쏙! 업종별 트렌드
치킨 / 2만 원 가격 저항선을 넘어라
커피전문점 / 단군 이래 가장 박 터지는 시장
저가주스 / 가성비로 바람몰이 ‘여름 한철 장사’ 넘어라
편의점 / 1인 가구야 반갑다! 성패의 열쇠는 ‘입지’
디저트 / “내가 아직도 후식으로 보이니?”
패스트푸드 / 정크푸드 욕 먹어도 가격은 착한 점심
프리미엄 독서실 / 1인실·카페… 맞춤형 공부 환경에 만원사례
만화카페 / 웹툰 정주행·이색 데이트 코스로 틈새시장 공략
스크린 야구 / 실내에서 던지고 때리고… ‘야구 열기’ 돈 되네
Part 3. 어서 와, 창업은 처음이지?
빅데이터로 읽는 창업 트렌드 / 편의점·수입차·병원서 카드 더 긁었다
제2의 허니버터칩 당신도 만들 수 있다 / 맛도 유행을 탄다
먹고 마시는 장사는 그만 경험을 팔아라! / 블루오션 비외식 창업
배신자여 그대 이름은 고객 / 스마트한 소비자는 ‘충성’하지 않는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 ‘한 지붕 多아이템’ 하이브리드 전략
1년 넘은 옛날 자료 트렌드 반영 못 해 / 정보공개서를 믿지 마세요
설명 안 하는 직원 질문 안 하는 점주 / ‘불완전 창업’의 진원 창업설명회
Part 4. 대한민국 창업 애상
실업난에 지친 청춘 창업시장 밀려와도 찬밥 신세 / 부르면 아픈 이름, 대한민국 청년
갑질보다 중요한 건 점주의 ‘먹고사니즘’/ 바보야, 문제는 수익성이야!
제조업 못잖은 고용 효과에도 무관심한 정부와 국회 / 프랜차이즈 산업 어떻게 발전시킬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1억 원 이하 - 한 달 200만 원 버는 생계형 업종이 대부분
1억 원 이하 저비용으로 창업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는 세탁, 호프, 치킨 등 ‘생계형 업종’이 대부분이다. 크린토피아, 투다리, 봉구스밥버거, 봉구비어 외에 저가커피, 저가주스, 치킨 프랜차이즈, 그리고 C급 상권 내 편의점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총 창업비용이 가장 저렴한 건 크린토피아다. 점포비용(보증금+권리금)을 다 더해도 3,600만 원 안팎으로 5,000만 원이 채 안 됐다. 기준 매장(6평)이 상당히 작아 점포비용이 2,000만 원밖에 안 드는 데다 매장에선 세탁물 보관만 하면 돼 비싼 장비나 인테리어 공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 Part 01. 뜨고 지는 업종? 다점포율에 물어봐 中
▣ 치킨 - 2만 원 가격 저항선을 넘어라
치킨은 1인 가구 증가와 배달음식 시장 성장 수혜를 입는 대표적인 업종이다. 점포비용(보증금, 권리금)을 포함한 총 창업비용이 1억 원 안팎이면 충분할 만큼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고 특별한 기술도 필요치 않아 편의점과 함께 ‘가장 창업하기 만만한’ 생계형 업종으로 꼽힌다. (중략) 최근 치킨 시장의 주요 트렌드는 크게 네 가지다. 배달음식 시장 성장, 브랜드화, 매장 대형화(카페형 매장), 그리고 가격 인상이다.
- Part 02. 핵심 콕! 귀에 쏙! 업종별 트렌드 中
▣ [다점포 점주와 만나다] “다점포 비결은 직원과의 신뢰… 20개 점포 낼 것”
Q. 다점포 경영 노하우가 있다면 들려주세요.
A. 점포를 처음 열고 흑자를 내기까지 적어도 3~4개월은 걸립니다. 그 과정을 치열하게 극복해야 해요. 모든 노력을 점포 관리에 쏟아야 하죠. 저도 점포를 낼 때마다 너무 힘들어서 영양제 맞고 예방접종하고 종합검진 받았어요.
매출을 더 올리려면 점주가 감각이 있어야 돼요. 저는 TV 광고를 눈여겨봐요. 뭔가 뜰 것 같은 제품은 미리 발주를 해야 되니까요.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음료수도 빨리 도입해서 재미를 봤어요. 또 발렌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 같은 날에는 직접 바구니 선물세트를 만들어 팔기도 했죠.
- Part 02. 핵심 콕! 귀에 쏙! 업종별 트렌드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