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55429198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8-12-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돈을 불리려면 팩트를 정복하라!
팩트 1. 돈은 많을수록 좋다
CHAPTER 1 욜로도 돈이 있어야 한다
CHAPTER 2 죽을 때까지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CHAPTER 3 앞으로 돈을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
CHAPTER 4 재테크의 시작과 끝은 팩트체크
팩트 2. 돈 냄새를 맡을 줄 알아야 돈을 불린다
CHAPTER 1 대한민국은 왜 아파트에 열광할까?
CHAPTER 2 내가 돈을 모으려는 한국의 경제상황을
CHAPTER 3 앞으로 돈을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
CHAPTER 4 북한이 움직이면 한국의 주식이 요동친다?
팩트 3. 경제 탓하지 마라, 돈이 안 모이는 건 내 탓이다
CHAPTER 1 나의 경제레벨을 체크하자
CHAPTER 2 충동적 소비의 끝은 충격적인 통장 잔고
CHAPTER 3 ‘포기’도 전략이다
CHAPTER 4 쪼개지 않으면 절대 불어나지 않는다
팩트 4. 투자는 유일한 역전의 기회다
CHAPTER 1 펀드명만 제대로 알아도 수익률이 달라진다
CHAPTER 2 나에게 딱 맞는 펀드 고르기
CHAPTER 3 주식으로 돈을 버는 사람이 있긴 한 걸까?
CHAPTER 4 불확실성의 시대를 지키는 이씨 5형제
- ETF, ELS, ETN, EMP, ELW
CHAPTER 5 ELS와 DLS 투자의 함정
CHAPTER 6 도대체 비트코인이 뭐길래?
CHAPTER 7 저금리시대, 안전하게 하는 P2P 투자
팩트 5. 위험요소와 노후대책
CHAPTER 1 모르면 뒤통수 맞는 보험 계약 체크리스트
CHAPTER 2 학자금 대출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CHAPTER 3 방심하면 큰일 나는 신용등급 관리
CHAPTER 4 소득공제vs세액공제 무엇이 유리할까?
CHAPTER 5 퇴직금, 퇴직연금, IRP 계좌까지 한방에 정리
CHAPTER 6 국민연금, 어디까지 알고 있니?
팩트 6. 지금 모르면 손해, 청년우대정책
CHAPTER 1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뭐가 달라졌을까?
CHAPTER 2 저축금 5배 불리는 청년내일채움공제
CHAPTER 3 50만 원 월세가 고민이라면, 청년 주거안정 월세대출
에필로그 재테크, 팩트체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재테크 성공 여부는 무엇보다 제대로 세운 재무계획에 달려 있다. 목표는 구체적일수록 좋다. 그리고 목표에 맞는 실천방법을 세워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한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집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하기 위한 저축이다. 집을 사기 위한 돈은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또 집을 사겠다는 목표가 있다면 부동산을 찾아다니며 위치, 평수, 가격 등을 고려해 조건에 맞는 집을 알아봐야 한다. 현재 소득과 미래 수입을 고려해 내가 살 수 있는 집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미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지역까지 알아보는 게 좋다. 이렇게 계획을 세우고 그에 필요한 공부도 미리 해야 한다.
20대에는 ‘선저축 후소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소득의 50%는 저축과 투자에 쓴다고 마음먹는 것이 좋다. ‘연봉 2,000만 원에 어떻게 돈을 모아’라고 생각하면 목돈을 만들 수 없다. 사회초년생 상담을 하다 보면 연봉 4,000만 원에 통장 잔고는 텅 비어있는 사람이 있고, 연봉 2,000만 원에 알뜰히 모아 통장 잔고가 탄탄한 사람도 있다. 한 번 어느 목적에 쓴 돈은 다른 곳에 쓸 수 없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오늘 지출한 돈은 내일의 자금으로 쓸 수 없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정리하면, 일단 월급이 입금되면 월세나 공과금 같은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을 자동이체하고 나머지 돈을 투자, 소비 통장으로 이체하도록 한다. 일단 급여통장은 항상 잔액이 0에 가까워야 한다. 급여통장에 잔액이 있다는 것은 놀고 있는 돈이 있다는 뜻이다. 투자통장은 적금, 펀드, 보험, 연금 등을 관리하는 통장인데, 중요한 것은 이체일을 같은 날로 설정하는 것이다. 거래 내역을 살펴볼 때, 내가 어디에 얼마나 투자하고 있는지 자금 흐름이 한눈에 파악된다. 제대로 재테크를 해보려는 사람은 급여액의 50~60% 이상을 투자통장에 넣는 것을 추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