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5550056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4-07-25
책 소개
목차
신판 서문
초판 서문: 천년이 지나도 닳지 않는 마음
1장 유학의 대만 전래 및 발전: 명정에서 일본 점령 시기까지
서론
1. 명정시대 대만과 유학
2. 청초 주자학의 부흥과 대만 유학교육의 확립
3. 청대 대만 교육 관련 비문 중의 유학사상
4. 청대 대만 서원 학규에 나타난 유학사상
5. 청대 대만의 유학시
6. 식민지 대만 유학: 1895-1945
2장 청대 대만 교육 비문에 나타난 주자학
서론
1. 경(敬)에서 성(誠)으로: 현인에서 성인으로 들어가는 심성 수양
2. 궁리와 실천: 실학의 이중성과 그 통일
3. 오경과 오륜의 표리 관계
4. 문사(文史)의 중시에 대하여
결론
3장 대만의 문창제군 신앙과 유가도통 의식
서론
1. 공묘의 발전과 문창신앙의 침투
2. 대만의 문창신앙 및 경자 풍습
3. 문창신앙과 유가도통의 모순과 조화
4. 경자 풍습의 통속적 교의와 유학 교의
결론
4장 청대 대만 봉산현의 유학교육
1. 봉산현 유학교육의 확립 개관
2. 봉산현 교육 비문 중의 유학사상
3. 봉산현 사생의 시가와 유학교육
4. 봉산현 원주민의 유학교육
5장 <대만통사> [오봉열전]에 나타난 유가사상
1. 연아당의 시대와 가학
2. 『대만통사』 중의 한족의식과 원주민 형상
3. 오봉고사의 각종 판본 및 연아당이 「전」을 세우는 준칙
4. ‘인, 의, 지, 무’의 유가사상 및 문학성의 표현
6장 연아당의 <대만통사>와 유가의 춘추의리학
서론
1. ‘계절존망’과 ‘복수’의 의리
2. 화이의 분변과 왕패의 분별
7장 유가 시학과 일본 점령 시기의 대만: 경전 해석의 맥락
서론
1. 전통 시학이 직면한 두 가지 시련: 식민지 상황과 신문학 운동
2. 진정한 시: 신구문학의 대화
3. 시를 보면 그 사람이 보인다: 왕송
4. 『시경』은 정감과 이치가 조화를 이루어 경전이 된다: 홍기생
5. 시인은 천지로 마음을 삼는다: 연아당
8장 오탁류의 <아시아의 고아> 중 유학사상
서론
1. 오탁류의 한학 생애
2. 호태명의 계몽 교사 팽 수재와 호 노인
3. 호태명 생명 중의 두 개의 유학 공간: 운제서원과 호가 대청
4. 도가에서 유가로: 호태명의 정신 역정
참고문헌
번역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