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91155500958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5-01-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실존과 불안
1. 실존적 불안과 내면성
2. 불안의 개념을 정초하기 위한 원죄의 해석
3. 불안에 얽매인 자유의 회복인 ‘반복’
2장 근본적 불안
1. 불안이라는 심리적 기분
2. 순진함의 불안
3. 자기의식의 획득에 따른 불안
3장 실존 단계의 철학과 불안
1. 심미적 실존의 존재가 느끼는 불안
2. 윤리적 실존의 한계에서 느끼는 불안
3. 종교적 실존과 영원한 존재와의 평등
4장 관계의 변증법과 불안이 심화된 절망
1. 영원성과 시간성
2. 무한성과 유한성
3. 필연성이 결여된 가능성의 절망
5장 자유의 회복인 불안
1. 자유의 현실성인 가능성
2. 자유와 필연성의 상보성
3. 가능성을 실현하는 선택과 자유
4. 불안을 경유한 실존적 자유의 회복
6장 자기 자신에게 잠재된 가능성을 열어주는 ‘불안’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내 영혼은 하도 무거워서 어떤 사상도 그것을 지탱할 수가 없고,
어떤 날개도 그것을 하늘 높이 들어 올릴 수 없다.
나의 내밀한 마음의 공간에는 지진을 예감하는 중압감으로
우울과 불안이 감돌고 있다.
인간의 정신은 의식을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하여 좀 더 높은 차원의 형식으로 인도하려는 무한성의 운동이 있는데, 우울은 이 중심 주위를 역행적으로 돌며 진심으로 의욕하지 않는 분위기를 만든다. 말이 없는 밤의 적막을 유일한 자신의 심복이라며 밤이 만들어주는 환상의 산물들을 좋아하는 A에게 자기 자신은 증발한다. 우울 속에서 감정은 공상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자기와 연관된 시간은 없어지며, 자신이 환상이 되는 상태는 라캉의 거울단계와 다름없다. 개인이 심미적으로 추상적인 운동에 매몰되면 자신에게 환상적으로 되비쳐진 가능성의 거울은 거짓을 말한다. 자기 환상 속에 사로잡혀 소통이 되지 않는 A는 자기 폐쇄성의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 관계를 맺지 못하는 심미적 실존의 바닥에는 불안이 서려 있다. 불안의 가능성에 빠질 경우, 인간은 우울한 마음을 지닌 채 불안을 쫓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