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배항섭, 박소현 (엮은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1,150원
20,700원 >
20,700원 -10% 3,000원
0원
23,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전통지식인의 대응과 새로운 사상의 형성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550188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6-08-31

책 소개

동아시아 문명총서 13권. 그 동안 동아시아학술원 내부발표회에서 발표되었던 글, 혹은 유사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인문한국사업 참여 연구자들의 글을 한 권에 모았다. 제1부 전통적 사유의 지속과 변용과 제2부 서구에 대한 대응과 새로운 사유의 형성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목차

서문

1부 전통적 사유의 지속과 변용
1장 18세기 동아시아의 性(gender) 정치학 _ 박소현
1. 머리말
2. 사건의 재구성: 伉儷之戕
3. 『흠흠신서』에 나타난 18세기 동아시아의 성 정치학
4. 맺음말
2장 조선 후기의 서학과 전통 사유의 변용 _ 백민정
1. 머리말
2. 『기측체의氣測體義』에 나타난 전기 사상의 특징
3. 『기학氣學』에 나타난 후기 사상의 특징
4. 나가는 말
3장 沈大允의 社會的 處地와 學問 姿勢 _ 진재교
1. 沈大允이라는 이단아
2. 심대윤의 삶과 처지
3. 士의 자각과 학문 자세
4. 맺음말
4장 柳重敎(1821-1893)의 춘추대의, 위정척사, 중화, 소중화 _ 하영휘
1. 머리말
2. 화서학파의 이론가 유중교
3. 춘추대의와 위정척사
4. 중화와 소중화
5. 맺음말
5장 鄭喬(1859-1925)의 관직경력과 사회활동 _ 배항섭
1. 머리말
2. 정교의 신분 및 경제적 배경과 교유관계
3. 정교의 관직 경력
4. 1905년 이후 정교의 교육·사회활동
5. 맺음말
6장 20세기 전반의 족보편찬 붐이 말하는 것 _ 손병규
1. 머리말
2. 20세기 전반의 족보편찬 상황
3. 戶籍; 가족에 대한 중앙정부의 인식
4. 族譜; 민간의 가족 인식과 생존전략
5. 20세기 전반 족보편찬 붐의 의미
6. 맺음말

2부 서구에 대한 대응과 새로운 사유의 형성
1장 18·19세기 조선의 百科全書派와 和漢三才圖會』 _ 안대회
1. 머리말
2. 18·19세기 朝鮮의 百科全書學派
3. 『화한삼재도회』의 수용 과정
4. 『화한삼재도회』의 활용 양상
5. 『화한삼재도회』의 성격과 18·19세기 조선의 학계
2장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양학수용과 ‘천(天)’관념의 변용 _ 김도형
1. 머리말
2. 『입헌정체략』 - ‘仁義의 정치’를 위한 제도론의 심화
3. 『진정대의』 - 제도론으로부터 인간론·국가론에로
4. 『국체신론』 - 만민의 천하로부터 안민을 위한 국체로
5. 『국체신론』에서의 천부인권 - 天의 변용와 저항권 개념
6. 맺음말
3장 金炳昱(1808-1885)의 글쓰기에 나타난 비판정신 _ 김용태
1. 서론
2. 간행본 『磊棲集』의 문제점
3. 비판적 글쓰기의 지향점
4. 自負와 自嘲가 공존하는 내면의식
5. 결론
4장 전통지식인의 친일담론과 그 형성 과정 _ 박영미
1. 서론
2. 연구상황 및 문제제기
3. 일본 체험과 조·일 인적 네트워크의 구축
4. 아시아연대와 斯道
5. 결론
5장 신해혁명 온양기 廣東 개혁파 지식인의 신중국 상상 _ 성근제
1. 들어가며
2. 광동인의 광동
3. ‘何必’ 廣東
4. 자립의 당위성과 장애 요인
5. 자립의 방책: 비밀결사(秘密社會)와 민간역량
6. 신중국을 위한 또 하나의 상상
6장 心山과 艮齋 門人들의 出處是非論爭을 통해 본 일제하 유교지식인의 초상 _ 이영호
1. 발단
2. 전개
3. 미결
4. 의미


주석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배항섭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19세기 한국민중사, 19세기 동아시아 비교사, 근대 역사인식론 비판 등에 관심 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저로 「조선후기 민중운동과 동학 농민전쟁의 발발」(2002), 「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2015),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공저, 2015), 「동아시아의 근대, 장기지속으로 읽는다」(공저, 2021), 「‘근세’ 동아시아의 直訴와 정치문화」(2016), 「동학사상 및 동학농민군의 생명관과 자연관」(2024) 등이 있다.
펼치기
박소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 미국 미시건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에서 한중 비교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학술지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의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을 역임했다. 동아시아 문학사와 법사학, 여성사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 법률문화 연구』(공저), 『검안과 근대 한국사회』(공저), 『동아시아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등이 있으며, 『능지처참』, 『당음비사』(공역) 등의 역서와 “A Court Case of Frog and Snake: Rereading Korean Court Case Fiction from the Law and Literature Perspective”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