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55505434
· 쪽수 : 740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서언 유학 오천 년
제1부 단군조선시대의 한마음사상과 유학의 원형
제1장 『천부경』의 철학사상
제1절 존재의 본질
제2절 본질의 작용과 유지
제3절 생명의 영속성
제4절 인간의 본래 마음
제2장 『삼일신고』의 철학사상
제1절 천인일체사상
제2절 하늘과 사람의 세 요소
제3장 초대 단군의 정치철학
제1절 순천사상
제2절 효도사상
제3절 남녀의 화합
제4절 포용정신
제4장 을보륵의 철학사상
제1절 수신의 목표와 방법
제2절 수신의 완성
제3절 교육의 내용
제4절 정치철학
제5장 한국 고대 철학사상의 가치와 의미
제6장 한국 고대사상의 한계와 문제점
제7장 단군조선의 침체와 멸망
제2부 삼국시대의 유학
제1장 고구려의 유학
제2장 백제의 유학
제3장 신라의 유학
제3부 남북국시대의 유학
제1장 통일신라의 유학
제1절 강수의 사장학과 유학사상
제2절 설총의 유학사상
제3절 최치원의 유학사상
제2장 발해의 유학사상
제3장 신라와 발해의 멸망
제4부 고려시대의 유학
제1장 태조 왕건의 고려 개국
제2장 최언위와 최응의 실천유학
제1절 최언위의 실천유학
제2절 최응의 실천유학
제3장 최승로의 유학 강조와 성종의 유학 장려
제1절 최승로의 실천유학
제2절 성종의 유학 장려
제4장 최충의 유학 교육
제5장 북송 도학의 수용과 유학 연구의 변화
제5부 고려 말의 자주의식과 주자학의 수입
제1장 행촌 이암 선생의 자주의식과 한국 고유사상
제2장 주자학의 수입
제1절 안향의 주자학 수입
제2절 주자학의 수용과 보급
제3절 주자학의 정착
제3장 이색 선생의 한국적 주자학의 정착
제1절 목은의 생애
제2절 목은 철학사상의 기반
제3절 철저한 수양철학
제4절 정치적 실천철학
제5절 초탈원융철학
제6절 목은의 인애사상과 의리정신
제7절 목은 사상의 흐름
제4장 여말의 성리학과 고려의 멸망
제1절 포은 정몽주 선생의 의리사상
제2절 정도전의 주자학과 정치의식
제3절 양촌 권근 선생의 한국적 주자학
제6부 조선 전기의 주자학
제1장 이태조의 조선 개국과 주자학의 변질
제1절 이태조의 조선 개국과 주자학
제2절 태종의 참위서 소각과 한국 주자학의 변질
제2장 세종대왕의 유학적 이상향 실현
제1절 세종대왕의 어린 시절
제2절 세종대왕의 정치목표
제3절 세종대왕의 국가의식과 외교
제4절 천인일체사상과 애민정신
제5절 세종대왕의 불교 포용
제3장 세조의 등장과 정치 환경의 변화
제1절 김시습의 광기와 유불도 융합
제2절 세조의 찬탈과 사림파의 등장
제3절 무오사화와 훈구파의 분열
제4장 조광조의 정치적 실천철학
제1절 지치의 근본
제2절 지치 실현의 전개
제3절 지치 실현의 한계
제5장 기묘사화와 을사사화
제1절 기묘사화의 내용과 경과
제2절 을사사화의 내용과 경과
제6장 서경덕의 철학사상
제7장 이언적의 수양 중심 철학사상
제1절 철학의 출발
제2절 회재의 심성론과 이기설의 문제
제3절 경 중심의 수양 방법
제4절 회재의 정치사상
제8장 퇴계 이황 선생의 수양철학
제1절 퇴계의 생애
제2절 철학의 출발과 인간관
제3절 이 중심의 수양철학
제4절 경 중심의 수양철학
제5절 퇴계의 정치사상
제9장 남명 조식 선생의 초탈원융철학
제1절 남명 철학의 형성과정
제2절 남명 철학의 성격과 실천
제10장 하서 김인후 선생의 꿈과 좌절
제1절 하서의 꿈
제2절 하서의 좌절
제3절 좌절 딛고 피우는 새로운 꿈
제4절 하서가 꾸민 천국 체험장
제11장 윤원형의 악폐와 사림의 득세
제1절 윤원형의 악폐
제2절 사림의 득세
제12장 율곡 이이 선생의 정치적 실천 철학
제1절 율곡의 생애
제2절 율곡의 학술사상
제3절 율곡의 수양철학
제4절 율곡의 정치사상
결어 유학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아시아 대륙에서 출발한 유학은
중국·한국·일본·베트남이라는 산맥으로 뻗으면서 오천 년을 이어왔다.
유학자의 유학사상은 수많은 산에 서식하고 있는 나무들과 같아서,
단편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제 모습을 알기 어렵다.
먼저 각각의 유학사상이 소속되어 있는 유학의 산맥을 조망한 뒤에라야
유학의 산이 보이고, 그 산에 들어 있는 유학의 나무들이 제대로 보인다.
―‘서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