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55505458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서언 유학 오천 년
제1편 일본의 유학사상
제1부 일본의 여명과 조몬시대
제1장 일본사의 여명
제2장 조몬시대의 역사와 문화
제2부 한반도 문명의 도래와 야요이시대
제1장 한반도 문명의 도래
제2장 야요이 문화의 전파
제3장 소국의 성립
제4장 히미코 여왕의 야마타이국
제3부 고분시대와 야마토 정권
제1장 고분시대
제2장 야마토 정권의 탄생
제3장 아스카시대
제4부 천황제 고대국가의 성립과 와해
제1장 천황제 고대국가의 성립
제1절 다이카 개신
제2절 백제의 멸망
제3절 천황제 고대국가의 성립
제2장 나라시대
제3장 헤이안시대
제5부 무인시대의 성립
제1장 가마쿠라시대
제2장 무로마치 막부와 남북조시대
제3장 전국시대
제4장 에도시대의 개막
제6부 유학의 수입과 전개
제1장 일본의 정서와 주자학 수입의 바탕
제2장 주자학의 수입과 정착
제1절 후지와라 세이카의 주자학 수용
제2절 하야시 라잔의 주자학 수용
제3절 야마자키 안사이의 주자학
제7부 일본 주자학의 정착과 변용
제1장 나카에 도주의 주자학 정착과 심화
제1절 나카에 도주의 생애
제2절 도주의 학문관
제3절 도주의 깨달음과 진리
제4절 도주의 실천 윤리학
제2장 쿠마자와 반잔의 주자학의 변용
제1절 쿠마자와 반잔의 생애
제2절 반잔의 천 관념
제3절 반잔의 인간관
제4절 반잔의 기 우위설
제5절 반잔의 경과 오륜사상
제6절 반잔 윤리학의 영향과 한계
제8부 일본 고학의 등장과 고학의 내용
제1장 이토 진사이의 기 철학과 주자학 비판
제1절 이토 진사이의 생애
제2절 진사이의 학문방법
제3절 주자학 비판의 내용
제4절 진사이의 기 철학
제5절 진사이의 윤리학
제2장 오규 소라이의 예치사상
제1절 오규 소라이의 어린 시절
제2절 소라이의 고학
제3절 소라이 윤리학의 한계와 영향
제9부 일본의 심학
제1장 이시다 바이간의 심학
제1절 이시다 바이간의 어린 시절
제2절 바이간의 깨달음과 가르침
제3절 바이간의 사상
제2장 석문심학의 전개
제1절 테지마 토안의 심학 강의
제2절 나카자와 도니의 심학 확장
제3절 심학의 소멸
제10부 국학과 난학의 발달
제1장 국학의 발달
제1절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국학
제2절 히라타 아쓰다네의 국학
제2장 난학과 서양의 과학
제11부 바쿠마쯔 유학
제1장 라이 씨 삼대의 유학
제2장 후기 미토학의 형성
제3장 아이자와 세이시사이의 국체론
제4장 바쿠마쓰 유학의 전개
제1절 요코이 쇼오난의 서구문화론
제2절 사쿠마 쇼오잔의 부국론
제3절 요시다 쇼인의 국가주의
제12부 메이지유신
제1장 메이지유신의 경과
제2장 천황의 신격화
제1절 천황 신격화의 철학적 바탕
제2절 「교육칙어」의 발포와 신사 정비
제3절 천황 신격화의 문제점
제3장 국가 내부의 제도 개혁
제4장 일본의 팽창정책
제13부 전후의 일본과 유학
제1장 전후 일본의 경제발전
제2장 일본인의 유학 윤리
제3장 전후 일본의 유학 연구현황
제4장 일본의 문화적 한계
제5장 일본 유학의 바람직한 방향
제2편 베트남의 유학
제1부 유학 수입 이전의 베트남
제1장 베트남의 여명과 신화시대
제2장 반랑시대와 어우락시대
제3장 북속 시기
제2부 유학의 수입과 전개
제1장 베트남의 독립과 유학의 수입
제1절 베트남의 독립
제2절 유학의 수입
제2장 응웬 짜이의 유학 정착
제1절 응웬 짜이의 국가관
제2절 응웬 짜이의 인의사상
제3절 응웬 짜이의 중용사상
제3장 레 타인 똥의 유학 정치
제1절 레 타인 똥의 천명사상
제2절 레 타인 똥의 이상세계
제4장 응웬 빈 키엠의 유학
제1절 응웬 빈 키엠의 생애와 철학적 바탕
제2절 응웬 빈 키엠의 천인일체사상
제3절 응웬 빈 키엠의 정치적 실천철학
제5장 응웬 즈의 이상세계
제6장 풍 칵 콴의 유학
제1절 풍 칵 콴의 수양철학
제2절 풍 칵 콴의 실천철학
제7장 레뀌돈의 사상
제1절 주요 저술의 내용
제2절 레뀌돈의 하나 철학
제3절 레뀌돈의 수양론
제4절 레뀌돈의 실천철학
제8장 응오 티 념의 유학사상
제1절 응오 티 념의 철학
제2절 응오 티 념의 유학적 통합
제3절 응오 티 념의 정치철학
제4절 응오 티 념의 정치 목적
제3부 프랑스의 식민 지배와 독립운동
제1장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
제2장 베트남의 독립운동
제1절 독립을 위한 무력투쟁
제2절 티엔단운동
제3절 브우선끼흐엉운동
제4부 베트남의 독립과 분단 그리고 통일
제1장 베트남의 독립과 분단
제2장 베트남전쟁과 통일
제3장 베트남 유학의 현황과 미래 전망
결어 유학의 미래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아시아 대륙에서 출발한 유학은
중국・한국・일본・베트남이라는 산맥으로 뻗으면서 오천 년을 이어왔다.
유학자의 유학사상은 수많은 산에 서식하고 있는 나무들과 같아서,
단편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제 모습을 알기 어렵다.
먼저 각각의 유학사상이 소속되어 있는 유학의 산맥을 조망한 뒤에라야
유학의 산이 보이고, 그 산에 들어 있는 유학의 나무들이 제대로 보인다.
―‘서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