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9115580087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7-05-26
책 소개
목차
간행사
1장. 왜 종교를 가져야 하는가 (종교의 의미와 불교의 특징)
1. 삶의 의미와 종교
2. 현대사회에서의 종교
1) 종교의 의미와 가치
2) 종교에 미혹되는 사람들
3) 종교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
3. 불교를 믿는 이유
1) 불교의 특징
2) 나는 왜 불교를 찾는가
2장. 불교에서 무엇을 믿고 이룰 것인가 (믿음의 중요성과 불보살님들)
1.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믿음
2. 믿음은 무엇이며, 무엇을 믿어야 할까
3. 불보살님은 어떤 분인가
1) 지혜와 자비를 완벽하게 갖춘 부처님
2) 중생 구제에 매진하는 보살님
3) 이로움을 베푸는 신중님
3장. 석가모니 부처님은 어떤 분이고, 어떻게 사셨는가 (부처님의 생애와 전법)
1. 부처님의 생애
1) 안락한 왕자 시절
2) 인생의 문제에 직면하다
3) 출가하다
4) 스승을 찾아 나아가다
5) 보리수 아래에서 수행하다
6) 깨닫다
7) 세상으로 나아가다
8) 완전한 열반에 들다
2. 부처님의 제자들
4장.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가 (부처님의 가르침과 삶의 방향)
1. 법에 깃들어 있는 의미
2. 우리가 알고 실천해야 할 부처님의 가르침들
1) 세상이 지니고 있는 세 가지 속성(삼법인)
2)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사성제와 팔정도)
3) 행복과 불행은 누가 주는가(업과 인과법)
4) 세상은 서로 의지해서 존재한다(연기법)
5) 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삶(중도)
6) 걸림 없는 삶(공과 마음)
5장. 불자로서 지켜야 할 계율과 윤리란 무엇인가 (불자의 계율과 윤리)
1. 삼귀의계, 불자로 살겠다는 다짐
2. 오계, 불자가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
3. 칠불통계게, 악을 멈추고 선을 행하라
4. 참회, 업장을 씻고 새로운 인생을 살다
5. 불자의 윤리와 도덕
6장. 삶의 평온을 위한 신행 생활, 어떻게 할 것인가 (수행의 종류와 방법)
1. 신행, 믿음과 수행이 함께하다
2. 계율・선정・지혜가 함께하는 수행
1) 수행의 중심 내용은 계・정・혜 삼학
2) 수행의 종류
3. 기도, 불보살님의 가피로 수행 정진에 힘을 더하다
4. 기도・수행하는 마음가짐과 방법
5. 가정에서의 신행 생활
7장. 불자는 무엇을 실천해야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 (아름다운 사람, 보살로 사는 길)
1. 보살의 삶
2. 육바라밀
1) 보시바라밀
2) 지계바라밀
3) 인욕바라밀
4) 정진바라밀
5) 선정바라밀
6) 반야바라밀
3. 사람들을 포용하는 방법
1) 사섭법
2) 사무량심
4. 보현행원, 보살로 살아가려는 자의 열 가지 서원
5. 사홍서원, 네 가지 넓고도 큰 서원
8장. 왜 예불을 드리고, 법회에 참석해야 하나 (예불과 법회의 의미와 가치)
1. 매일같이 불보살님을 생각하며 정성을 다하다
1) 예불, 불보살님께 예배드리다
2) 헌공, 불보살님께 공양을 올리다
2. 법회로 지혜를 밝히고 가피를 구하다
1) 법회, 불・법・승 삼보와 함께하는 자리
2) 다양하게 열리는 법회와 불교 명절
9장. 수행과 전법, 그리고 문화가 살아 있는 사찰은 어떤 곳인가 (사찰의 기능과 역할)
1. 수행하기 좋고, 전법하기 좋은 곳에 위치한 사찰
2. 사찰 곳곳에 담겨 있는 진리의 향기
1) 극락교 건너 만나는 사찰의 장엄물
2) 부처님 세계로 들어가는 사찰의 문
3) 부처님의 지혜와 복덕이 충만한 곳, 법당
4) 말없이 이어지는 불멸의 삼보
5) 수행이 살아 있는 사찰의 생활 공간, 요사
3. 부처님 가르침과 함께하는 법구
1)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불전사물
2) 신행 생활 속 주요한 법구
10장. 부처님과 보살님은 어떤 모습을 하고, 어떤 역할을 하나 (불상의 마음과 그 상징물)
1. 불상을 대하는 마음가짐
1) 부처님에 대한 존경과 그리움으로 불상을 모시다
2) 부처님께 예배 공양하여 위없는 도를 얻다
2. 불보살님을 만나는 기쁨
1) 불보살님 알아보기
2) 법당과 불보살님
11장. 대한불교조계종의 불자는 무엇을 알고 실천해야 하나 (대한불교조계종의 가치와 지향)
1. 대한불교조계종이라는 이름의 의미
1) 대한불교조계종이란
2) 조계종이라는 이름의 유래
3) 조계종의 종지와 소의경전
2. 한국불교의 역사와 함께하는 대한불교조계종
1) 종조, 도의 국사
2) 중천조, 보조 지눌 국사
3) 중흥조, 태고 보우 국사
4) 근현대의 조계종단
3. 대한불교조계종 종단의 구조와 역할
1) 중앙 조직
2) 지역 조직
3) 산하 조직 및 교육 기관
4. 조계종도의 신행 활동
1) 불자와 신도
2) 한국불교의 새로운 신행 풍토 조성을 위해
부록
불자의 자세와 예절 | 우리말 예불문 | 우리말 반야심경 | 신행 청규/공동체 청규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교 중에는 신을 매개로 하는 종교와 그렇지 않은 종교가 있다. 불교는 신의 존재를 전적으로 부정하지 않지만, 신에게 의존한다고 인생의 궁극적이고 근원적인 문제가 해결된다고 보지 않는다. 진리를 통찰하고 진리에 맞게 실천 수행하며 살아갈 때, 고통으로부터 해탈한다. 구원의 주인공은 진리를 자각한 자기 자신인 것이다. 그렇다면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인 불보살님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부처님은 지혜와 자비의 손길로 우리의 눈을 뜨게 해서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보여 주며 그 길을 잘 따라갈 수 있게 이끌어 주고 도와주며 두려움을 없애 주신다. 보살님 또한 각자 맡은 영역에서 우리들을 도와주고 이끌어 주며 힘과 평화를 주신다.
1장 ‘왜 종교를 가져야 하는가’ 중
부처님이 세상에 나셨다는 것은 아주 커다란 의미가 있다. 아무리 열심히 살아도 행복해지지 않고, 잘살아 보려고 애를 써도 괴로움만 커져서 언제나 막연한 불안을 품고 사는 이들이 세속을 뛰어넘어 맑고 깨끗한 경지로 나아가는 데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생은 부처님을 의지해서 자신도 부처님이 얻은 경지를 얻기 위해 길을 떠나야 한다.
그렇다면 부처님은 오직 한 분뿐일까? 그렇지 않다. 부처라는 말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깨달은 자’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그래서 누구나 부처라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지금은 번뇌에 시달리기도 하고, 악업을 짓기도 하는 우리도 정신을 차리고 열심히 수행 정진하며 부처님처럼 살면 부처라는 이름을 얻을 수 있다.
2장 ‘불교에서 무엇을 믿고 이룰 것인가’ 중
자신이 지은 업이 원인이 되어 과보를 받는다는 이치가 바로 인과법(因果法)이다. 자신에게 즐거운 과보가 생기기를 바란다면 선업을 지어야 한다는 것은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세상을 살다 보면 선업을 지은 착한 사람이 어려움에 처하거나 악한 사람이 잘사는 경우를 보게 된다. 이에 대해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다.
“악의 열매가 맺기 전에는 악한 자도 복을 받는다. 그러나 악의 열매가 익었을 때 악한 자는 재앙을 입는다. 선이 열매 맺기 전에는 선한 이도 이따금 화를 만난다. 그러나 선의 열매가 익었을 때 선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
- 『법구경』 119, 120
3장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가’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