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윤리학/도덕철학
· ISBN : 979115610845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I. 개론: 낙태 윤리의 역사와 주요 개념 분석
1/낙태 논쟁의 역사와 쟁점들
낙태 논쟁의 역사
낙태와 인간 발생학
낙태를 원하는 이유와 치료적 낙태
낙태 시술과 위험의 정도
태아의 도덕적 지위: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서 온건한 입장
낙태 논쟁의 방향성
2/낙태의 도덕성과 주요 개념 분석
낙태 반대 근거들에 대한 해명
전통적인 낙태 반대 논변 분석
태아는 인격체인가
살해와 살인의 개념적 차이
II. 진보주의자의 인격체 논변과 신체의 자유
3/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과 분석
생물학적 의미의 인간 Vs. 도덕적 의미의 인격체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인격체 기준과 인격체 논변
인격체 기준과 낙태 허용
4/인격체 논변에 대한 보수주의자들의 반론
인격체 논변에 대한 세 가지 반론
우회적 반론의 근거로서 유사성과 잠재성
유사성, 연속성 그리고 생명의 권리
잠재성, 실재 능력 그리고 생명의 권리
함축을 통한 반론: 유아 살해 허용
유아 살해 금지를 위한 근거들
낙태에 반대하는 근거들에 대한 해명
5/낙태의 도덕성과 신체의 자기 결정권
신체의 자기 결정권의 의미와 생명의 권리
생명의 권리와 여타의 권리의 상충
생명의 권리와 신체를 사용할 권리
낙태를 위해 도움을 요청할 권리
자발적 성행위와 신체를 사용할 권리
‘강한 자발성’의 문제점과 해명
III. 보수주의자의 종의 원리와 잠재성 논변
6/종의 원리란 무엇인가
종의 원리의 기본 특성
종의 원리와 생명의 권리 근거
종의 원리에서 인격체 논변 비판
종의 원리의 문제점
7/낙태 반대 논거로서 잠재성 논변과 개연성
잠재성 논변과 종의 원리의 관계
잠재성과 인격체의 관련성
생명의 권리 부여 근거로서 잠재성
생명의 권리 확인 근거로서 잠재성
잠재성의 새로운 규정으로서 개연성
잠재성 논변 평가
8/잠재성 개념 분석을 통한 인격체 이해
존재로서 인격체와 기능으로서 인격체
잠들어 있는 인격체와 인격체로 활동한 역사
잠재 능력과 미래의 인격체
잠재 능력과 존재들의 연속성
연속성의 세 의미와 동일성
인격체와 초기 배아의 차이
IV.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적 전망
9/낙태의 도덕성에서 의무 이론과 권리 이론의 한계
낙태의 윤리와 우리의 현실
권리 이론으로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권리 이론들의 교착 상태
권리 이론의 관점이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 이유
권리 이론의 한계와 새로운 비전
10/낙태의 도덕성에 대한 덕 윤리적 함의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필요성
낙태의 도덕성에 의무 윤리 적용의 부적절
낙태의 도덕성에 덕 윤리 적용의 핵심
낙태에 대한 덕 윤리의 함축 사항들
낙태의 도덕성에서 덕 윤리적 관점의 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