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56121817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0-12-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1. 공공역사의 역사와 제도화
1—미국과 세계의 공공역사
2—독일의 공공역사
2. 공공역사의 개념과 실제
3. 공중 속의 역사: 공공역사의 선도 개념인 역사문화와 기억문화
2장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1. 공중의 역사 전유
2. 역사교육의 원리: 내러티브, 역사적 상상, 다원적 관점
1—내러티브
2—역사적 상상
3—다원적 관점
4—공공역사 생산을 위한 역사교육의 표준
3. 사회적 차원 I: 다양성
1—다양성, 사회, 역사
2—인종, 계급, 젠더: 다양성과 교차성 연구의 사회적 범주
4. 사회적 차원 II: 포용
1—사례 1: 20세기 초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2—사례 2: 동성애의 역사
3장 공공역사 방법론
1. 물질문화
2. 이미지 역사
3. 소리 역사
4. 역사 매개에서 구술사와 시대 증인
1—구술사 인터뷰
2—‘시대 증인’이라는 존재
5. 리빙 히스토리
4장 공공역사와 미디어
1. 미디어가 ‘진실한’ 역사를 만든다: 공공역사의 미디어 구성력인 진본성과 미디어 전유
2. 텍스트와 이미지 관련 출판 미디어
1—역사소설
2—역사 전문서
3—역사 전문잡지
4—만화
3. 시청각 미디어: 영화와 텔레비전 속의 역사
4. 디지털 미디어
5장 박물관과 기념관
1. 박물관과 기념관의 개념과 역사
1—박물관의 기원과 발전
2—1945년 이후 독일에서 기념관의 발전
2. 박물관 연구의 방법
1—박물관학
2—박물관 분석과 전시 분석
3. 전시 제작과 교육
6장 공공역사 교육
1. 대학 교육: 이론과 실제의 결합
2. 석사 논문: 분석 및 수행 과제
1—역사 제시의 분석
2—수행 과제와 프로젝트 관리
3. 경력 개발
1—대학 교육
2—인턴십
3—박사학위
4—수습사원
4. 학문과 이벤트 사이에서: 공공역사의 연구지침과 윤리지침
5. 직업 분야
1—미디어
2—박물관과 기념관
3—정치
4—경제
옮긴이 해제
도판과 표
약어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최초의 공공역사 학위 과정은 1976년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역사학과 교수 로버트 켈리Robert Kelly의 주도로 시작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공중 속의 역사 매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특정 분야의 취업을 준비시키는 학위 과정이 잇따라 생겨났다. 이런 의미에서 공공역사학과의 호황기는 1980년대였다. 공공역사자료센터Public History Resource Center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는 135개 대학에 공공역사 과정이 있다.
2010년 마침내 국제공공역사협회IFPH(International Federation for Public History)가 설립되었다. 이 단체의 목표는 역사교육과 연구를 위한 국제적 네트워크를 만들어 국가 간 교류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매년 대규모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대학 밖에서 1980년대에 만들어진 역사 작업장Geschichtswerkstatt들은 “네가 서 있는 곳을 파라Grabe, wo du stehst”를 모토로 내세우며 지역사와 일상사에 눈을 돌리고 글을 썼다. 그들은 정치사와 사상사 중심의 아카데미 역사학을 비판했으며 …… 역사 작업장은 당사자들 스스로가 수행하는 민주적인 역사 연구를 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