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화, 사라진 문명의 기준

중화, 사라진 문명의 기준

배우성 (지은이)
푸른역사
37,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110원 -10% 0원
1,890원
32,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화, 사라진 문명의 기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화, 사라진 문명의 기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56122777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24-06-29

책 소개

사대주의와 선비정신을 넘어서 한국사를 읽는 또 다른 틀, '중화'. 지금, 왜 '중화'를 이야기하는가. 지은이는 중화를 매개항으로 하여 그 심연의 역사를 치밀하게 독해하고, 선비정신이나 사대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역사의 현재적 의의를 밝혀 보려 한다.

목차

책머리에
왜 중화인가

서설_중화론의 시대적 변천
화이지변과 대일통의 중국사|석개와 구양수|주자와 진량|왕부지|유사배와 강유위|‘화이’와 ‘민족국가’ 구상|중심․주변의 의제와 한국사|책의 구성

1부 이적
1장 불교로 ‘이적’을 정당화하기
동해와 이역|중화와 동이|이夷와 불교|화와 이

2장 몽골을 천자국으로 여기다
상국․천자국․중국|의관과 토풍|친조와 사대|소중화와 용하변이

3장 ‘중화’가 ‘이적’과 만나 짝하다
불교와 이적|기자와 동주|수殊와 이異|향鄕․토土․방方․외外

2부 사대
1장 ‘의리’에 밝고 ‘시세’를 안다는 것
이소사대以小事大|의리와 이해利害

2장 ‘천리’와 ‘인륜’의 이름으로
천리․인륜․도통道統․정학正學|존주尊周

3장 ‘이적’ 왕조를 인정할 수 있는가
분의分義와 문文|자강自疆과 무비武備|이적과 사대|의리와 현실

3부 동국
1장 ‘동국’은 ‘중화’인가
대중화大中華|천자의 의례|유천하有天下|진어중국進於中國과 석과碩果

2장 ‘중화’를 계승한다는 것
중국中國|중국과 동국東國

3장 ‘정통’을 바로잡기
정통正統|정통과 화동華東

4부 북학
1장 ‘중국’ 다시 보기
사도斯道와 도통의 땅|대국과 시의時義

2장 친구와 배움을 찾아서
화인華人과 호로胡虜|역외춘추域外春秋와 동이

3장 오랑캐다움을 어떻게 볼 것인가
북학과 좌임左袵|천의와 천도|비류匪類의 질박함․소박함|중화와 외국

5부 기자․진인․동양
1장 변경의 문인들과 ‘기자’
‘서양西洋’과 ‘외이外夷’|‘서추西醜’와 ‘기자箕子’|평안도의 의병과 의사義士

2장 반란군과 ‘진인’
진인眞人|사라진 칠의사七義士|‘당병’․‘호군’․‘호병’․‘황명’|‘효’와 ‘예’

3장 황제국에서 ‘동양’까지
‘청국’과 ‘중국’|‘제통帝統’과 ‘의주義主’|‘지나支那’와 ‘문명’|‘동국’과 ‘동양’|‘동양’과 ‘공公’

맺음말_중화, 다시 읽기
남은 문제들|지금 여기에서 ‘중화’를 읽는다는 것


찾아보기

저자소개

배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자의 이름으로 살고 있다. 오랫동안 조선 후기 역사에 관한 글을 써 왔지만, 간간이 그 시대를 벗어나는 만용을 부리기도 했다. 좀 더 긴 호흡으로 읽어 내는 역사상을 추구해 왔기 때문이다. 주로 사상과 문화를 그 시대의 문맥 위에서 묘사해 왔지만, 때로는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 시대 속 깊이 들어가 보고 싶기도 했다. 개성이 살아 있는 역사 글쓰기를 하고 싶다는 바람도 있었다. 글이 사람을 말해 주는 그런 글쓰기라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런 모든 바람들을 담은 결과물이기도 하다. 어느 때부터인가는 장소 친화적인 역사학의 가능성에 눈을 돌리기도 했다. 장소가 무대나 용기가 아니라 시간 속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역사적 실체라고 믿기 때문이다. 2001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화’와 ‘이적’, ‘중국’과 ‘이적’에 관한 중국사상의 문제의식을 찬찬히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그 아이디어는 《예기》의 〈왕제편王制篇〉에서 시작된다.


중화가 이적을 압도하지 못하여 이적이 중화의 영역을 넘보거나 중화 문화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문제다. 이 경우 중화는 이적을 문화적으로, 영역적으로 끊어내야 한다. 그것을 ‘화이지변華夷之辨’이라 한다.


‘중국’이라는 단어의 역사적 기원은 주나라 무왕武王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단어가 …… ‘사이’ 혹은 ‘이적’이라는 단어와 짝하기 시작한 것은 주나라 때였다. 석개의 〈중국론〉이 중요한 것은 송나라 때 ‘중국’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의미가 이 논설에서 가장 잘 정리된 형태로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