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의정 실록 3

영의정 실록 3

(조선왕조 영의정 173人의 삶과 권력)

박용부 (지은이)
지식공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5,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의정 실록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의정 실록 3 (조선왕조 영의정 173人의 삶과 권력)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56226437
· 쪽수 : 526쪽
· 출판일 : 2022-01-13

책 소개

왕조별 영의정 173명에 대한 개개인의 가족 사항부터 경력과정, 재직기간 중의 기록, 죽을 때 남긴 졸기 평가를 중심으로 편집하였으며 영의정에 오르게 한 핵심 요인을 각 영의정별 첫 소주제로 잡아 서술하였다.

목차

^^일러두기 12
^^[서언] 조선의 역사를 바꾸어 놓은 인수대비와 한명회 14

세조 시대 二^^
28. 최항 - 거사 당일 숙직한 일이 공신이 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3대공신(정난·좌익·좌리공신) 31
장수가 지켜야 할 본분 어제유장을 짓다 36
최항의 졸기 39
29. 조석문 - 4대공신 출신에 회계전문가
영의정이 된 근원 - 4대공신(좌익·적개·익대·좌리공신) 44
조석문의 졸기 53
30. 이준 - 28세의 최연소 영의정
영의정이 된 근원 - 임영대군의 아들,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다 58
세조가 극진히 총애한 귀성군 이준 67
28세에 영의정이 되다 69
친구 남이장군, 역모에 몰려 죽다 70
세조가 죽자 귀성군 이준도 역모에 몰리다 77
졸기없는 이준의 죽음 89

^^예종 시대^^
31. 박원형 - 곧고 정직하며 청렴했던 충신
영의정이 된 근원 - 좌익·익대공신 95
상급자마다 박원형을 찾다 98
중국 사신이 인정한 박원형의 예의범절 101
경복궁의 명당설과 쇠잔설 3 107
박원형의 졸기 146
32. 홍윤성 - 장비 같은 세조의 측근 장수
영의정이 된 근원 - 세조의 측근, 정난·익대·좌익·좌리공신 150
규수를 강제로 범하려다 탄핵을 받다 154
끊이지 않았던 홍윤성의 권력형 비리 159
33세된 관찰사를 과음시켜 죽게 하다 168
홍윤성의 졸기 170

^^성종 시대^^
33. 윤자운 - 신숙주의 처남, 세조의 총애를 받다
영의정이 된 근원 - 2대공신(좌익·좌리공신)에 신숙주의 처남 177
이시애의 난에 치욕을 당하고 살아 돌아오다 178
중국사신 접대요령과 대처방법 179
사신의 북경 행차시 사치를 금하는 조항 181
사대부집 자녀의 혼인 연한을 정하다 183
윤자운의 졸기 184
34. 윤필상 - 무오사화를 주도하고, 갑자사화로 죽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재치있는 답변으로 세조의 총애를 입다 189
권신들의 인사권개입으로 이조판서직을 내던지다 191
어우동과 간통한 관리들의 처리 192
사림파의 탄핵을 받고 사림파와 등을 지다 195
무오사화를 주도하다 198
갑자사화를 당하다 200
윤필상의 졸기 204
35. 이극배 - 여주 세종왕릉 자리를 물려준 이인손의 아들
영의정이 된 근원 - 청백리에 좌익·좌리공신 209
수령의 범법행위 조사를 위한 항목 212
상피제도와 4명의 형제들 213
이극배의 졸기 216

^^연산군 시대^^
36. 노사신 - 세종의 처조카로 세조의 총애를 받다
영의정이 된 근원 - 탄탄한 실력에 왕실과의 인척 225
세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은 노사신 227
명나라 사신 접대와 건배 횟수 229
영의정 소임과 탄핵상소 232
노사신의 졸기 235
37. 신승선 - 연산군의 장인
영의정이 된 근원 - 2대 공신(익대·좌리공신)에 연산군의 장인 241
연산군이 즉위하여 대간의 말을 문제삼다 243
사간이 3정승을 논평하며 요순 같은 임금이 될 책략을 올리다 245
신승선의 졸기 252
38. 한치형 - 공녀로 바쳐진 고모가 중국 황실의 후궁이 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좌리공신 3등, 인수대비의 사촌오빠 257
명나라에 오는 사신은 한씨로 보내라고 요구하다 259
연산에게 소비절약과 시정폐단을 건의하다 264
한치형의 졸기 267
사후에 연산에 앙갚음을 당하고 중종에 의해 복관되다 268
39. 성준 - 세종이후 사림 출신 첫 영의정
영의정이 된 근원 - 예종·성종·연산군의 곧은 스승 275
세종조에도 없던 공신 수여의 부당함을 아뢰다 276
지방에 원정가서 부정시험을 치룬 임사홍의 아들을 적발하다 278
폐비윤씨 문제로 갑자사화를 당하다 282
성준의 묘비명 291
40. 유순 - 주상의 말씀이 윤당하시옵니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임금의 비위를 잘 맞추어 윤당재상이 되다 296
종친의 과거응시 문제와 부녀자의 사찰 출입문제를 논하다 298
사직서 제출과 유순에 대한 평가 301
유순의 졸기 305

^^중종 시대^^
41. 박원종 - 중종반정의 주역, 무관출신 영의정
월산대군의 처남으로 성종과 연산군의 총애를 받다 313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의 주역 321
박원종의 졸기 334
42. 김수동 - 연산의 총애를 받았으나 시류를 잘 타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에 가담한 정국 2등공신 338
연산의 총애를 받았던 김수동 339
김수동의 졸기 342
43. 유순정 - 문무 겸비한 인재, 사림파로 공신에 들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46
문관이면서 무관 장수로 추천받았던 문무겸비한 인재 348
연산군이 강요한 충성 서약문(경서문) 353
연산군 폐위와 중종 즉위에 대한 명나라 승인 대처방안 356
연산군이 죽자 장례식 범위를 정하다 357
죄수의 보석금 제도를 곡식으로 대체하다 358
지방관청 각종 폐단 대처방안 359
유순정의 졸기 361
44. 성희안 - 연산조에 좌천되어 중종반정에 앞장서다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65
연산군에게 지어 바친 시, 중종반정의 씨앗이 되다 368
공신책정 과정의 사연과 연산군의 처남 신수근의 처결 370
승승장구한 승진가도 373
성희안의 졸기 375
45. 송질 - 중종의 사돈
영의정이 된 근원 - 중종반정 정국공신 3등, 중종의 사돈 380
공신자의 부모 승급에 대해 논쟁이 벌어지다 381
백성들이 홍색 옷을 입는 것에 대해 논하다 382
잦은 천재지변의 원인이 각 관서의 다스림에 관련한다고 하다 383
사치스런 장례 풍속에 대해 꼬집다 392
탐욕스런 송질을 탄핵하다 393
송질의 졸기 394
사림들의 배척 395
46. 정광필 - 능력과 인품으로 자수성가 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능력과 인품으로 자수성가한 실력파 398
위훈삭제 처리와 재상의 역할 405
기묘사화의 발발 411
정광필의 졸기 427
47. 김전 - 청렴결백했던 영의정, 김안로의 삼촌
영의정이 된 근원 - 기묘사화 후 정승에 오르다 433
장원급제자를 목민관에 발령한 데 대한 논란 435
연산군과 단종의 후사를 세우는 문제와 점술에 대한 논의 439
서민들의 삼년상 시행 문제에 대한 논의 445
김전의 졸기 447
48. 남곤 - 기묘삼흉으로 조광조를 무함하다
영의정이 된 근원 - 기묘사화로 승진하다 452
남곤의 졸기 458
남곤 사후 41년에 밝혀진 조광조 모해사실 461
49. 장순손 - 김안로의 오른팔로 영의정에 오르다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오른팔, 일마다 탄핵받다 466
삭탈당한 관작 478
장순손의 졸기 479
50. 한효원 - 감안로의 이웃사촌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이웃사촌 483
나라를 다스리는 치국의 요도 484
왕세자 교육법 485
한효원의 졸기 494
51. 김근사 - 김안로의 6촌형
영의정이 된 근원 - 김안로의 6촌형 499
연산군 후궁의 집터 확장에 대해 간언하다가 유배당하다 501
권력의 끝 502
김근사의 졸기 508
52. 윤은보 - 업무에 밝고 처세에 능했던 정승
영의정이 된 근원 - 업무에 밝고 처세에 능했던 정승 513
임금에게 전복을 진상한 유자광을 뇌물죄로 틴핵하다 515
삼흉 김안로·허항·채무택의 파직 518
조선의 풍속에 대해 걱정하다 520
윤은보의 졸기 522

저자소개

박용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9년에 성균관대 교직원으로 임용되어 1997년에 수도권 입학관리자 협의회 회장, 2007년 서울지역 총무처장 협의회 회장, 2012년 입학 사정관실 국장을 역임하면서 성균관대의 입시, 직원인사와 교육을 혁신한 바 있고, 재직시 대학 최초로 6시그마를 도입하여 업무 혁신을 진두지휘하였다. 이후 경기대 특임교수, 가천대 초빙교수로 초빙되어 교육대학원 강의와 함께 행정쇄신을 컨설팅하였으며, 아울러 베트남 하노이 약학대학 컨설팅을 수행하였다. 저서로 삼성식 대학경영, 영의정 실록 1~4권, 향교 기문을 공동 채록하여 번역한 교궁기집록(경북, 강원, 충청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떤 재상이 도둑을 방지하는 계책에 대해 건의하기를, “강도는 3심 제도를 없애고, 절도는 때를 기다리지 말고 처단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세조가 이에 대해 박원형에게 물으니, 답하기를, “세 번 심의하는 법은 살릴 길을 찾아보는 것이고, 때를 기다려 처단하는 법은 하늘의 도에 순종하는 까닭입니다. 당나라 때에는 다섯 번 심의하는 제도를 두었으니, 이는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긍휼하게 여기는 제왕의 인仁입니다. 그리고 옛 법을 경솔하게 개정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 예종 시대: 박원형


이극배는 평생에 남의 허물을 말하는 것을 듣지 않으려 했다. 남의 단점을 말하는 이가 있으면 화를 내면서, “단점이 있더라도 마땅히 그 장점을 취해야 될 것인데, 하물며 그 단점도 확실히 알기 어려운 것임에랴 !” 하며 말을 못하게 했다. 이극배는 가문이 너무 번성함을 염려하여, 두 손자의 이름을 겸謙ㆍ공恭이라 짓고, 자제들에게 경계하기를 “물物이 성하면 반드시 쇠하니 자만하지 말라. 항상 겸손하고 공손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가 젊었을 때 문경공 허조許稠는 이극배의 비상함을 알고 외손자사위로 삼았다.
- 성종 시대: 이극배


1488년[53세] 성종 19년 2월 성준이 사헌부 대사헌이 되어, 9월에 향시에 부정합격한 임사홍의 아들 임희재를 적발하여 재시험을 치르게 하고 그 부형과 시험관을 국문하기를 청하였다
세상 물정은 또 ‘충청도의 향시가 외람한 것은 문과뿐이 아니라 생원시ㆍ진사시도 그러하다.’ 합니다. 이제 그 방목(榜目: 합격자 명부)을 살펴보니 이귀수도 생원시에 들었는데, 이귀수는 이덕숭의 아들이고 이덕숭은 현임 감사로서 제 아들을 시켜 그 도의 향시에 응시하게 하였으니, 또한 어찌 외람된 것이 아니겠습니까? 신들의 생각으로는, 임희재 등을 다시 시험하게 하고, 부형이 법을 어겨 응시하러 보낸 죄와 시험관이 법을 어겨 응시를 허가한 죄를 아울러 국문하고, 감사 이덕숭도 아울러 문초하여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더없이 다행이겠습니다.”

사관이 논평하기를, “충청도 향시의 시험관 최연은 임희재의 할아비인 임원준과 가까운 겨레붙이이고, 김효정은 정승충의 숙부인 정경조와 가까이 사귀는 사이이다.
이 두 사람이 서로 가까운 사이이기에 글제를 누설하여 알렸으므로, 임희재ㆍ정승충ㆍ구숭경 등이 모두 시험에 합격하였으나, 세 사람은 경서經書를 읽지 않았을 뿐더러 글도 지을 줄 모르는 한낱 어리석은 아이니, 물의가 시끄러워서 대간이 논하여 아뢰었다.” 하였다.
- 연산군 시대: 성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