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56228523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4-02-26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14
조선왕조 왕권의 역사와 영의정직의 변화 (광해군~효종) 16
광해군 시대
76 기자헌 – 광해군에 의리를 지킨 영의정, 이괄의 난으로 멸문당 하다
광해군을 지지하여 정승에 오르고 이괄의 난으로 사약을 받다 33
영창대군의 죽음 38
인목대비의 폐비반대와 기자헌의 유배 39
인조반정과 이괄의 변란 보고 50
기자헌의 죽음과 복권 57
승진과정 60
77 정인홍 – 40세에 천거되어 82세에 영의정에 오른 광해의 남자
광해군을 지지하여 영의정에 오르다 63
유난히 많았던 정인홍에 대한 평판 65
죽음을 무릅쓴 정인홍을 살린 상소문 76
합천에 거주하며 상소문을 통한 정치 82
인조반정과 정인홍의 죽음 85
승진과정 90
78 박승종 – 광해군의 사돈,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자결하다
광해군의 사돈 93
인목대비 폐비를 위한 백관의 의견수렴 97
승진과정 102
인조 시대
79 윤방 – 영의정 윤두수의 아들, 신주를 잘못 모셔 탄핵을 받다
영의정 윤두수의 아들, 선조와 사돈 107
백관의 의견 수렴, 정청 109
병자호란과 종묘사직의 신주 모시기 117
윤방의 졸기 137
승진과정 138
80 신흠 – 유교 7신으로 핍박받다가 전화위복된 영의정
선조의 유교 7신으로 핍박받아 인조 때 등용되다 141
선조의 유교 7신 144
과거시험관으로서의 책임 147
신흠의 졸기 148
신흠의 시 149
승진과정 152
81 오윤겸- 왕릉지기에서 영의정에 오르다
청렴결백하고 목민관으로 명망을 받은 인물 155
함경도 암행어사 감찰보고서 159
오윤겸의 졸기 161
승진과정 162
82 김류 – 인조반정을 기획하고 주도한 인물
인조반정 1등공신 165
탄금대에서 기생과 풍악을 벌였다는 탄핵을 받다 170
이괄의 난과 김류 174
병자호란의 중심에 섯던 김류 178
김류의 졸기 216
승진과정 218
83 이흥주 – 병자호란중 화친국서를 들고 적진을 드나들다
정종의 후손으로 도량이 넓고 곧았던 인물 221
병자호란 화친체결의 중재자 225
이홍주의 졸기 236
승진과정 238
84 최명길 – 인조반정 1등공신, 청나라와 화친을 주장한 주화파
인조반정 1등공신, 정묘· 병자호란의 중심에 서다 241
정묘호란 250
병자호란과 최명길 266
환향녀 처리문제로 논의하다 268
제사에 쓰는 음식에 대해 논하다 271
서경법 등 인사제도의 개선을 건의하다 273
최명길의 졸기 275
승진과정 277
85 홍서봉 – 11년간 숨어지내다가 인조반정에 가담하다
인조반정 3등공신 280
홍서봉과 병자호란 282
홍서봉의 졸기 305
홍서봉 어머니의 자녀교육 306
승진과정 308
86 이성구 - 태종의 7대손, 인조가 발탁한 첫 번째 인물
태종의 후손으로 이이첨의 배척이 전화위복이 되다 311
이항복의 사당을 세워 파직되다 313
이괄의 난에 따른 종합대책을 논하다 315
사신을 다녀온 이성구에게 청나라의 실정을 묻다 324
아들 보석금 문제로 탄핵을 받다 327
일본국에서 사당의 건립으로 편액과 시문을 청하다 329
이성구의 졸기 330
승진과정 331
87 신경진 – 신립장군의 아들, 인조반정으로 영의정에 오르다
인조반정의 기획자 334
인조반정의 기획의 전모 337
광해군의 죽음 347
신경진의 졸기 350
승진과정 352
88 심열 – 청송심씨 잡안으로 탄탄한 왕실과의 외척
왕실과의 외척으로 영의정의 대를 이어온 집안 355
심열의 졸기 361
승진과정 363
89 김자점 – 인조반정으로 영의정이 되어 권력욕으로 패망하다
인조반정 1등공신 366
국혼물실 정책을 관철하려다 삭탈관직된 김자점 370
병자호란 전에 점검되었던 강화산성 374
권력을 위해 소현세자빈과 그 아들들의 축출에 앞장서다 377
효종 즉위와 함께 시작된 탄핵 381
권력욕의 끝, 가족의 멸족 385
백족산과 자점보 392
승진과정 395
효종 시대 1
90 이경석 – 정종의 후손으로 삼전도 비문을 짓다
정종의 후손으로 임금을 위해 충성을 다하다 401
삼전도 비문을 짓다 410
원일잠, 정월 초하루 계명을 올리다 414
소현세자를 교육시키기 위해 청나라에 가다 416
명나라와 비밀리 소통을 하다가 적발되어 감금되다 417
8년만에 소현세자를 풀어주며 칙서를 내리다 420
효종의 북벌계획이 발각되어 그 책임을 지게된 이경석 423
송시열을 천거하고 송시열의 기롱을 받다 428
이경석의 졸기 432
승진과정 434
91 이경여 – 세종의 후손, 명나라 연호사용으로 구금·파면되다
세종의 후손으로 강직하고 충직했던 참 선비 438
나라를 위한 충정으로 올린 상소문 441
명나라 연호를 사용한 죄로 청나라에 구류되다 448
우의정이 되어 사은사로 가니 반청분자로 다시 구류되다 451
소현세자빈을 두둔하다가 유배되다 452
영의정의 벼슬을 자른 청나라 454
죽는 날까지 나라를 위한 충청에 불탓던 영의정 455
이경여의 졸기와 유훈 상소 466
백강白江마을과 대재각과 동매 468
승진과정 472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인홍이 속했던 북인은 영창대군이 출생하면서부터 광해를 지키려는 세력과 영창대군을 세자로 교체하려는 세력으로 나뉘어, 대북과 소북으로 나뉘어졌다. 대북의 중심에는 정인홍, 이산해, 이이첨이 있었고, 소북의 중심에는 유영경이 자리를 잡았다. 선조가 갑자기 위독해지자 선조는 왕위를 광해군에게 양위하고자 했는데 당시 영의정이던 유영경이 선조의 뜻을 뒤로 미루자 이를 눈치챈 정인홍이 유영경을 탄핵하다가 선조의 미움을 사서 유배를 가게 되었다. 이 유배형이 정인홍에게는 전화위복의 기회가 되었다.
- 광해군 시대 정인홍
그 당시에 강화도의 신하들 가운데 오랑캐의 진영에 가서 절을 하지 않은 사람은 오직 윤방 한 사람뿐이었는데, 이 사실에 대해서 대군이 증명을 해 주자, 임금이 근거 없이 탄핵하였다고 특별히 명을 내렸으므로, 대간의 상소장에서 그 말이 삭제되었다. 이렇게 해서 처음에는 파직되었다가 다시 영중추부사로 서용되었는데, 윤방이 죄를 자인하며 사직을 하자, 임금이 비답을 내리기를, “경의 말을 듣지 않다가 이 지경에까지 이르렀으므로, 혼자서 깊이 후회하며 한스럽게 여긴다마는, 이젠 모두가 소용없는 일이 되고 말았다. 경이 아무 죄도 없다는 것은 내가 잘 알고 있으니, 연소한 무리들이 아무렇게나 지껄이는 말들을 경은 개의치 말라.” 하였다.
- 인조 시대 윤방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학살하고 대비를 유폐하자 최명길은 핍박받은 서 인 동료들과 더불어 비밀리 모의하여 중대한 거사계획을 세웠다. 동료가 사저에서 인조를 뵙고자 하였는데 최명길은 달가워하지 않으면서 말하기를, “사사로이 뵙는 의리는 없다.” 하였다. 시간이 지나도록 모의가 결행되지 못하니, 최명길이 “시일을 오래 끌면 대사를 그르치기 십상이다.” 하고는 스스로 거사할 날짜를 잡고 계책을 정해 1623년[38세] 3월 12일에 인조를 받들어 대통을 잇게 하고 대비를 서궁에서 맞이하였다. 거사 후 최명길은 이조 좌랑에 제수되었고 정랑으로 전임되었다. 이해 겨울에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고 품계가 올랐으며 완성군에 봉해지고 이조 참판이 되었다.
- 인조 시대 최명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