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블록체인/디지털자산
· ISBN : 9791156228233
· 쪽수 : 181쪽
· 출판일 : 2023-08-30
책 소개
목차
Prologue _ 2
Ⅰ | 토큰증권의 개념과 규율체계 _9
토큰증권의 개념 _10
토큰증권의 명칭 _12
토큰화 방법 _13
자본시장법상 규율체계 _15
Ⅱ | STO의 역사와 한국의 환경분석 _19
STO의 진화와 역사 _20
토큰증권의 생태계 _29
우리나라의 STO 환경분석 _33
Ⅲ | 전통적 증권과 토큰증권의 비교 _43
전통적 증권 _44
토큰증권 _45
디지털자산의 증권 여부 판단기준 _47
Ⅳ | STO의 프로세스 및 장점과 단점 _59
STO의 프로세스 _60
STO의 시장 참여자 _63
금융규제샌드박스 _65
STO의 장점 _69
STO의 단점 _73
Ⅴ | 토큰증권의 발행과 유통 _75
발행 _76
유통 _88
Ⅵ | 주요 국가별 STO 동향 _99
미국 _100
일본 _104
싱가포르 _110
Ⅶ | STO 성공 요인 및 미래전략 _113
성공 요인 _114
기대효과 _117
향후 발전과제 _119
향후 전망 및 시사점 _122
부록 _129
토큰증권은 무엇입니까? _130
부동산 토큰화 _137
토큰증권을 소유하면 자산을 어떻게소유하나요? _142
토큰증권 발행에는 어떤 규정이 적용됩니까? _146
STO를 위한 주요 프로젝트팀 멤버는 누구입니까? _151
Reference _180
책속에서
만일 투자자가 얻게 되는 권리가 현행법상 증권에 해당한다면, 어떤 형태를 취하고 있든지 투자자 보호와 시장질서 유지를 위한 공시, 인허가 제도, 불공정거래 금지 등 모든 증권규제가 적용된다. 따라서, 토큰증권은 디지털자산 형태로 발행되었으나 법률상으로는 증권이므로, 당연히 자본시장법의 규율 대상이다.
STO는 증권의 성격을 가지는 ICO이다. 일반적으로 ICO를 통해 발행되는 토큰은 유틸리티 토큰이라 불린다. 유틸리티 토큰 사용자는 토큰 발행사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은 갖지만 토큰 발행사에게 이윤에 대한 지분은 요구할 수 없다. 반면, STO로 구매한 토큰증권(Security Token)은 토큰 발행사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며 지분을 소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