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6340607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15-01-03
책 소개
목차
제1장 1950년대 이전 영화들
1-01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년)
1-02 카사블랑카(1942년)
1-03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1943년)
1-04 젊은이의 양지(1951년)
1-05 금지된 장난(1952년)
1-06 로마의 휴일(1953년)
1-07 에덴의 동쪽(1955년)
1-08 노틀담의 꼽추(1956년)
1-09 OK목장의 결투(1957년)
1-10 콰이강의 다리(1957년)
1-11 기적(1959년)
1-12 벤허(1959년)
제2장 1960년대 영화들
2-01 태양은 가득히(1960년)
2-02 싸이코(1960년)
2-03 초원의 빛(1961년)
2-04 새(1963년)
2-05 사운드 오브 뮤직(1965년)
2-06 닥터 지바고(1965년)
2-07 남과 여(1966년)
2-08 석양의 무법자(1966년)
2-09 졸업(1967년)
2-10 의리의 사나이 외팔이(1967년)
2-11 혹성탈출(1968년)
2-12 로미오와 줄리엣(1968년)
제3장 1970년대 영화들
3-01 러브 스토리(1970년)
3-02 라이언의 처녀(1970년)
3-03 패튼 대전차 군단(1970년)
3-04 대부(1972년)
3-05 정무문(1972년)
3-06 빠삐용(1973년)
3-07 별들의 고향(1974년)
3-08 죠스(1975년)
3-09 록키(1976년)
3-10 겨울여자(1977년)
3-11 스타워즈(1977년)
3-12 취권(1978년)
제4장 1980년대 영화들
4-01 레이더스(1981년)
4-02 사관과 신사(1982년)
4-03 E.T.(1982년)
4-04 아마데우스(1984년)
4-05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1984년)
4-06 킬링 필드(1984년)
4-07 백 투 더 퓨처(1985년)
4-08 영웅본색(1986년)
4-09 블루 벨벳(1986년)
4-10 붉은 수수밭(1987년)
4-11 로보캅(1987년)
4-12 시네마 천국(1988년)
제5장 1990년대 영화들
5-01 사랑과 영혼(1990년)
5-02 터미네이터 2(1991년)
5-03 퐁네프의 연인들(1991년)
5-04 동방불패(1992년)
5-05 원초적 본능(1992년)
5-06 서편제(1993년)
5-07 쥬라기 공원(1993년)
5-08 레옹(1994년)
5-09 타이타닉(1997년)
5-10 아마겟돈(1998년)
5-11 쉬리(1999년)
5-12 미이라(1999년)
제6장 2000년대 이후 영화들
6-01 글래디에이터(2000년)
6-02 와호장룡(2000년)
6-03 봄날은 간다(2001년)
6-04 친구(2001년)
6-05 올드보이(2003년)
6-06 실미도(2003년)
6-07 트로이(2004년)
6-08 괴물(2006년)
6-09 맘마미아(2008년)
6-10 아바타(2009년)
6-11 레미제라블(2012년)
6-12 명량(2014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셰익스피어는 한 세대의 것이 아니고 만대(萬代)의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셰익스피어는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는 말도 있다. 영국의 보물이며 자존심인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로미오와 줄리엣’은 전 세계를 대표하는 러브 스토리의 대명사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춘향전처럼.
‘로미오와 줄리엣’은 워낙 유명하므로 구구한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아 간단히 스토리만 짚어본다. 로미오가 속한 몬테규가와 줄리엣이 속한 캐플릿가는 대대로 원수였다. 어느 날, 로미오는 캐플릿 가에서 열린 가면무도회에 갔다가 아름답고 매력적인 소녀 줄리엣을 만나고 두 사람은 서로 사랑에 빠진다. 두 사람은 성당으로 가서 비밀 결혼식을 올린다.
-‘로미오와 줄리엣’ 중에서
‘아마데우스(Amadeus)’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미들네임으로, ‘신이 아주 사랑하는(Beloved of God)’이란 뜻이다. 19세기부터 떠돌기 시작한 모차르트 독살설을 다룬 피터 새퍼의 희곡을 영화화한 것으로, 천재의 그늘에서 열등감으로 고통 받던 궁정 악장 살리에리의 눈을 통하여 악성(樂聖) 모차르트의 죽기 전 10년간을 조명하고 있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등 8개 부문을 수상했고, 남우주연상은 살리에리 역을 맡아 심리적 갈등을 실감 나게 잘 표현한 F. 머레이 아브라함이 받았다. 골든글로브 작품상도 수상했다. 모차르트 역을 맡은 톰 헐스는 특유의 경박스런 웃음으로 뚜렷하게 각인되었다. ‘아마데우스’ 하면 그 웃음소리가 떠오른다고 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은데, 그 웃음소리는 모차르트의 웃는 모습을 표현한 여러 편지글을 보고 창출해낸 것이라고 한다.
-‘아마데우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