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9115634128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6-02-22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_4
아빠가 사랑하는 딸에게 보내는 두 번째 편지 _12
들어가기
이 책을 읽기 전에 알아야 할 ‘감정심리학’ 미니 강의
1. 감정이란 무었인가? _17
2. 분노란 감정은 무엇인가? _21
3. 위로받지 못한 상한 감정은 어떻게 될까? _26
4. 분노와 공격성을 자아실현의 에너지로 변화시켜라 _30
5.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_34
1장 왜 배우자에게 화가 많이 날까?
1. 가정, 애정이 확인된 곳 _51
2. 가정, 보복의 두려움이 없는 곳 _57
3. 가정, 위로받지 못한 감정이 주인 노릇하는 곳 _64
4. 가정, 내면아이가 활동하는 무대 _69
5. 가정, 내면의 상처가 왕 노릇하는 곳 _75
6. 가정, 첫사랑의 그림자가 주인 노릇을 하는 곳 _85
7. 가정,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는 곳 _93
8. 치유 받지 못한 성적인 상처 _105
2장 왜 자녀에게 화가 많이 날까?
1. 자녀는 ‘또 다른 나’ _120
2. 성인아동으로 성장한 부모 _132
3. 강압적인 부모 _142
4. 형제들이 자주 싸울 때 _152
5. 원치 않았는데 태어난 자녀 _166
6.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부모 _172
7. 어릴 때 내가 키우지 않은 아이 _189
8. 부모의 낮은 자존감 _191
9. 알코올 중독, 학대받은 부모 _195
10. 대물림되는 폭력 _196
11. 배우자에게 쌓인 분노 _198
3장 인지치료로 보는 분노 다스리기
1. 인지 행동 치료 _203
2. 인지 행동적 분노 다스리기 실제 _215
1) 분노는 당신의 선택이다 _215
2) 화 날 일인가? 화낼만한 일인가? _217
3) “나는 화가 났다.”라고 말을 하라 _225
4) 타임아웃을 통한 인지적 접근 _231
5) 아이들에게 화가 난 수준을 알려라 _236
6) 자녀가 화를 낼 때 감사하라 _237
4장 당신의 상처 입은 감정을 감동시켜라
1. 상처 입은 감정의 증상 _249
2. 감정이 상처 입었을 때 대처 방법 _259
3. 감정의 출처를 추적하라 _262
4. 화가 난 상한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라 _268
5. 상처를 준 사람을 치유적으로 만나라 _276
6. 상처 입은 내면아이를 만나주라 _289
7. 부모와 나의 어린 시절을 알라 _294
8. 당신이 부모라면 자녀에게 진지하게 사과하라 _298
9.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라 _305
10. 변화는 나로부터 시작된다 _330
책을 마치며 _335
참고 문헌 _341
저자소개
책속에서
“분노는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내어야 하며, 표현방법도 건강해야 한다.”
분노를 적절하게, 상황에 맞게 건강하게 표현할 수만 있다면 우리는 성숙한 인격자이며, 분노라는 에너지를 관리하며 다스리는 사람이 된다. 분노라는 감정에서 자아실현의 에너지를 찾아내어 자신의 미래를 향해 도전하는 사람이다. 특히 가정에서 분노를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관리하며,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당신은 성숙한 사람이다.
문제는 가정에서다.
사회 속 대인관계에서는 인격적이며 성실과 정직으로 타의 모범이 되는 사람이 가정에서도 동일한 인격으로 살아가는지는 알 수가 없다. 대부분의 사람은 가정에서 화를 많이 내는 경향이 있다. 집에만 들어오면 바깥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화를 잘 내는 사람들. 과연 그들에게는 왜 그런 일이 일어나게 되는 것일까?
분노라는 감정은 자아실현으로 인도하는 생명의 에너지다. 하지만 부모가 자녀에게 화를 내거나, 배우자에게 화를 내는 분노는 자아실현으로 인도하는 에너지가 아니라 자녀와 배우자의 마음에 상처를 주고, 인격을 파괴하기도하며, 존귀한 자아상을 수치스러운 자아상으로 변질을 가져다준다.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중에서
우리는 분명히 알아야 할 사실이 바로 여기에 있다.
누구 때문에, 상황 때문이라고 문제의 원인을 외부로만 돌리지 말고, 이제 변화의 시작점을 나 자신으로 맞추고 주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삶을 대하는 태도를 배우자. 사랑스럽고, 가치 있는 존재인 ‘나’는 충분히 그럴만한 사람이다.
변화는 언제나 나로부터 시작된다. 바로 나!
-‘변화는 나로부터 시작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