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집안제사 해설

집안제사 해설

(고전예서에 근거한)

이형두 (지은이)
책과나무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집안제사 해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집안제사 해설 (고전예서에 근거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5776446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7-08-15

책 소개

조선시대에 편찬된 예서들과 여러 선유들의 글을 고찰하여 전통제례의 원형과 의미를 상세히 해설하고자 하였다. 제사 준비 과정인 지방과 축문의 작성, 제사상 차림부터 기제, 명절차례와 묘제의 절차에 이르기까지 예서에 근거하여 자세히 설명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목차

머리말 • 10

1. 집안제사의 종류와 변천 • 20

2. 제사의 준비 • 30
지방紙牓 • 32
축祝과 고사식告辭式 • 48
제사상차림(진설陳設 및 진찬進饌) • 80

3. 기일제사忌日祭祀 • 114
기제의례忌祭儀禮 해설 • 130
기제홀기忌祭笏記 • 150

4. 설과 추석차례 • 160

5. 선조묘제先祖墓祭 • 172

6. 참고문헌 • 182

꼬리말 • 186


부록

1. 절 • 190

2. 예서 • 203

격몽요결擊蒙要訣 • 203
-상제장喪制章, 제례장祭禮章, 제의초祭儀鈔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 239
-제례祭禮

사례집의四禮集儀 • 291
-선조묘제의先祖墓祭儀

저자소개

이형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적사安寂寺 덕명德明 큰스님에게 법명을 받았으며 아호는 청사菁史이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교수로 있으며, 동교실의 주임교수와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한소아심장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저서로 「집안제사 해설」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시대 예학의 근본이 된 『가례家禮』에는, 중월仲月(음력 2, 5, 8, 11월)에 사당에서 고조高祖까지 4대 조상에게 지내는 사시제四時祭, 동지에 시조始祖를 잇는 종자宗子(종가宗家의 맏아들)가 시조에게 지내는 초조제初祖祭, 입춘에 고조 이상을 잇는 종자가 각각의 선조(초조 이하 고조 이상의 조상)에게 제사 지내는 선조제先祖祭, 계추季秋(음력 9월)에 아버지를 잇는 종자가 아버지에게 제사 지내는 녜제禰祭(예제, 니제, 이제), 돌아가신 날 모시는 기일제忌日祭, 삼월 상순에 지내는 묘제墓祭 등 여섯 가지의 집안제사가 있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주된 이념이었으므로 제사도 명복을 비는 재齋의 형식으로 절에서 지냈다.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고려 말부터 사대부를 중심으로 유교적 제사가 점차 보급되었으며, 1474년 조선 성종 때 강희맹, 신숙주 등이 편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대부사서인大夫士庶人의 제사로 4중월의 시향 그리고 기일과 속절의 제사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조선시대 중기에 접어들면서 『가례』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주자예학을 널리 보급하고자 우리나라의 풍속을 가미한 예서들이 편찬되었다. 명종 5년인 1550년 회재晦齋가 가정의 제사에 대해 저술한 『봉선잡의奉先雜儀』는 중월의 사시제, 녜제, 기일제와 당시의 풍속을 좇아 설, 한식, 단오와 추석에 지내도 좋다고 한 묘제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이어 선조 10년인 1577년 율곡栗谷이 편찬한 『격몽요결擊蒙要訣』에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사시제, 기제와 설, 한식, 단오 및 추석에 지내는 묘제에 대한 서술이 있다. 또 1648년 간행된 『상례비요喪禮備要』에는 중월의 시제, 기제 그리고 묘제가 설명되어 있고, ‘우리나라 예학禮學의 종장宗長’이라 일컫는 사계沙溪가 『가례』를 증보, 해설하여 예설을 집대성한 『가례집람』은 1685년(숙종 11)에 간행되었다. 이 책에서 사계는 『가례』를 따라 사시제, 초조제, 선조제, 녜제, 기일제와 묘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700년대 초에 편찬되어 1844년 간행된 『사례편람四禮便覽』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예서인데, 사시제를 가장 중요한 제사로 다루었고, 녜제, 기제 및 삼월 상순의 봉사친奉祀親(친미진조親未盡祖, 현재 제사를 모시고 있는 친속親屬)에 대한 묘제와 시월 초하루의 친진조親盡祖(제사 모시는 대수가 다한 선조)에 대한 묘제가 설명되어 있다. 1922년 간행된 『사례집의四禮集儀』에는 사시제, 녜제, 기제 및 삼월 상순과 시월 초하루의 묘제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서들은 사시제를 가장 비중 있는 제사로 강조하였지만, 『성호전집星湖全集』에 실려 있는, 이익李瀷이 1700년대 중반에 쓴 것으로 보이는 ‘제식祭式’의 머리글에서, “지금의 풍속은 사시四時의 정제正祭를 거행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러므로 단지 기제, 묘제, 참례의 세 조목만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고 한 것처럼 이미 이 시기에 묘제를 중시하는 풍속으로 인해 묘제가 사시제를 대신하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