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5783326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12-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1장 인공지능 패러다임
인공지능은 음악과 무엇이 다른가?
왜 인공지능 패러다임인가?
2장 기호주의 인공지능과 문자 지식 패러다임
오래된 인공지능
기호주의 인공지능의 한계
인간은 이미 사이보그다
3장 기계학습 인공지능
기계학습
AI의 전제조건과 한계
AI는 뉴턴을 대체할 수 없다
4장 지능 패러다임
여러 가지 지능
과학 패러다임의 특징
고립계와 환원주의
AI 패러다임과 제3의 지식
AI 패러다임과 최적화
게임과 차원의 저주
과학적 지식과 제3의 지식의 공존
5장 AI 시대
도구를 쓰는 AI
지능과 환경
AI 패러다임과 교육
인공지능 시대를 사는 방법
문명의 시대와 부족의 시대, 그리고 인공지능
인본주의의 새로운 시작
닫는 글
부록
기계는 어떻게 학습을 할 수 있는가?
인공신경망이란 무엇인가?
빈도주의 확률
베이지안 확률
차원의 저주와 MCMC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공지능 패러다임의 핵심적 역할은 우리의 지능을 증진시키고 우리를 보다 합리적인 존재로 만드는 일이다. 발달한 인공지능이 널리 쓰이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인공지능이 없는 자신을 상상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 속에 내재화되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음악이나 문자처럼 말이다. 일찍이 과학적 문제 해결 패러다임은 우리를 변화시켜, 세상과 자신을 다른 눈으로 보게 만들었다. 인공지능 패러다임도 앞으로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인공지능 분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서, 새로운 응용 사례에 대한 소식은 흥미로울 수 있으나 대부분 순식간에 낡은 정보가 되어버린다. 이런 정보를 모아 책으로 출판하려 하면, 그 책이 인쇄되는 도중에 더 새로운 정보가 쏟아질 것이다. 인공지능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세상에 뒤처지지 않게 해준다. 새로운 인공지능을 또 만든다고 해봐야, 인공지능 패러다임에 속하는 또 다른 예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공지능 패러다임은 왜 어떤 발전은 더 중요한지, 왜 어떤 발전은 느리게 이루어지는지, 나아가 앞으로 인공지능 시대가 온다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준다. 우리의 교육도 우리가 암묵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는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해는 과학 패러다임을 포함한 과거의 패러다임들에 기초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인공지능 패러다임의 이해는 인공지능에 대해서 공부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이다.
오늘날에는 인공지능 패러다임을 이해하지 못하면, 기술이 더 발전할 수도 우리가 더 행복해질 수도 없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공학자들만의 몫이 아니다. 되도록 많은 사람이 인공지능 패러다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패러다임은 사회적 개혁도 요구한다. 그냥 빠른 컴퓨터만 있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마치 우리나라에 열 명의 뉴턴이 태어나도 나머지 사람들이 수렵채집 문명에 머물러 있다면 과학이 발전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