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57833436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4-08-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지루함의 넓이
뜻밖에도, 지루함
무엇이 중요한지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원
뇌의 예측, 그리고 기회비용
욕망에 대한 욕망
2장 지루함의 깊이
의미와 흥미, 일상과 사건들
주의와 지루함
얼어붙은 사람들
서서 응시하는 능력
자기로부터의 소외
3장 디지털 지루함
업데이트, 업데이트, 업데이트
지루함의 시대
엔트레인먼트, 혹은 사로잡힘
4장 지루함의 근원적 처방
아세디아 뒤집기
케어
연결
공명과 네거티브 능력
에필로그
미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무관심이나 우울과 달리 지루함은 세상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망이며 그 대상을 명확하게 찾지 못함에 대한 불만이다.
상식적으로 소음이 큰 환경일수록 과제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똑같은 과제를 하더라도 체감하는 난이도는 그룹 3, 2, 1 순서로 높아진다. 이 실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그로 인한 불쾌감, 지루함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과제에 집중하기 어려운 이유라고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소음 수준이 매우 낮았던 2그룹의 사람들이 1그룹보다 지루함을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시끄러운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는 과제에 집중하기 어려운 원인을 소음 탓으로 돌리게 되지만, 소음이 있으나 그 정도가 매우 낮은 환경에서는 주의를 더 기울여야 하는, 감정적으로 불쾌한 상황을 과제 탓으로 돌리기 때문에 과제를 더 지루하게 느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인지적 노력의 원인을 어디에 두는가, 이른바 귀인의 문제가 지루함 경험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