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칼날 위에서 피는 꽃

칼날 위에서 피는 꽃

(제1회 자유민주시인상 수상 시집)

고용석, 하수현, 홍찬선, 김미선, 김병준, 박소명, 유재원, 이효애 (지은이), 자유민주시인연대 (엮은이)
스타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칼날 위에서 피는 꽃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칼날 위에서 피는 꽃 (제1회 자유민주시인상 수상 시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57955756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1-02-10

책 소개

위협당하는 자유와 위험에 빠진 자유민주주의를 바로잡기 위해 자유민주시인연대가 공모한 '자유민주시인상' 공모 수상작 8명 80편을 수록한 시집이다.

목차

머리말

고용석 (대상)
칼날 위에서 | 자유는 봄날 잎처럼 | 인간 사냥 | 눈물꽃 | 시인詩人이 시인時人에게 | 그 사월의 봄꽃은 다시 핀다 | 못 박인 몸 | 큰 산 우화 | 강우규 의사 동상 앞에서 | 전흔戰痕

하수현 (최우수상)
혁명이여, 시인이여 | 로타리 냉면집 | 자유란 무엇인가 | 일본이란 이름의 숲 | 쥐와 유목민에 관한 다섯 단계 고찰 | 비소츠키 | 새마을 휴게소 | 희망병원 제6병동 | 산불 | 재즈가 흐르는 거리

홍찬선 (최우수상)
판사는 베를린에 있다 | 두 군인 아들에게 | 자유와 민주 | 광화문 광장 | 아들의 손 편지 | 해자오적 1 | 해자오적 2 | 해자오적 3 | 이용수 할머니 | 순진자殉眞者 리원량 | 백선엽

유재원 (우수상)
연줄 끊어지다 | 기억 | 동토에서 | 민주주의 현실은 1 | 민주주의 현실은 2 | 민주주의 현실은 3 | 무인도 | 고독한 도시 | 양심으로 무장한 혁명 | 낙인

이효애 (우수상)
위장전입 1 | 위장전입 2 | 위장전입 3 | 위장전입 4 | 위장전입 5 | 위장전입 6 | 위장전입 7 | 위장전입 8 | 위장전입 9 | 위장전입 10

김미선 (우수상)
겉절이 | 광장에서 1 | 광장에서 2 | 광장에서 3 | 연정 | 걸레 | 민주주의여 | 노동자의 일상 | 목 언저리에 둔덕

김병준 (우수상)
성난 매실효소 | 바둑을 두면서 | 날개병원 | 낙지 수족관 | 이것이 그러한가 | 내가 바둑 인공지능(AI)이라면 | 푸른 장마 | ‘모두 안녕’ | 반상盤上의 묵상

박소명 (우수상)
상처는 어디에 숨어 있을까 | 싸움에서 이겨야 하는데 | 다음은, 신축년 | 사이 그리고 사이 | 마스크가 설쳐댄다 | 도깨비가지 | 자다 일어나 갑자기 | 샌드 뱅크 | 요즘 세상은

심사과정: 시인 이름 지우고 블라인드 테스트 방식으로 심사
심사평: 민주주의 정신의 시적 형상화와 서정적 언어의 심미적 결속을 보여준 작품들

저자소개

홍찬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충남 아산군 음봉면 산동리 뫼골에서 태어나 월랑국민 음봉중 천안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한국경제신문 동아일보 머니투데이에서 28년 동안 경제기자로 지내면서 서강대 경영대학원(MBA)을 졸업하고 서강대 경영학과 박사과정(재무관리전공)을 수료했다. 일본 주오(中央)대학교 기업연구소 객원연구원을 지냈고 중국 칭화(淸華)대학교 경제관리학원 고급금융연수과정도 다녔다. 머니투데이방송(MTN) 보도국장, 머니투데이 북경특파원과 편집국장을 지냈다. 100세 시대를 준비하려고 2017년 7월에 자퇴(스스로 은퇴)해 시인과 소설가와 희곡작가 되고, 동국대 정치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두 딸과 두 아들을 두었다. 『시세계』 신인상으로 등단(2016년 가을호), 제1회 자유민주시인상 최우수상 수상(2021), 제1회 서울시인협회상(2023) 등을 받았다. 소설집 『그해 여름의 하얀 운동화』와 시집 『틈』 『남한산성 100처100시』 『가는 곳마다 예술이요 보는 것마다 역사이다』 『독도연가』 『서울특별詩 1, 2, 3, 4, 5』 등 20권을 출간했다. 기타 경제서적으로 『주식자본주의와 미국의 금융지배전략』 『패치워크인문학』 『임시정부 100년 시대 조국의 기생충은 누구인가』 『20대 대통령을 위한 경제학』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하수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 하성훈. 1961년 경북 영일군(현 포항시)에서 태어나 포항고, 동국대 법학과를 나왔다. 1985년 대학 3학년 재학 중 월간 ‘한국문학’(편집인 김동리) 신인상에 시 「새벽길」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시집 <나의 연인은 레몬 향기가 난다>와 장시 「올리브나무」 「겨울 나그네」를 발표했고, 시 「고독」 「겨울 호수」 「발자국」 등이 서울시 지하철에 게시되었다. 헤세기념상(PEN한국이사장), 안견문학대상, 중봉문학상, 김만중문학상, 철도문학상(국토부), 나라사랑창작상, 이한열문학상(연세대), 생태시문학상, 경북예술상(문학부문), 수주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효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3년 계간 ‘문학사랑’으로 시 등단, 2012년 월간 ‘시문학’으로 재등단. 시집 『그 틈, 읽기』 『침묵하는 새』 『손등이 가렵다』 『괄호안의 고백』 등. 라빈드라나드타고르문학상, 부산시인협회 작품상 등 수상.
펼치기
유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집 『그물을 던지면 별들이 눈을 뜨고』 『우리에겐 눈물로도 알 수 없는 슬픔이 있다』 『기수역』 『시골정미소』 『휘파람불기』 등 15권 출간. 중편소설 『사랑』 『소설 이완용』 있음.
펼치기
유재원의 다른 책 >
고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강릉 출생. 강릉고등학교, 중앙대 국문학과, 중앙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 문영여고, 서울여상 교사,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교장 역임. 계간 ‘문학미디어’로 시 등단. 정오 동인.
펼치기
김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림대학 영어과 졸업. 숭실사이버대 문예창작학과 졸업. 월간 ‘시가 흐르는 서울’ 신인상 수상. 전국여성문학대전 시조 부문 최우수상.
펼치기
김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무안 출생. 월간시 제12회 ‘추천시인상’ 당선. 현재 서울시인협회 ‘시문학회’ 회장.
펼치기
김병준의 다른 책 >
박소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주 출생. 서울디지털대 문예창작학과졸업. ‘맑은누리’ 신춘문예 등단. 시집 『메니에르』 출간.
펼치기
자유민주시인연대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어둔 방에 미명未明의 빛을 들이고
시인은 미지근한 숨결을 깨워
랭보의 새벽을 기다린다

구름에서 구름으로 이어지는 시간
노래 잃은 새가 몸을 떨구고
단단한 껍질 속에 갇힌 숲이 목말라 해도
여기서 저기로, 저기서 여기로
옮겨 다니는 말들의 혀를 믿지 마라
봄날 돋는 새잎의 언어들이
세상의 아름다운 진실을
몸으로 보여줄 때까지

그런 봄날, 시인이여
민중의 광대가 되어
이른 새벽 일어나
언어의 불씨 돋워 어둠 사르고
넘어진 풀 다시 세우고
말랐던 민주에 물을 주고
짐승의 발자국을 말끔히 지워 가자

어둠이 지나면 새벽이 오듯
자유도 봄날 잎처럼 올 것이니
- 「자유는 봄날 잎처럼」(고용석) 전문


쥐는 집쥐 생쥐 들쥐로 나뉘는데, 그 중 집쥐는 다른 쥐들에 비해 몸통이 약간 커서 눈에 잘 띈다. 그건 녀석들이 우리를 바라볼 때 우리가 뱀이나 족제비가 아니란 걸 알고 방심한다는 방증傍證이다. 놈들을 잡으려면 곳간 같은 데서 큰 자루를 뒤집어쓰고 있다가 녀석들이 지나갈 때 총알같이 덮치면 다 끝난다. 이때, 놈들의 이빨에 본능적 저항이란 플라크가 끼어있으니 조심하라. 다만 플라크가 두려워 쫄깃한 쥐고기를 포기하진 말 것.
- 「쥐와 유목민에 관한 다섯 단계 고찰考察」(하수현) 중에서


첫째 도적, 심적이 나가신다
기생오라비처럼 말쑥한 얼굴로 뭇 여성들 마음 흔들어
사람으로서 반드시 해야 할 일, 절대 해서는 안 될 일
가리는 양심, 몹쓸 약으로 마취해 놓았것다
재수 나쁘게 들키면 그런 일 없다
처음 듣는다 기억나지 않는다는 오리발이 최고
들키지 않으면 바로 내가 성인군자다 이게 바로 삶의 지혜
억울하면 엄마 아버지 잘 만나라
세상은 원래 울퉁불퉁한 것 이완용처럼 살아라
- 「해자오적 2」(홍찬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