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9115866273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
포스트모던 사회 이해
1 철학의 종언과 포스트모던
2 인식의 새로운 지평, 이성 그 너머
3 포스트모던 담론 이해와 수용
문화 신학의 대두와 전개
1 ‘자아의 이해’를 넘어 재조합으로
2 주체에 대한 해석학적 반추
3 문자주의를 넘어서는 상징의 재발견
4 포스트모던의 새로운 기회
5 해체와 기회, 그 사이
텍스트의 상호성과 신학의 자리
1 포스트모던의 틀에서 신학의 실재성
2 상호성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이해
3 상호성에 대한 기독교의 역사적 경험
4 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상호성
5 상호성을 위한 우리 시대의 요청
가치 규범의 혼재 속 신학 유형
1 문화의 관계망 속 의미 사슬
2 과학과 종교의 반목
3 종교와 과학은 화합할 수 있는가
4 기계적·유물론적 세계관과 현대인
5 가치와 규범의 혼재 속에서 신학하기: 신학 유형 A
6 규범성과 탈규범성
적대적 이질성 속 신학 유형
1 낯섦의 극복, 소통의 코드
2 적대성이라는 편린들
3 문화적 적대성의 사례: ‘안티-기독교’
4 이질성과 적대성 극복을 위한 노력
5 낯섦과 타자성의 세계에서 신학하기: 신학 유형 B
6 소통을 향한 김교신의 성찰
종교의 다양성, 정체성 유지와 변용의 합종
1 다양성과 다원성
2 한국에서 종교적 다양성의 실태
3 종교적 다양성의 함의
4 종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신학 유형 C
5 종교적 다양성을 읽는 유영모의 포스트모던적 코드
중심성과 주변성에 대한 새 패러다임
1 주변성의 창의적 요소
2 전통 종교에 대한 비신화화
3 새로운 중심성의 희구
4 소수자 인권이냐 공동체 보존이냐
5 종횡의 사유와 이정용의 탈근대적 정체성: 신학 유형 D
6 중심성의 허구와 주변성의 창조성
나가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