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며 한국언어유형론학회 회장이다.
주요 논저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1992, 공역)
소쉬르의 현대적 이해를 위하여 (1998, 공역)
한국어 문법론 (2003)
한국어 정보화와 구문분석 (2004, 공저)
한국어, 문법 그리고 사유 (2009)
한국어 교육의 이해 (2009, 공저)
언어의 이해 (2010, 공저)
한국어, 보편과 특수 사이 (2013)
허웅 선생 학문 새롭게 읽기 (2014, 공저)
한국어, 그 인칭의 비밀 (2014)
목정수 교수의 색다른 한국어 문법 강의 (2015)
한국 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 벨트 1 (2017, 공저)
언어유형론, 정신역학론 그리고 한국어 문법 (2020)
한국어 구문 연구 (2023) 외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석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교수, 북방문화유산연구소 소장. 발해와 북방고고학을 공부하고 있다. 국립모스크바대학교 고고학과 석사 및 박사. 해외에서는 고대 루시 유적(1994), 스키타이 쿠르간(1996), 아무르강 유역 신석기시대 유적(2000~2002), 연해주 발해유적(1995, 2003~2008, 2011~2016, 2018) 등의 발굴조사에 참여하였다. 대표 저서로 『북방유라시아대륙의 청동기문화』(학연문화사, 2004), 『크라스키노 발해성-발굴 40년의 성과』(동북아역사재단, 2021, 공저), 『발해유적총람 Ⅰ-Ⅳ』(예지안, 2023, 공저), 『몽골의 역사와 유적』(예지안, 2024) 등이 있다. 러시아 연해주, 아무르, 시베리아, 알타이, 몽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탄, 튀르키예, 중국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 등의 역사 및 고고학 유적을 답사하였으며, 자연을 느끼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것을 좋아한다.
펼치기
조태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업으로 ㈜ 광주요를 물려받으면서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전통 도자기의 생활화, 민화를 이용한 벽지 개발, 고급 한식당 ‘가온’ 오픈, 전통 증류식 소주 ‘화요’ 개발 등 전통을 현대에 걸맞게 창조하고 계승한다는 철학으로 기업을 경영하고 있다.
아무도 한식 세계화에 관심이 없던 20여 년 전부터 세계로 수출한 고급 한식 문화를 고민해왔다. 그리고 음식과 모든 문화 요소들을 결합하여 나라를 대표하는 상징적 상품을 창조한다는 사명으로 식생활 문화를 연구, 실천하고 있다.
2007년 미국 나파 밸리에서 국내외 미식가들을 초청해 광주요의 도자기와 가온의 요리, 화요의 전통주를 결합한 고급 한식을 선보였다. 이 만찬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한식 세계화라는 화두에 불씨를 댕겼다.
이후 수많은 강연과 화요 만찬 등을 이어가며 자타 공인 한식 세계화의 전도사로 통한다.
현재 ㈜ 광주요, ㈜ 가온소사이어티, ㈜화요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펼치기
이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신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명예교수. 『문화로 엿보는 그리스도, 예수로 바라보는 문화』, 『신학적 문화 비평 어떻게 할 것인가』, 『인간 본성에 관한 신학적 시론』,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등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