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철기문화 수용 시기의 분묘와 매장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58666767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1-12-3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91158666767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동북아 초기 역사시대라 할 수 있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의 기간을 중심으로, 문화 집단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발된 물질문화의 변동 과정을 여러 맥락에서 분석한다. 전국시대 연나라와 그 직후 진·한제국의 동진은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의 토착 사회들에게 이전에 겪어보지 않은 새로운 정치사회적 상황을 조성하였다.
목차
초기철기시대 태자하 중상류역 토착문화의 이문화 접촉과 반응 / 오강원
1. 머리말
2. 주요 유물·유적의 조사 현황
3. 토착집단의 이문화 접촉과 반응
4. 맺음말
점토대토기문화기 요동~서남한 지역 묘제의 전통과 변형 / 박진일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부장 토기의 검토
4. 점토대토기 등장기 묘제의 전통
5. 점토대토기 부장 묘제의 변형
6. 맺음말
묘제를 통해 본 점토대토기문화기 호남지역의 전통과 변형 - 만경강 유역을 중심으로 / 한수영
1. 머리말
2. 송국리형 무덤의 검토
3. 만경강 유역 송국리형 무덤의 양상
4. 만경강 유역 적석목관묘의 검토
5. 묘제의 전통과 변형
6. 맺음말
삼연 마구의 기원과 계통 / 김일규
1. 머리말
2. 중국 마구 문화의 형성과 전개
3. 동진-16국시대의 마구
4. 삼연 마구 문화의 성립과 계보
5. 맺음말
이문화의 접촉과 물질문화의 혼종 / 이성주
1. 머리말
2. 문제의 제기: 이주론의 부활
3. 한국 고고학의 계통론과 이주론
4. 이주·이동의 고고학적 재고
5. 접촉의 맥락과 혼종
6. 맺음말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