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가야
· ISBN : 9791160684292
· 쪽수 : 263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아라가야학술총서3’을 발간하며
고고학적 견지에서 본 1~3세기 | 이성주
Ⅰ. 머리말
Ⅱ. 1~3세기 이전의 글로컬 변동
Ⅲ. 역사 개시기로서 1~3세기
Ⅳ. 1~3세기 동이 사회의 위치
Ⅴ. 맺음말
함안 신음리 원삼국시대 취락유적의 조사 성과 및 의의 | 오재진
Ⅰ. 머리말
Ⅱ. 유적의 현황과 입지
Ⅲ. 조사내용
Ⅳ. 출토유물 검토
Ⅴ. 조사 성과 및 의의
변한 소국 네트워크의 위계 구조와 안야국 | 남혜민
Ⅰ. 머리말
Ⅱ. <삼국지> 韓傳의 소국 네트워크와 안야국
Ⅲ. 안야국과 변한 諸國의 관계
Ⅳ. 맺음말
3세기 안야국 이해의 몇 가지 문제 | 윤용구
Ⅰ. 머리말
Ⅱ. ‘辰王’과 안야국
Ⅲ. ‘大國’과 안야국
Ⅳ. 帶方郡과 안야국
Ⅴ. 맺음말
고고자료로 본 안야국의 형성 | 이동관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방향
Ⅲ. 지역성의 추출과 특징
Ⅳ. 맺음말
묘제로 본 安邪國과 辰·弁韓에서의 위치 | 채상훈
Ⅰ. 머리말
Ⅱ. 묘제의 분포와 편년
Ⅲ. 함안지역 묘제의 특징
Ⅳ. 안야국의 중심과 진·변한에서의 위치
Ⅴ. 맺음말
【부록】남문외고분군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
기록으로 본 남문외고분군 | 남재우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기록 속의 남문외고분군
Ⅲ. 일제강점기의 말이산고분군과 남문외고분군
Ⅳ. 해방 이후의 고분군 조사현황
Ⅴ. 맺음말
출토유물로 본 남문외고분군의 성격과 위상 | 이주헌
Ⅰ. 머리말
Ⅱ. 남문외고분군 출토유물의 구성과 특징
Ⅲ. 6세기 전후 함안지역 고분문화의 양상
Ⅳ. 남문외고분군의 성격과 의미
Ⅴ. 맺음말
남문외고분군의 조사 성과와 高塚의 築造技術 | 소배경
Ⅰ. 머리말
Ⅱ. 남문외고분군 위치와 기 조사현황
Ⅲ. 조사내용과 성과
Ⅳ. 高塚의 축조기술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