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

(민담 속의 시대정신)

박이도 (지은이)
바이북스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 (민담 속의 시대정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58772901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22-04-05

책 소개

민담의 해학으로 예리하게 되살리는 오늘날의 시대정신. 민담 속의 시대정신을 곱씹어 보면서 민담시집을 꾸준히 낸 박이도 시인의 시집. 오랜 세월 전해지는 우리 선조들의 민담 속에서 변모해 오는 오늘날의 시대정신은 무엇일까에 대한 시인의 오랜 고민이 담겨 있다.

목차

서문

1. 플라톤의 경고
플라톤의 경고 | “화천대유하세요” | 아수라는 어떤 나라인가 | 진인(塵人) 조은산의 상소 | 정책은 난무하나 결과는 전무하여 허무하더이다 | 폐하! 남쪽나라 대통령은 | 어느 나라의 대통령이신지요? | 문현령(文懸鈴) 이현령(李懸鈴) 타령 | 후나 형, 세상이 왜 이래? | 우리 사투리로 이바구함세

2. 이현령비현령 - 전자판
직필(直筆)인지 곡필(曲筆)인지 | “엄마 전교조 선생님이 싫어요” | 지금, 서울은 불타고 있는가? | 저주의 주문(呪文)이 된 H 목사의 기도

3. 다 망해버린 ‘개털’들의 반란
다 망해버린 ‘개털’들의 반란 |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왔네 | 나쁜 나라 좋은 나라 | 수수께끼 | “나는 제정신입니다” | 핵(核)폭탄이요! | 그냥 쉬는 남자 | “쪽팔려 대통령 노릇 못해먹겠다”는 대통령 | 나랏님 말씀이 ‘막노무가내’ | “미친 개는 몽둥이로 다스리는 법”이라신다 | 5,400만 불의 송사(訟事) | 5,400만 불의 꿈은 사라지고 | “됐네, 이제 자네는 사는 거야” | 동북공정, ‘두더지 혼인 같다’ | 죽은 자의 고백 | 누걸레치타령 | 댕가지밭에 체네 둘이 | 캐거던 캐거던 | 떡국새 | ‘가카 게 새끼 짬뽕’ 먹어 보셨나요? | ‘부동산 내각’이야? | 권불 10년이라고?

4.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
예레미야 | ‘종북(從北) 사제·수녀’님들의 고해성사 받습니다 | 꼿꼿장수 나와라 | 이팝에 소고기국을 | 벼슬아치와 농부 | 농부와 벤호사 | 개짖는 소리로 개그한 레노 | 가자 가파도, 마라도 | 구린내전(錢) 타령 | 뭐라고? | 미테랑의 거짓말 사기(詐欺) | 피양에선 돈지고 오라네 | 소 떼 몰고 간 왕(王) 회장 | 무엇이 무서워 못오시나요? | 서울의 나랏님께서 | 오동나무의 인격 | 누가 오나 누가 오나 | 샘물소리 | 비비쫑 | 통, 통타령 | 종다리의 권농가

저자소개

박이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 평안북도 선천宣川에서 태어나 광복 이듬해인 1946년 월남했다.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과를 졸업했고 숭전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0년부터 경희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봉직했으며 2003년 정년퇴임했다. 1959년 자유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었다. 1963년부터 ‘신춘시’ 동인, 1966년부터 ‘사계’ 동인으로 활동한 바 있다. 시집으로 〈회상의 숲〉 〈폭설〉 〈불꽃놀이〉 〈홀로 상수리나무를 바라볼 때〉 〈민담시집〉 〈데자뷔〉 〈있는 듯 없는 듯〉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 등 16권이 있으며, 시선집으로 〈빛의 형상〉 〈순결을 위하여〉 〈반추〉 〈누룩〉(〈삭개오야 삭개오야〉) 〈가벼운 걸음〉 등 6권, 번역시집으로 〈朴利道詩集〉(權宅明 번역)(일어) 〈Language on the Surface of the Earth〉(Kevin O’Rourke/Chang-Wuk Kang 번역)(영어)가 있다. 전집으로 〈박이도문학전집〉(전4권), 수필집 〈선비는 갓을 벗지 않는다〉, 평론집 〈한국현대시와 기독교〉가 있다. ‘대한민국문학상’, ‘편운문학상’, ‘문덕수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 사투리로 이바구함세」
- 팔도강산 이바구꾼 다 모였는가.
- 제 고장 사투리로 한판 벌여보세. / 담는 게 말이요 벌린 게 소리다.
-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한다는 거지요?
-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들리는지
- 말솜씨 좀 겨뤄보소.
싸목싸목 묵더라고 급한 밥 체한당께 / 왜 그리 바쁜디요 설렁방구 도리깨질 / 삭신이 녹아나고 두 눈에 노란 별이 가물가물 / 나 죽소 그 맹서 길었어도 그 밤은 짧았어라우 / 몽당귀신 채왈귀신 그믐밤 살살 기는 고샅길에 / 달 넘는 목매 달님 팔도양반 사랑했어라우 / 여시눈깔 내리깔고 워매워매 워따매 / 앵도라진 그 눈동자 몽땅 내 사랑 목숨을 걸었지라우 / 오매 어서 어서 오시랑께 / 온 세상 허벌나게 대한민국 문학메카 굿판 열렸네
(후략)


「“됐네, 이제 자네는 사는 거야” - 문형배 판사의 판결」 중에서
어느 판사의 주술이란다. / “피고는 ‘자살’을 열 번 복창하시오.” / 자살? “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 / 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살자, 사알자.” / “방청객 여러분! 지금 이 피고는 무엇이라고 반복하던가요?” / 잠시 술렁이던 방청석에선 / 일제히 한목소리로 터져 나온 말 / “‘사알자, 살자’라고 반복했습니다” / “피고는 들었는가? 나와 방청석의 모두가 자살이 아닌 ‘살자’로 들었노라. / 그러니 죽어야 할 이유를 살아야 할 이유로 고쳐 생각해 새롭게 살아가라. / 됐네, 이제 자네는 사는 거야.”
(후략)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877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