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성결교회 백년사

한국성결교회 백년사

정상운 (지은이)
킹덤북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성결교회 백년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성결교회 백년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58861681
· 쪽수 : 613쪽
· 출판일 : 2019-05-15

목차

발간사 _윤기순 4
편찬사 _김원교 7
서 문 _정상운 10

제1장 한국성결교회의 역사적 배경
I. 요한 웨슬리의 부흥운동과 19세기 성결운동 25
가. 요한 웨슬리(John Wesley)의 부흥운동 25
나. 19세기 북미성결운동 36
1. 19세기 성결부흥운동 36
2. 19세기 말 새로운 성결교파들의 형성 49
가) 만국성결연맹 및 기도동맹(IHUPL) 49
나) 기독교연합선교회(C&MA) 58

II. 동양선교회(OMS)의 태동과 발전 65
가. 1900년 전후 일본교회의 상황 66
나. 동양선교회 초기 시작시대(1901-1904년) 70
1. 중앙복음전도관 72
2. 동경성서학원 76
다. 동양선교회 조직시대(1904-1917년) 82
1. 동양선교회 조직 82
2. 성교단 사건(聖敎團 事件) 85
3. 일본성교회(日本聖敎會) 90
라. 동양선교회 16개 신앙개조 92

III. 1907년 한국성결교회 설립 전후의 국내 상황과 한국교회 98
가. 개신교 전래 이전의 시대적 상황 98
나. 개신교의 전래와 선교활동 102
다. 1907년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 111

제2장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 시대(1907-1921년)
I. 복음전도관의 태동 124
가. 복음전도관의 설립 124
1. 정빈과 김상준의 일본 유학과 귀국 125
2. 경성 복음전도관의 설립 128
3.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의 초기 전도활동 131
4. 정빈과 김상준의 신학사상 133
가) 정빈의 신학사상 133
1) 십자가 구원의 복음 133
2) 사중복음 강조 134
3) 구습에 대한 개화사상 139
나) 김상준의 신학사상 142
1) 『黙示錄 講義』와 전천년설의 재림론 143
2) 『四重敎理』와 사중복음 146
3) 『但以理書 講義』 152
나. 초기 전도관의 활동(1907-1910년) 155
1. 전도관 활동 155
2. 초기 성별회 157
3. 복음전도관의 출판사업 158
가) 초기의 찬송가들 158
나) 『부표관쥬 신약젼서』의 발행 160

II.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의 발전 162
가. 토마스 감독의 입국 162
나. 경성성서학원의 설립 164
1. 성서학원 설립의 배경 164
2. 남녀공학제 실시 169
3. 경성성서학원 교과과정 170
다. 복음전도관의 성장 172
1. 제1회 목사 안수 173
2. 지방전도관의 설립과 전도활동 174
가) 복음전도관의 설립과 현황 174
나) 복음전도관의 전도 활동(1911-1916년) 176
1) 각 지방 복음전도관의 활동 176
① 무교정복음전도관 176
② 진남포복음전도관 177
③ 개성복음전도관 178
④ 규암복음전도관 179
⑤ 은산복음전도관 180
⑥ 아현복음전도관 181
⑦ 철원복음전도관 181
⑧ 김천복음전도관 182
⑨ 경안복음전도관 183
⑩ 경주복음전도관 184
⑪ 홍산복음전도관 185
2) 전도부인의 양성과 사역 185
3) 부흥회(성별회) 189
다) 복음전도관과 3·1운동 191
1) 독립운동에 가담한 성결교회 193
2) 독립운동의 참여자들 194
① 김상준 194
② 강시영 195
③ 김응조 195
④ 백신영 196
⑤ 한도숙 198
⑥ 김기삼 199
⑦ 이상철 200

제3장 조선예수교 동양선교회 성결교회 시대(1921-1936년)
I. 성결교회의 교단 조직과 발전 203
가. 한국성결교회 교회제도의 변화 203
1. 만국성결연맹과 동양선교회의 감독제 (1910년-1920년) 204
2. 간담회(1921-1924년) 209
3. 동양선교회성결교회와 이사회 제도 212
나. 복음전도관 체제에서 성결교회로 교단전환 217
다. 연회 조직과 자치선언, 총회구성 219
1. 연회조직과 자치선언 219
2. 총회조직 223
라. 각 기관의 조직 및 활동 225
1. 주일학교 225
2. 부인회 229
3. 성우청년회 232
4. 지방전도대 233
5. 시장전도대 235
마. 경성성서학원의 발전 236
바. 각 지역교회의 발전 239
사. 만주의 선교활동 246
아. 제3회 총회와 교단의 분열(하나님의 교회, 1936년) 249

II. 일제에 의한 성결교회의 수난(1938-1943년) 254
가.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와 한국교회 말살정책 255
나. 성결교회의 대응 및 순교 258
다. 경성신학교 승격 265
라. 신사참배와 황민화 침략전쟁에 대한 부일 행보 266
마. 교역자 검속 및 교단의 강제해산 271

제4장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시대(1945-1961년)
I. 8.15 해방과 성결교회의 재건(1945년-50년) 277
가. 해방과 한국교회 재건 277
1. 해방 후 미군정의 종교정책 277
2. 북한교회의 재건운동 280
3. 남한교회의 재건운동 288
가) 조선기독교단의 교회재건 운동 288
나) 감리교단의 교회재건운동 291
다) 장로교단 중심으로 추진된 교회재건 운동 292
나. 성결교회의 재건 297
1. 1945년 제1회 재흥총회와 ‘대의제도’ 298
2. 성결교회의 교회건물의 재건 302
가) 다시 찾은 성결교회 건물 302
나) 적산불하(敵産拂下)로 세워진 교회들 305
다) 해방 후 신설된 교회들 311
다. 해방과 한국성결교회의 새로운 복구 313
1. 교단 명칭 변경 313
2. 신학교 개교 및 학교명 개칭 314
3. 『活泉』의 복간 316
4. 신생부인회 개칭 318
라. 교단 헌법의 개정 320
마. 동양선교회 복귀와 관계 설정 325
1. 동양선교회 선교사의 복귀 325
2. 동양선교회와의 관계 설정 328

II. 6・25전쟁과 성결교회(1950-54년) 333
가. 6・25전쟁과 한국교회의 수난 333
1. 한국교회의 ‘공산주의’ 인식 333
2. 6・25전쟁과 한국교회 수난 338
3. 한국교회의 전쟁지원 활동 342
나. 성결교 지도자들의 납북 351
다. 공산당에 의한 순교 354
라. 부산 피난총회와 신학교 354
1. 부산 피난총회 354
2. 피난신학교 358
마. 총회산하 각 기관 활동 359
1. 복음전도대 360
2. 십자군전도대 361
바. 최정원 목사의 임마누엘교회 사건 363
사. 동양선교회의 교단지원과 구호활동 368
1. 세계 구호단체의 창구역할을 통한 한국교회 지원 369
2. 구호활동의 참여 371
3. 외국 구호단체와 긴밀한 관계 유지를 통한 지원 374

III. 6・25 이후 성결교회 재흥(1954-60년) 377
가. 제9회 총회와 헌법개정(1955년) 377
나. 성결교회의 재흥 380
다. 희년기념사업 383
라. 수복 후 각 기관의 활동 390
1. 전국장로회 390
2. 성결교회 신생부인회 392
3. 청년회 전국연합회 396
4. 교회학교 전국연합회 401
5. 각종 사회사업 활동 404
6. 군 선교활동과 군목 407
마. 사이비종교와 성결교회의 대처 409
바. 교육사업 413
1. 여자성경전문학교 설치와 지방성경학교 413
2. 일반학교 설립과 기독교교육 417

제5장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시대(1961-2007년)
I. 교단분립과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설립 (1961-1965년) 421
가. 1960년대 한국사회와 교회의 상황 421
1. 한국사회의 상황 421
2. 한국교회의 재차 분열 424
나. 성결교회 교단분열의 원인 426
1. 성결교회와 연합기관 426
가) NCC(National Council of Church) 426
나)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 430
2. 성결교회 안에서 NCC와 NAE의 대립 433
다. 예성과 기성의 분열 438
1. 제15회 총회 438
2. 제16회 총회와 복음진리동지회(보수동지회) 442
3. 보수총회 448
4. 합동총회 454
라. 예수교대한성결교회 461
마. 성결교 신학교 개교 467
1. 신학교 개교와 김응조 목사 467
2. 신학교 건축과 홍대실 권사 471

II. 교단 성장과 발전(1965-2007년) 477
가. 예성교단 내의 ‘예지예정’ 논쟁 477
1. 논쟁의 배경 477
2. 1973년 예성과 혁신의 분립 481
3. 1988년 예성과 혁신의 합동 483
나. 성결신학교 안양캠퍼스 이전과 김응조 목사 소천 484
다. 예성 80주년 기념관 봉헌 487
라. 예성선교대회와 2.2.1 운동 488
1. 대회 개최의 의의 488
2. 대회 목적 489
3. 대회 진행 491
4. 이후의 성과 492
마. ’95 AWF 및 성결인의 세계대회 492
1. 대회 개최의 의의 493
2. 대회 목적 495
3. 대회 조직 및 진행 496
가) AWF(‘95 AWF Quadrennial Conference) 496
나) 성결인의 세계대회(World Congress of The Sungkyul Church) 497
4. 이후의 성과 498
바. 한국성결교회연합회 결성(2001년) 499
사. 82차 총회와 여목사안수안 통과 501
아. 예수교대한성결교회 100주년 기념성회 504

III. 성결교회 백주년과 21세기 비전 518
가. 100년 성결교회 유산과 역사적 평가 519
1. 사중복음과 웨슬리신학에 대한 신학적 평가 519
2. 성결교회 성장에 대한 목회적 평가 519
3. 성결운동에 대한 평가 520
4. 성결교회와 복음 선교에 대한 평가 521
5. 교단분립과 일치에 대한 평가 521
나. 21세기 새로운 변화와 성결교회의 사명 522

부록 1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역대 총회장 현황 528
부록 2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역대 장로 부총회장 현황 531
부록 3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역대 총무 현황 533
부록 4 창립자 정빈(鄭彬)의 생애와 사상(정상운) 534

대표집필자, 집필위원 소개 591
참고문헌 599

저자소개

정상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성결대학교 신학과, 한양대학교 석사, 동대학원 사학과(한국사 전공) 문학박사(Ph.D 수료), 침례신학대학교 석사, 동대학원 신학과(교회사 전공) 철학박사(Ph.D), Moldova자유국제대학교 명예인문학박사(Doctor Honoris Causa) 현재 성결대학교 신학과 역사신학 교수(1987년-현), 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 소장, 한국신학회 회장, 대학총장포럼 회장, 한국성결교회연합회 연구 위원장, 베트남 Hongbang International University 명예총장 과거 성결대학교 총장 (5-6대), 신학대 학장, 신학대학원장, 목회대학원장, 선교대학원장, 교목실장 등, 미 Yale University 연구교수,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 한국성결신학회 회장, 2005세계한인신학자대회 대회장, 한국성결교회연합회 신학위원장, 성결교회와 역사문학회 회장, 예 성백년사 집필위원장, 성결신학연구소장, 영암신학연구소장, 한국복음주의신학대학협의회 회장, 전국기독교대학교대학원장협의회 회장, 한국신학대학총장협의회(교과부 대교협) 부회장 등 주요 저서 『성결교회사』(1997, 은성), 『한국성결교회 백년사』(2019, 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킹덤북스), 『새벽을 깨우는 사람들: 인물로 본 성결교회사』(1995, 은성), 『교회사의 사람들』(1995, 이레서원), 『영암 김응조목사와 신사참배』(2001, 이레서원), 『성결교회와 역사연구』1~5권(1997-2004 년, 은성 등), 『사중복음』개정판(2010, 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 『성결교회역사총론』 개정판(2012,성결교회와 역사연구소), 『한국교회사』(2016, 소망플러스), The Four-fold Gospel(IKSCH, 2010) 등, 공저로 『신유』(2002, 바울서신), 『알기 쉬운 교회사』(2000, 이레서원), 『천주교는 개신교와 무엇이 다른가』(2019, 한국신학회, 킹덤북스), 『이 시대 대학총장에게 길을 묻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