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91158862190
· 쪽수 : 313쪽
· 출판일 : 2021-09-0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김삼환 목사(명성교회 원로목사) • 10
머리글 • 12
1부 마을목회와 NGO를 통한 교회의 사회봉사 • 19
1. 최근 ‘마을목회’로부터 촉발된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에 대한 강조•20
1) ‘지역사회목회’보다 ‘마을목회’란 용어 사용을 추천•20
2) 마을목회의 정의•22
3) 마을을 교회 삼아, 주민을 교인 삼아•23
4)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마을목회•23
5) 정행의 신학으로서의 마을목회•26
6) 세 가지 실천에 대한 제안•28
2. 사회봉사 실천을 전문적으로 하는 NGO의 설립•29
3. 마을목회의 핵심 전략•42
4. NGO와 NPO•46
5. 기독교 NGO들의 활동과 공공신학•50
6. 공공신학으로서의 마을목회와 복음전도•53
7. ‘사랑마을 만들기’로서의 ‘마을목회’•57
2부 기독교 사회봉사 실천, 왜 해야 하는가? • 59
1. 사회적 목회와 사회적 선교 • 60
2. 개인구원과 사회참여에 대한 사이더(Ronald Sider)의 견해 • 64
3. 교회가 하는 사회봉사의 당위성 문제를 다시 생각하여 봄 • 75
4. 사회적 목회들(social ministries)과 사회적 목회(social ministry) • 82
5. 사회선교와 복음전도의 연계 • 87
3부 기독교 사회봉사 실천의 기반이 되는 삼박자 선교 • 91
1. 문화적 구원의 개념 • 92
1) 복음서에 나타난 다양한 구원의 모습 • 92
2) 총체적 구원으로서의 문화적 구원 • 93
3) 문화적 구원으로서의 샬롬 • 95
2. 순복음교회의 삼박자 구원 • 96
3. 삼박자 선교 • 99
4. 삼박자 선교의 관점에서 본 호남권 선교 • 101
5. 21세기 한국교회의 국내외 선교전략 • 106
6. ‘삼박자 선교’와 NGO의 활동 • 112
4부 기독교 사회봉사 실천,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15
: 기독교 사회봉사 실천방법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1. 해석학에 기반한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방법론 • 116
2. 해석학이 우리의 실천적 행동에 주는 의미 • 119
3. 해석학의 명제에 따른 그룸(Thomas H. Groome)의 실천방법론 • 128
4.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방법론의 또 다른 기초로서의 근본적 실천신학(fundamental practical theology) • 138
1) 실천신학의 대두 • 138
2) 근본적 실천신학의 방법론 • 145
3) 실천신학의 방법론과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방법론 사이의 연관성 • 148
5. 헤셀(Dieter T. Hessel)의 사회적 목회(social ministry) 방법론•150
1) 사회적 분석•154
2) 성경적, 신학적, 윤리적 반성•157
3) 목회적, 사회적 실천•158
4) 피드백(feedback)•160
6. 기독교 사회윤리의 제3의 길: 해석학적 접근•161
7. 사회봉사 실천방법론에 대한 정리•165
8. 사회봉사 방법론 적용의 한 사례: IMF시대의 사회봉사 실천•168
1) IMF의 실상에 대한 분석•168
2) 성경적, 신학적, 윤리적 반성•171
3) 교회의 목회적, 사회적 실천•172
4) 새로운 대안적 경제체제 모색•178
5부 전략 기획 방법 • 187
1. 전략 기획의 틀거리•188
2. 사례: 지역 내 자원봉사가 필요한 기관이나 복지기관 등의 리스트를 만들어 지역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보람되게 자원봉사를 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만들어 운영하는 일을 위한 전략 기획•191
1)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는 과연 필요한가?•192
2) 교회 청소년들의 자원봉사 활동을 위한 전략 기획팀 선발•193
3) 전략 기획팀 회의•193
4) 교동협의회의 발족•193
5) 기획과정 계획•195
6) 의견수렴 과정•196
7) 핵심가치 정하기•196
8) 사명에 대한 진술•197
9) 목적 세우기•198
10) 환경분석•198
11) 비전의 수립•199
12) 발전목표의 설정•200
13) 발전전략•201
14) 세부 발전전략•201
15) 상세한 사업계획•202
16) 재정소요와 재정확보 계획•203
17) 발전계획 달성 후의 미래상•203
18) 돌발사태에 대한 대비•205
19) 이행•205
20) 평가와 그 결과를 차기 기획에 사용하는 일•205
3. 마치는 글•206
6부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PCK) 2030 정책과제 분석 • 209
1. 서언•211
2. 2030 정책문서의 작성 목적과 경위•216
1) 후기정보화사회의 사회환경•216
2) 21세기의 한국교회•216
3) 지난 반세기 동안 총회의 중장기정책 개발과 기구개혁의 경과•217
4) 총회혁신의 방향과 과제•220
5) 미래를 향한 비전•221
3. 본 교단 총회의 사명(mission)과 핵심가치(core value)•223
1) 본 교단 총회의 사명•223
2) 기독교의 핵심가치•224
4. 환경 분석(environmental analysis): 교회 내부 환경과 교회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224
1) 교회 내부 환경과 교회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224
2) SWOT분석•229
5. 미래 비전(vision)•230
6.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strategic tasks)와 세부 정책과제•237
정책과제 1) 신학 영성 예배•237
정책과제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회와 목회•242
정책과제 3) 지역사회와 목회•246
정책과제 4) 교회학교 교육과 세대별 교육의 강화•248
정책과제 5) 교육과 지도력 개발•250
정책과제 6) 교회 체제 개혁과 교단 행정의 효율화•255
정책과제 7) 선교와 전도 그리고 성도의 교제 강화•262
정책과제 8) 에큐메니칼 운동과 세계화•268
정책과제 9) 대사회 전략•272
정책과제 10) 평화와 통일•276
7. 기본 전략(strategy)•279
1) 기본 전략•279
2) 핵심 정책과제•280
8. 본 교단의 노회나 시찰들이 향후 10년간 시행하여야 할 구체적 실천 내용•282
9. 2030년의 미래교회상•285
10. 구체적 시행계획을 세움•286
7부 기독교 사회봉사 실천, 무엇을 해야 하는가? • 289
1. 앞의 내용에 대한 간단한 요약•290
1) 해석학적 과제를 갖는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290
2) 상황분석(situation analysis)의 중요성•291
3) 반성(reflection)의 과정•293
4) 실천신학적 과제•294
2. 전략 기획 방법•294
3. 상황분석을 기초로 우리가 할 일을 찾음•296
1) 총회의 실천과제들•300
2) 노회의 실천과제들•301
3) 지역교회의 실천과제들•302
4. 사역을 연구하고 기획하는 초교파적인 팀을 마련하여 운영•303
5. 사회봉사 과제 결정과 이행의 과정•306
6.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어 주님의 복음을 전파하는 일에 재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307
7. 과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