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5890459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박시제중(博施濟衆): 질병 통제와 구제
1장. 조선 전기 국가의 질병 관리: 혜민서와 활인서
1. 조선의 질병들
2. 일상의 질병과 혜민서
3. 역병 관리와 활인서
2장. 송대 자선 기구와 의료 구제: 안제방과 양제원
1. 안제방의 설치와 운영
2. 의료 구제 활동
3. 양제원의 확대와 구제 기능의 변화
3장. 일제 시기 식민지 의료 정책과 도립의원
1. 도립의원으로의 개편과 관련법 제정
2. 「조선도립의원관제」 개정과 구성원의 변동
3. 도립의원의 진료 분과와 의무 직원
4. 도립의원 운영 자금과 세입ㆍ세출 현황
2부. 사회적 신체: 질병 관리와 구성원 통제
4장. 고대 로마의 군대 의료: 군의와 군병원
1. 군인들의 건강: 문헌상의 근거들
2. 군대 내의 의사들
3. 군병원의 흔적
5장. 20세기 초 미국 인디언의 정신질환과 모빌리티 통제
1. 미국의 ‘정신이상’ 인디언 연구 방법과 사료
2. 캔튼 인디언 정신병원
3. 캔튼으로 가는 길
4. 모빌리티와 정신질환
6장. 일본 전매 공장 노동자와 보건위생
1. 전매 사업의 전개와 공장 노동자
2. 전매국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3. 노동위생 대책과 내부 의료체제
4. 공제조합 제도의 성립과 전개
3부 끝나지 않은 실험: 근현대 정치 문화와 보건 의료
7장. 중국 공산당 근거지 시기의 위생 정치: 선전과 실천
1. 위생의 담론 정치
2. 실천을 통해 살펴보기
8장. 한국 의료보장의 초기 형성: 낮은 수준의 보편적 평등의 기원
1. 산업화 시대의 사회경제적 불균형과 정치적 상황
2. 의료보험법과 의료보호법,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법의 제정
3. 1976년 의료보험법과 이후의 사회보장법: 의료보장, 사회보험, 사회보장
9장.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의 운영: 이주민 노동력의 활용
1. 국민보건서비스와 영국 사회
2. 보조 노동력으로서 이주민 노동력
3. 핵심 노동력으로서 이주민 노동력
4. 남아 있는 문제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