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6684336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6-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부 문명 국가와 정신질환 17
1장. 온전한 정신, 정상적 신체: 2차 세계대전과 인적 자원의 조건 _이남희 19
1. 건강한 시민, 건강한 병사 22
2. 공동체 수호에 적합한 시민 병사 29
3. 안전한 사회의 건강한 시민 35
2장. 근대의 시선으로 보호감치의 대상이 되어 버린 정신병자 _이방현 43
1. 위생경찰의 감시 관찰과 취체의 대상이 된 정신병자 46
2. 서구식 근대 의료의 치료감호 대상이 된 정신병자 50
3. 신문에 의해 근대의 정신병 지식을 주입받는 대중 55
3장. “삶의 복잡다단한 면”: 미국의 정신이상 외국인과 이주장치 _신지혜 62
1. 증기선 회사 64
2. 사회복지단체 78
3. 이민자의 대응 88
4장. 환경, 계급, 젠더의 삼중주: ‘교외 신경증’의 발명과 수용 _황혜진 96
1. 교외 신경증의 발명 101
2. 의학계의 교외 신경증 논의와 수용 106
3. 전간기 영국 사회의 교외 신경증 인식 115
4. 에필로그: 전후 영국 사회와 교외 신경증 125
2부 권위주의 국가와 신체 통제 129
5장. 근대 중국의 아편중독 관리 _정혜중 131
1. 아편중독에 대한 이해 134
2. 의료선교사들의 아편중독 치료 139
3. 아편중독자에 대한 치료와 갈등 146
6장. ‘적색 마약’'과의 전쟁: 한국의 마약 정책과 반공주의, 1945-1960 _박지영 159
1. 해방 직후 마약 문제와 단속 중심의 정책 수립 162
2. 한국전쟁 시기 간첩-마약 담론의 확산과 반공 선전 167
3. 아편의정서 채택과 국제적 마약 통제체제로의 편입 174
7장. “노동하는 신체”를 과학하기: 제국 일본의 노동과학과 데루오카 기토 _홍수경 187
1. “생명의 희생”에 대항하는 노동과학 192
2. 전시 노동의 ‘합리화’를 위한 노동과학 201
3. 정착민 식민주의에 대한 노동과학의 개입 207
3부 가부장 국가와 여성의 몸 219
8장. 조선 백성의 절반, 여성 건강에 대한 국가의 대응 이꽃메 221
1. 머리말 221
2. 조선 여성의 수명과 건강 223
3. 의료 전문가 양성 229
4. 관찬의서와 여성 건강 235
9장. 식민지 조선의 ‘낙태’ 담론과 국가 _이영아 252
1. ‘구르기’부터 ‘뢴트겐 요법’까지?낙태의 방법과 의학 256
2. ‘음란’과 ‘범죄’로서의 낙태-낙태금지의 시선과 국가의 통제 264
3. ‘우생’으로서의 ‘산아제한’?낙태허용론의 대두 271
4. 주변국의 낙태 담론과 식민지 조선의 현실 276
10장. ‘불임’에서 ‘난임’으로: 한국의 인구 정치와 보조생식기술의 일상화 _김선혜 284
1. 인구 억제 시기 불임의 의미와 보조생식기술의 도입 287
2. 출산 장려 시기 보조생식기술의 제도화와 난임의 탄생 297
3부 가부장 국가와 여성의 몸 219
더 읽을거리 310
찾아보기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