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건강한 국가 만들기

건강한 국가 만들기

(정신, 신체, 그리고 여성)

이남희, 이방현, 신지혜, 황혜진, 정혜중, 박지영, 홍수경, 이꽃메, 이영아, 김선혜 (지은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1,300원
24,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건강한 국가 만들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건강한 국가 만들기 (정신, 신체, 그리고 여성)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6684336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6-15

책 소개

여러 정신질환, 약물과 관련된 질환, 신체의 기능과 의미에 관한 규정, 여성의 출산과 낙태, 난임 등은 시대적 요구를 기반으로 한 국가의 질병 통제나 관리 그 자체가 진단의 기준으로 작동했음을 알려 준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비교적 체계화된 감염병 관리와는 다른 접근과 다양한 시도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목차

머리말 5

1부 문명 국가와 정신질환 17

1장. 온전한 정신, 정상적 신체: 2차 세계대전과 인적 자원의 조건 _이남희 19
1. 건강한 시민, 건강한 병사 22
2. 공동체 수호에 적합한 시민 병사 29
3. 안전한 사회의 건강한 시민 35

2장. 근대의 시선으로 보호감치의 대상이 되어 버린 정신병자 _이방현 43
1. 위생경찰의 감시 관찰과 취체의 대상이 된 정신병자 46
2. 서구식 근대 의료의 치료감호 대상이 된 정신병자 50
3. 신문에 의해 근대의 정신병 지식을 주입받는 대중 55

3장. “삶의 복잡다단한 면”: 미국의 정신이상 외국인과 이주장치 _신지혜 62
1. 증기선 회사 64
2. 사회복지단체 78
3. 이민자의 대응 88

4장. 환경, 계급, 젠더의 삼중주: ‘교외 신경증’의 발명과 수용 _황혜진 96
1. 교외 신경증의 발명 101
2. 의학계의 교외 신경증 논의와 수용 106
3. 전간기 영국 사회의 교외 신경증 인식 115
4. 에필로그: 전후 영국 사회와 교외 신경증 125

2부 권위주의 국가와 신체 통제 129

5장. 근대 중국의 아편중독 관리 _정혜중 131
1. 아편중독에 대한 이해 134
2. 의료선교사들의 아편중독 치료 139
3. 아편중독자에 대한 치료와 갈등 146

6장. ‘적색 마약’'과의 전쟁: 한국의 마약 정책과 반공주의, 1945-1960 _박지영 159
1. 해방 직후 마약 문제와 단속 중심의 정책 수립 162
2. 한국전쟁 시기 간첩-마약 담론의 확산과 반공 선전 167
3. 아편의정서 채택과 국제적 마약 통제체제로의 편입 174

7장. “노동하는 신체”를 과학하기: 제국 일본의 노동과학과 데루오카 기토 _홍수경 187
1. “생명의 희생”에 대항하는 노동과학 192
2. 전시 노동의 ‘합리화’를 위한 노동과학 201
3. 정착민 식민주의에 대한 노동과학의 개입 207

3부 가부장 국가와 여성의 몸 219

8장. 조선 백성의 절반, 여성 건강에 대한 국가의 대응 이꽃메 221
1. 머리말 221
2. 조선 여성의 수명과 건강 223
3. 의료 전문가 양성 229
4. 관찬의서와 여성 건강 235

9장. 식민지 조선의 ‘낙태’ 담론과 국가 _이영아 252
1. ‘구르기’부터 ‘뢴트겐 요법’까지?낙태의 방법과 의학 256
2. ‘음란’과 ‘범죄’로서의 낙태-낙태금지의 시선과 국가의 통제 264
3. ‘우생’으로서의 ‘산아제한’?낙태허용론의 대두 271
4. 주변국의 낙태 담론과 식민지 조선의 현실 276

10장. ‘불임’에서 ‘난임’으로: 한국의 인구 정치와 보조생식기술의 일상화 _김선혜 284
1. 인구 억제 시기 불임의 의미와 보조생식기술의 도입 287
2. 출산 장려 시기 보조생식기술의 제도화와 난임의 탄생 297
3부 가부장 국가와 여성의 몸 219

더 읽을거리 310
찾아보기 317

저자소개

이꽃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나라 여성 건강과 보건의료의 역사, 근현대 간호직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정혜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도쿄대학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근대 경제사 및 의료사의 관점에서 아편중독과 그 치료 및 국가의 질병관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선혜 (감수)    정보 더보기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여성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대학교와 조지워싱턴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2020년부터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사는 재생산 노동, 과학 기술과 젠더, 초국적 의료산업이다. 주요 연구논문은 "The role of reproductive justice movements in challenging the ban on abortion in South Korea", "재생산의료 영역에서의 남성: 한국의 보조생식기술과 난임 남성의 비가시화", "Reproductive technologies as population control: How pronatalist policies harm reproductive health in South Korea", "‘제3자 생식’ 규제를 둘러싼 한국의 재생산 정치: 난자·정자 공여와 대리모는 왜 문제가 되었는가" 등이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는 “Baby Miles”: Reproductive Rights, Labor, and Ethics in the Transnational Korean Reproductive Technology Industry (book manuscript)와 임신중지기술을 둘러싼 동아시아의 재생산 정치이다.
펼치기
황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영남대학교 역사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20세기 영국에 집중하여 의학 개념의 사회성, 의료 분과의 역사성, 의료윤리 의 발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미국 현대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이화사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신이상과 정신건강의 개념과 그것이 정립되는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20세기 미국 정신의학사 및 정신보건과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이방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한국사회복지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 복지사와 정신장애사를 문화적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박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협동과정(현 과학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 속 의학 지식의 형성과 실천에 관심을 갖고 한국 근현대 의학사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홍수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일본 쓰다주쿠대학교(津田塾大學) 국제관계학과에서 준교수로 재직 중이다. 총력전기 일본제국의 사회변동 및 전후 동아시아적 전개를 노동재편성, 젠더, 과학지식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영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근대 초기 문학과 담론에 나타난 몸, 의학, 여성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