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전환 시대 유럽의 새로운 길

대전환 시대 유럽의 새로운 길

(위기와 갈등을 넘어)

김면회, 김봉철, 강유덕, 김일곤, 박상준, 이영주, 이하얀, 신의찬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1,2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전환 시대 유럽의 새로운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전환 시대 유럽의 새로운 길 (위기와 갈등을 넘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71992379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4-03-21

책 소개

한국외대의 세 번째 신사회계약인문사회총서이다. 유럽은 선도적으로 신사회계약을 통해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사회공동체 수립을 구상하고 있다. 대전환 시대에서의 유럽의 새로운 방향, 그리고 위기와 갈등을 넘어서는 그 여정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목차

서문 5

제1장
유럽연합(EU)의 신사회계약 로드맵: 유럽그린딜(EGD)∥김일곤 17

제2장
유럽연합(EU)의 정의로운 전환 메커니즘: 정의로운 전환 기금 규정 적용을 중심으로∥김봉철, 신의찬 37

제3장
복합위기와 유럽연합 사회정책의 최근 동향∥김면회 81

제4장
유럽사회권기둥(The European Pillar of Social Rights)의 의미와 한계∥박상준 113

제5장
기후 위기와 금융안정에 대한 유럽중앙은행(ECB)의 입장: 신(新)사회계약적 접근과 함의∥이영주 137

제6장
중동부 유럽의 녹색 전환 전략∥이하얀 161

제7장
유럽의 경제적 불평등과 코로나∥강유덕 185

저자소개

강유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경제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Language & Trade 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소장 [저·역서 및 논문] 『국제경영학』 (공저, 2025) 『EU의 통상정책』 (공저, 2022) 「Public Attitudes Towards Globalisa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Eurobarometer Survey」 (2025) 외
펼치기
김면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를린자유대학교(FUB)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연구책임자 [저·역서 및 논문] 『단일유럽법(SEA)·유럽연합조약(TEU)』(번역·해제, 2023) 『미완의 독일통일』 (공저, 2022) 「미노슈샤피크의 신사회계약론 탐구: 유럽그린딜에의 함의」 (2024) 외
펼치기
김일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 · 역서 및 논문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 설립조약』 (번역·해제, 2022); 『주요국 사용자단체의 현황과 역할 비교분석』 (공저, 2020); 「유럽의 전환 실험과 전략적 함의 : 유럽 그린 딜(EGD)을 중심으로」 (2023) 외
펼치기
박상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 · 역서 및 논문 『유럽경제공동체(EEC) 설립조약, 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 설립조약』 (공역·해제, 2023); 『사회적 유럽 선언』 (번역, 2021); 「기후 위기와 유럽노동조합연맹의 인식 : 사회생태적 계약을 중심으로」 (2023) 외
펼치기
이하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 · 역서 및 논문 『통합전환 이후 동유럽인의 삶·도시·문화』 (공저, 202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공저, 2022); 「불가리아의 러시아 에너지 무기화에 대한 에너지 독립 전략과 시사점 분석」 (2023) 외
펼치기
김봉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킹스칼리지 법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장모네 EU센터 공동소장 [저·역서 및 논문] 『법으로 보는 유럽』 (저서, 2024) 『극지 거버넌스의 이해』(저서, 2024) 「EU Korea trade relations in the context of global disruption: political and legal perspectives」(2023) 외
펼치기
이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인문사회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저 · 역서 및 논문「정치 인구학을 통해 본 EU 인구 위기와 그 영향」(2023).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발행 논의의 전개와 디지털 유로화(Digital Euro) : 유럽중앙은행(ECB)의 입장 및 디지털 유로화 발행의 의미를 중심으로」(2022) 외
펼치기
신의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책임연구원
펼치기

책속에서

서문 중에서
대전환과 복합위기가 시대적 화두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1990년대 초반, 냉전 시대를 뒤로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질주하던 세계를 묘사했던 핵심어는 세계화와 정보화였다. 그 자리를 이전과는 사뭇 다른 흐름이 조성되고 있음을 알리는 대전환과 복수의 위기 징후가 동시적으로 엄습해 오고 있음을 뜻하는 복합위기가 대체하고 있다. 진행 중인 대전환이 복합위기의 원인이 되는 부분도 있고, 복합위기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주체적인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기후 위기, 보건 위기, 인구 절벽, 4차 산업혁명, 고령화, 청년 실업, 디지털 전환, 그린뉴딜, 뉴노멀 시대 등이 이러한 흐름과 관련되어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어휘들이다. 30여 년 만에 재현되고 있는 시대적 화두의 전환 시기임이 분명하다.
복합적인 위기의 도래는 기존 질서의 정당성에 대한 의구심을 확산시킨다. 기존 질서의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급속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은 역사적으로 언제나 있어 왔고, 때로는 상당 부분 성공적이었음도 확인된다. 최근에도 대전환 시대의 복합적인 위기 상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분주하다. 신(新)사회계약(new social contract) 논의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UN을 포함한 국제기구 수장들의 주요 연설 내용뿐만 아니라, 산업사회의 부작용을 앞장서 지적해 온 제도권 내 · 외의 정치적 좌파 세력 및 정치적 우파의 각종 선언에도 새로운 사회계약의 필요성은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새로운 사회계약에 대한 논의가 특정 정파에 의해 전유되지 않고 있기에 정책과 제도의 개선을 통한 노력에서부터 사회 및 경제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재구조화 작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부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적용 범위에 있어서도 일국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범세계적인 차원으로까지 확장되어 구상되기도 한다. 신사회계약에 대한 연구의 연륜이 짧기에 구체적인 논의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고, 논의된 내용의 심도 또한 깊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신사회계약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은 오히려 크다.
지난 시기를 복기해 보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강도와 대응 속도가 모두에게서 동일한 내용과 방식으로 전개되지는 않았다. 최근의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 과정에서도 이러한 모습은 재현되고 있다. 복합위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 과정에서 유럽연합을 포함한 유럽의 모습이 남다르다. 대응 전략 수립 및 구체적 실행을 위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노력에 있어서도 유럽의 움직임은 눈에 띈다. 유럽은 선도적으로 신사회계약을 통해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사회공동체 수립을 구상하고 있다. 당면한 복합위기로부터 회복을 넘어 다음 시대에 적합한 사회 모델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데 유럽이 적극적이다. 유럽은 이전 시대가 남긴 상처들을 치유하고, 인간과 생태환경과 사회 모두의 공생적 온존을 내용으로 하는 신사회계약을 향한 긴 여정의 출발선을 이미 넘어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