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

김상배, 김흥규, 박재적, 배기찬, 부형욱, 신범식, 이상현, 이수형, 이승주, 이왕휘, 전봉근, 전재성, 최경준 (지은이), 김흥규 (엮은이)
  |  
명인문화사
2021-03-23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

책 정보

· 제목 :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1930398
· 쪽수 : 532쪽

책 소개

변화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시대를 대비하는 책이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대륙과 해양 세력, 복수의 강대국 사이의 중간지대에 놓여 있다. 저자들은 한국이 미국 혹은 중국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가 아닌 ‘결미연중(結美聯中) 플러스’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목차

서문

1장 중간국의 생존전략을 찾아서
1. 서론
2. ‘끼인 나라’ 한국의 존재론적 고민
3. 미중 전략경쟁과 동북아 신(新)지정학의 지형
4. 한국의 국제정치적 정체성과 정체성 기반 국익
5. 한국의 중강국(中强國) 외교 원칙과 과제
1부 신세계질서와 국제정치 패러다임의 변화
2장 바이든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국제정치질서
1.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시작
2. 2020년의 중국외교
3. 2021년 바이든 행정부의 등장과 중국외교
4. 국제정치질서의 지속성과 연속성
3장 미국의 신세계전략: 미국 우선주의와 인도태평양전략
1. 서론
2. 미국의 신세계전략
3. 인도태평양전략의 부상과 미중관계
4.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5. 결론
4장 중국의 신세계전략: 중국경제의 부상과 일대일로전략
1. 서론: 중국의 부상과 대전략의 변화
2. 고도경제성장과 국제적 지위 향상
3. 중국의 신세계전략
4. 신세계전략의 추진 전망
5. 한국에 주는 함의
5장 아태 지역 강대국의 대응전략: 일본과 인도
1. 서론
2. 인도태평양전략과 일대일로: 전략적 환경의 변화
3. 일본
4. 인도
5. 결론
2부 한국의 신외교·안보전략 구상
6장 한국의 동북아전략 평가와 새로운 동아시아전략
1. 한국외교의 핵심인 동북아전략의 형성과정: ‘동방정책’과 ‘북방정책’
2. 김대중정부의 동아시아정책과 노무현정부의 ‘동북아시대 구상’
3. 이명박정부의 ‘신아시아 구상’과 박근혜정부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4. 문재인정부의 ‘외교다변화’와 ‘동·남·북아시아정책’
5. 한국의 새로운 동북아전략 모색
7장 신국제질서 하의 새로운 한미동맹전략
1. 서론
2. 미국의 패권재조정전략과 미중 군사경쟁의 심화
3. 미국 안보전략의 변화에 따른 한미동맹의 새로운 과제
4. 북핵문제의 변화와 한미동맹
5. 남북 간 군사관계의 변화
6. 북핵협상의 미래
7. 한미동맹 현안 I: 유엔사령부의 향후 지위
8. 한미동맹 현안 II: 전시작전권 환수와 한미 연합전력의 미래
9. 한미동맹의 미래를 위한 노력들
8장 한국의 사이버안보전략: 중견국 외교론의 시각
1. 서론
2. 미중 사이버안보 경쟁의 복합지정학
3. 미중경쟁 사이 한국의 중개외교?
4. 미중경쟁 사이 한국의 연대외교?
5. 미중경쟁 사이 한국의 규범외교?
6. 결론
9장 한국의 국방변혁과 신안보전략
1. 서론
2. 전략환경의 변화와 안보·국방에의 파급효과
3. 신안보전략과 국방변혁: 전략적 방향성 모색
4. 결론
10장 한반도 비핵·평화체제전략
1. 서론
2. 북한의 핵무장 배경과 동향
3. 북핵외교의 경과와 성과
4. 한반도 비핵평화체제 구축전략
5. 결론 및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 방안
3부 중간국 외교안보전략
11장 딜레마에 빠진 ‘중간국’ 호주의 외교전략
1. 서론
2. 호주 경제의 점증하는 중국 의존과 호주의 우려
3. 최근 호주의 안보정책: 미국으로의 경도 심화
4. 중간국으로 호주의 고민: 안보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 사이에서
5. 결론
12장 동남아시아의 헤징전략: 미중갈등과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의 대응
1. 서론
2. 베트남의 중간국외교
3. 미얀마의 중간국외교
4. 필리핀의 중간국외교
5. 강대국 갈등과 동남아 중간국
6. 함의와 제언
13장 우크라이나의 대외전략: 지정학적 중간국으로서의 딜레마
1. 서론
2. 우크라이나 대외전략의 내·외적 환경
3. 우크라이나의 중간국 외교와 외교안보적 균형점의 변동
4. 정책적 함의
14장 폴란드의 대외전략: 중추적 중견국가의 관점에서
1. 서론
2. 중추적 중견국가의 개념과 외교 행태
3. 국제체제의 변화와 폴란드 안보정책의 전개
4. 한국 외교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15장 한국의 신외교안보 전략을 찾아서

저자 소개

도해목차


1.1 한국의 국가 정체성에 따른 국가비전과 주요 정책과제
2.1 미중 전략경쟁 비교
2.2 주요국 코로나19 대응 상황
2.3 미중 경제성장률 전망
4.1 중국 정치경제의 발전단계
4.2 중국의 경제성장: 1952∼2018년
4.3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대전략: 미중관계와 국제환경
4.4 1선 도시의 1인당 GDP (2017년)
4.5 중국 공산당 19차 당대회 발전 방안
8.1 중견국 규범외교의 네 가지 모델
10.1 북핵협상 악순환 패턴
10.2 한반도 비핵평화체제 구축 로드맵
12.1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 국가개관
12.2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ASEAN 국가별 규모
12.3 베트남의 대미국 무역 규모
12.4 베트남의 대중국 무역 규모
12.5 미얀마의 대미국 무역 규모
12.6 미얀마의 대중국 무역 규모
12.7 필리핀의 대미국 무역 규모
12.8 필리핀의 대중국 무역 규모
13.1 탈냉전 이후 미·유럽-러-중 신거대게임과 유라시아 지역질서
13.2 우크라이나 대외전략적 지향성의 변동

도표
4.1 구매력 GDP (2010년 미국 달러화 기준) 장기 전망: 중국·미국·일본·한국
4.2 명목/구매력 GDP: 1970~2018년
4.3 명목 및 구매력 일인당 GDP: 1990~2018년
4.4 중국과 미국의 GDP 및 1인당 GDP 전망(2016~2050년): 동아시아 경로 대 남미 경로
4.5 한국 수출액 및 무역수지: 중국, 미국, 일본
6.1 동아시아 세력권의 양상과 단층선
9.1 한국형 허브와 스포크전략
10.1 북핵 시나리오와 정책옵션
12.1 미중 갈등 속 동남아 국가들의 중견국 외교
13.1 유라시아 주변에 형성된 지정학적 단층선
13.2 민주화, 정체성의 정치, 대외정책
13.3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인구 분포와 동서분열 구도
13.4 우크라이나 중간국 외교 균형점의 변동
14.1 낭만적 삼각관계와 중추 국가

저자소개

전봉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소장직무대리 겸 안보통일연구부장 한국핵정책학회 부회장 前 청와대 국제안보비서관,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전문위원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미국 오레곤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이수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정치외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와 국제평화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제지역연구소 연구위원을 맡고 있다. 옮긴 책으로 <미국외교정책사: 루스벨트에서 레이건까지>, 주요 논문으로 「정상외교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2002), 「9·11 뉴욕테러와 21세기 신전쟁」(2002), 「군사분야 혁명과 나토(NATO)의 방위능력구상: 동맹의 전력구조에 대한 함의」(2002) 외 다수.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사이버안보학회 회장과 서울대 미래전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다. 대표 저서로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2022),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2018),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2014) 등이 있다.
펼치기
배기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인문대에서 동양사,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을 공부했다. 1980년대 말 한국사회연구소에서 국제관계 및 남북관계를 연구했고, 1990년대 중반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동아시아 패권체제와 코리아’, 하버드대학교에서 ‘북한의 체제변화를 위한 국제협력’을 연구했다. 국회 외무통일위원회 등에서 정책을 다루었고, 이수인 국회의원, 김대중 대통령후보, 김원기 국회의장을 모셨다. 2000년 이후 노무현 대통령후보 정책팀장, 해양수산부장관 자문관, 대통령직인수위 전문위원, 청와대 국정과제팀장으로 일하면서 국정리더십과 정책현안, 국정비전과 국정과제를 기획하고 추진했다. 2006년 이후 청와대 정책실 동북아시대위원회 비서관, 정책조정비서관, 통일외교안보실 동북아비서관으로서 국정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관장했고,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수행원으로서 [10·4 선언]을 작성하는 데 일조했다. 2008년 이후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경희사이버대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YWAM-AIIM의 새코리아센터 책임자로 일했다. 2013년 통일코리아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이후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계간 통일코리아], [유코리아뉴스]를 발행하고, 전국을 순회하며 화해·협력과 통일에 대해 강의했다. E-mail: baekichan@gmail.com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 및 아시아연구소 부소장을 맡고 있다. 국회,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법무부, 합동참모본부,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등에서 정책 자문 활동을 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라시아국제관계, 러시아 외교안보, 환경·에너지 국제정치, 메가아시아 및 비교지역연구 등이다. 주요 저술로 『21세기 유라시아의 도전과 국제관계』(2006),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2022),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이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안보연구실장, ≪정세와 정책≫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한국국제관계연구소와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동아시아연구원(EAI) 국가안보패널(NSP) 연구위원, 매일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 통일부˙육군˙국방부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제정치와 안보, 군사전략, 한미관계, 북한 문제를 주로 연구하며, 최근 논저로는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대응: 한국에 대한 안보적 함의』(2011), 『한국의 핵 비확산 외교와 원자력 정책』(2011), 『세계화시대 한국의 국가안보: 주요 내용과 특징』(공저, 2010), 『이명박 정부 중반기 한미 안보협력 과제와 전망』(2010),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 The Vision of ‘Global Korea’s and Its Challen-ges”(2009), 『외교환경과 한반도』(공저, 2009), 『동아시아 공동체: 신화와 현실』(공저, 2008), 『지식질서와 동아시아: 정보화시대 세계정치의 변환』(공저, 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EAI 무역 기술 변환센터 소장.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경제, 통상의 국제정치,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등이다. 주요 저서 및 편저로는 『미중경쟁과 디지털 글로벌 거버넌스』(이승주 편), 『사이버 공간의 국제정치경제』(이승주 편), “세계 경제의 네트워크화와 미중 전략 경쟁: 복합 지경학의 부상,” “경제?안보 넥서스(nexus)와 미중 전략 경쟁의 진화,” “Institutional Balancing and the Politics of Mega FTAs in East Asia,” 『Northeast Asia: Ripe for Integration?』(공편)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의 다른 책 >
최경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정치학 박사 2020,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안보·경제 정책.” 『유럽연구』 2019, “Democratic Constitutions Against Democratization: Law and Administrative Reforms in Weimar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New Democrac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 『법집행의 정치: 신생민주주의 국가의 법집행과 공권력의 변화』 (서울: 도서출판 이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