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가 몰랐던 몽골

우리가 몰랐던 몽골

(현대 몽골의 생존과 발전, 그리고 번영)

장재혁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가 몰랐던 몽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가 몰랐던 몽골 (현대 몽골의 생존과 발전, 그리고 번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9115901969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3-10-17

목차

서문 5
들어가며 9

제1장 몽골, 생존의 방법을 외교에서 찾다 11
1. 몽골의 약소국 외교: 몽골은 어떤 외교 전략을 구사하는가? 13
2. 몽골 ‘제3의 이웃 정책’: ‘제3의 이웃 정책’은 무엇인가? 21
3. 국제정치학 이론으로 보는 몽골의 외교: 현실주의? 자유주의? 29
4. 몽골의 지정학적 정체성: 왜 중앙아시아에서 동북아시아로 이동하는가? 36
5. 동북아 안보와 ‘울란바타르 대화(UBD)’: 몽골은 왜 동북아 안보 협력에 참여하는가? 43
6. 근대 몽골의 외교: 소련으로의 ‘한쪽으로 기울기’ 전략 47
7. 현대 몽골의 외교: 외교 무대의 중심축을 동북아로 이동 60
8. 몽골과 한국의 외교 관계: 한반도 안보에서의 전략적 협력국 66
9. 몽골과 북한의 외교 관계: 앞으로도 전통적 우방국으로 남을 수 있을까? 74
10. 몽골과 중국의 외교 관계: 몽골 외교의 최대 난제(難題) 84
11. 몽골과 미국의 외교 관계: 안보적 관점에서 몽골의 가장 중요한 제3의 이웃 국가 94
12. 몽골과 러시아의 외교 관계: 전통적 최대 우방국으로의 부활? 105
13. 몽골과 일본의 외교 관계: 일본과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는 이유는? 117
14. 몽골과 인도, 몽골과 유럽연합(EU)의 외교 관계: 몽골의 또 다른 제3의 이웃 국가 126

제2장 몽골, 발전의 길을 경제에서 찾다 133
1. 몽골제국의 유라시아 경제활동: 몽골제국은 왜 정복 비즈니스를 했나? 135
2. 몽골제국과 유라시아 경제권의 탄생: 글로벌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끼쳤나? 143
3. 근대 몽골 경제: 몽골 경제는 어떻게 광산업 중심의 구조가 되었나? 147
4. 현대 몽골 경제: 현대 몽골 경제의 특성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153
5. 지리의 눈으로 몽골 경제 읽기: 몽골의 지경학 정체성은 어디에 있는가? 156
6. 중국-몽골-러시아 경제회랑과 동북아 철도협력: 몽골에 기회인가? 위협인가? 165
7. 고비텍-동북아 슈퍼그리드: 몽골은 왜 동북아 지역으로 전력을 수출하려 하는가? 172
8. 동북아 국가들과의 EPA/FTA 추진: 몽골은 왜 동북아 지역경제 통합에 참여하는가? 182
9. 유라시아 지정학과 몽골 경제: 몽골 경제에서 외교가 중요한 이유는? 190
10. 4차 산업혁명과 몽골 경제: 4차 산업혁명 시대 몽골의 가능성과 현황은? 195

제3장 몽골, 번영의 꿈을 문화에서 찾다 205
1. 몽골의 국가경쟁력: 문화 207
2. 몽골인의 기원과 신앙: 몽골인, 그들은 누구이며 무엇을 믿었나? 213
3. 몽골의 의복 문화와 음식 문화: 유목 생활에서의 경험과 지혜가 어떻게 반영되었나? 219
4. 몽골의 주거 문화와 몽골인의 세계관:
몽골 게르는 어떻게 유목 문화적 세계관을 반영할까? 224
5. 몽골의 놀이 문화와 나담축제: 몽골인들은 어떻게 놀고 즐겼을까? 229
6. 몽골제국 확장의 군사적 원동력: 몽골군은 어떤 군사 전술로 적을 제압했나? 237
7. 몽골인의 정체성: 과거, 현재, 미래 245

저자소개

장재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몽골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몽골학(정 치·경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는 조교수(연구중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현대 몽골의 외교, 안보, 경제, 문화 등 몽골의 제분야와 한국-몽골의 관계와 교류, 그리고 협력이다. 주요 연구로는 국제저명학술지(SSCI)에 등재된 〈Mongolia becoming a permanent neutral nation? Focusing on the debate and challenges of the permanent neutral nation policy(2023)〉, 〈The Role of Mongolia i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wenty-First Century Northeast Asia: Relevance of the ‘Ulaanbaatar Dialogue(UBD)’ Initiative(2022)〉 등이 있다. 연구 이외에도 2022년 몽골에서 개최된 제7차 ‘울란바타르 대화(UBD)’에 한국 대표 중 1인으로 참석하였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러시아·중앙아시아 연구분과위원으로도 참여하는 등 몽골과 관계된 다양한 활동을 활발히 이어나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