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진보주의, 학교 개혁에 여전히 유효한가?)

윌리엄 헤이스 (지은이),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옮긴이)
살림터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진보주의, 학교 개혁에 여전히 유효한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1957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1-06-25

목차

추천사

옮긴이 후기
일러두기
서문

1. 진보주의 교육의 등장

2. 존 듀이: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선구자

3.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다른 선구자들:
파커, 피아제, 킬패트릭

4. 20세기 전반기의 진보주의 교육운동:
교육개혁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

5. 1950년대: 스푸트니크 발사의 파장

6. 1960~1970년대: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전성시대?

7. 위기의 국가 보고서(1983)와 이를 둘러싼 논란

8. 1980년대와 1990년대:
보수주의 교육개혁과 그에 대한 비판들

9. 낙오학생방지법

10. 마리아 몬테소리:
유아교육과 특수교육의 새로운 지평

11.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영향

12. 중학교:
학제의 변화와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영향

13. 학교 선택

14. 영재교육, 재능교육 프로그램의 발전과
진보주의 교육운동

15. 오늘날의 진보주의 교육

16. 진보주의 교육의 미래

참고자료_미국의 학제
해제

저자소개

윌리엄 헤이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등학교에서 사회 교사, 사회교과 부장교사, 교감, 교장을 두루 지냈다. 1973년부터 1994년까지 뉴욕주 로체스터에서 서쪽으로 약 30킬로미터 떨어진 '바이런-버겐 중앙 학군'의 교육감으로 일했다. 헤이스는 뉴욕주 교육감협의회에 활발하게 참여했던 회원이었으며, 뉴욕주에 채용되는 신임 교육감들을 위한 지침서 『교육감 업무: 새로운 교육감들을 위한 생각』의 저자이기도 하다. 헤이스는 또한 다양한 교육 전문지에 수많은 논문을 기고했다. 교육감을 그만둔 뒤에는 2003년까지 뉴욕 로체스터 소재 로버츠 웨슬리안 칼리지의 교원양성부 부장으로 근무했으며, 현재까지 같은 칼리지에서 계속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헤이스는 최근 5년간 '스케어크로우 교육출판사와 로우맨 앤 리틀필드 교육 출판사를 통해 9권의 저서를 펴냈다. 저서는 다음과 같다. 『학교 행정가를 위한 현장 사례 연구Real-Life Case Studies for School Administrators』, 『교사들을 위한 현장 사례 연구Real-Life Case Studies for Teachers』, 『교육감이 되길 원하십니까?So You Want to be a Superintendent?』,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이 되고 싶으세요?So You Want to be a School Board Member?』,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을 위한 현장 사례 연구Real-Life Case Studies for School Board Members』, 『칼리지 교수가 되길 원하세요?So You Want to Become a College Professor?』, 『교장이 되고 싶으신가요?So You Want to Become a Principal』, 『2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위기의 국가인가?Are We Still a Nation at Risk Two Decades Later?』, 『호레이스 만의 공교육에 대한 비전: 아직도 유효할까?Horace Mann's Vision of the Public Schools: Is it Still Relevant?』.
펼치기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실천적인 교육 이념과 방향을 모색하고, 현장 지향적인 교육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2004년에 출범한 교육 연구자와 현장 교사들의 연구 공동체입니다. 연구자와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널리 공유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개방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지향합니다.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각종 자료를 제공받고 다양한 연구 모임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공간 http://cafe.daum.net/kednetwork 이메일 kednetwork@hanmail.net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헤이스는 20세기 공교육에서 일어난 수많은 중요한 운동과 사건들 가운데 진보주의 교육이 수행한 역할을 탐색하고 있다. 또한 그는 우리에게 오늘날의 정치적, 문화적 상황 속에서 진보주의 교육의 미래에 대해 고민해 보라고 촉구한다. 교육자, 학부모, 민주주의 사회의 모든 시민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중요하고도 유용한 질문들과 함께 말이다.
_피터 W. 냅(Peter W. Knapp), 교육학 박사
헤이스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진보주의 교육의 근본 토대를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은 미국에서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이끌었던 선구자들에 관한 내용을 시작으로, 20세 기 초ㆍ중반, 후반의 진보주의 교육 양상을 차례로 소개한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저자는 오늘날 진보주의 교육의 갱신 가능성과 21세기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포부를 밝히고 있다. 우리는 이 책에서 당대 통용되던 교육 방식을 비판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방식으로 가르치고 배우길 고민했던 많은 사상가의 이론과 그 실천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_조나영, 「해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