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122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9-11-19
목차
머리글
제1장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심성보
제2장
인민과 시민 사이에서:
프랑스 민중교육 전통과 학교 시민교육•이기라
제3장
‘안네 프랑크 교육기관’ 사례로 본
독일 학교 밖 정치교육의 특징과 과제•홍은영
제4장
핀란드의 민주주의와 학교 시민교육:
통합적, 실용적, 가치기반 접근•서현수
제5장
영국 국가 정치 상황에 따른
시민교육 핵심 개념의 변화•권순정
제6장
미국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장수빈
제7장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장은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동체의 변화를 이끄는 학교 민주시민교육
-세계 민주적 학교교육의 현재를 찾아서
지금까지 인성교육이 개인 차원의 도덕성을 강조한다면, 이제는 사회적 실천을 통해 공동체와 자신을 변화시키고 협력하여 공공선을 이루는 주체적 의지를 가진 민주시민의 가치와 시민성이 강조된다.
그 출발점이 바로 학교에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이며, 이 교육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의 변화가 시작될 것이다.
그 변화를 통해 우리는 모두가 자신의 말과 글, 그리고 삶으로 각자의 행복을 자신 있게 이야기하는 세상을 만들어 가야 한다.
학교교육의 성패는 궁극적으로 민주시민교육의 성패 여부에 달려 있다. 민주주의는 목적일 뿐 아니라 절차와 과정이 그 자체로서 중요하다.
민주주의는 ‘삶의 양식’ 그 자체이므로 학생은 미래의 시민으로 육성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학교에서 민주주의를 살아가게 되어야 한다.
_「머리글」에서